•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3초

2002년 태풍 루사 및 2003년 태풍 매미에 따른 지역수해 대응의 개선대책에 관한 연구 (The Improvement Plan for Flood Control by Local Government Caused by Typhoon RUSA in 2002 and MAEMI in 2003)

  • 강상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11-118
    • /
    • 2003
  • 강원도 지역은 매년 다양한 재해를 반복적으로 겪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는 이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2002년 태풍 루사 및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한 집중호우는 막대한 피해와 더불어 우리사회의 많은 교훈을 남겼다. 지역방재계획에는 강우사상에 따른 피난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나 실제 상황에서는 그 역할을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재해복구에 있어서도 원상복구에 그치고 있어 재해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그대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수방계획의 문제점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대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중앙행정기관 재난관리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Management Plan for Central Administration Office)

  • 김무준;김계현;권문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61-69
    • /
    • 2010
  • 지구 온난화와 도시화로 인한 자연 생태계의 악화가 지속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재난이 다양해지고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재해 발생과 피해 규모가 급증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재난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9.11테러와 쓰나미 사건을 계기로 표준화된 재난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재난관리표준을 수립하고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재난관리표준(안)을 기반으로 재난관리 업무매뉴얼을 생성하여 재난관리계획 수립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중앙행정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재난관리 활동을 분석하였고 재난관리 업무, 기능, 조직, 참조, 행동 라이브러리의 설계와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체계적인 재난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재난관리 활동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업무매뉴얼 생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업무매뉴얼은 재난 유형별 중앙행정기관에서 수행해야 할 업무와 필요한 긴급지원기능을 적용하고 참조정보와 행동요령 등을 포함시켜 재난관리에 있어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별 체계적인 재난관리계획 수립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보험 손실액을 활용한 자연재해 위험 지도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Development of Natural Hazard Risk Map using Insured Claim Payouts and Its Application)

  • 김지명;박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7-258
    • /
    • 2015
  • The amount of damages caused by natural hazards is consistently growing due to the unusual weather and extreme events. At the same time, property damage by natural hazards is rapidly increasing as well. Hence, we need systematic anti-disaster activities and consulting that can react to such a situation. To address these needs,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sured claim payouts from natural hazards by administrative area, and calculate the risk index utilizing GIS. According to the index, this map is identifying the areas of greatest natural hazard risk. The ranking of natural disaster vulnerability based on the risk index, and risk grades were divided into five based on the ranking. This map integrates the natural hazard losses to assist in comprehensive and effective loss prevention activities using analysis of regional loss claims from natural hazards. Moreover, this map can be as utilized as loss mitigation and prevention activities to verify the distribution of exposure and hazards.

  • PDF

포항 지진과 일본 지진관리 업무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arthquake Management in Pohang and Japan)

  • 김수란;김혜원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3-199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reate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an earthquake. Japan's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Basic Act, addresses all of the disaster phases of prevention, mitigation, preparedness and emergency response as well as recovery and reconstruction with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clearly defined. Korea's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re including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Basic, but when the 9.12 earthquake occurred,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early response, study on the earthquake lack were revealed.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survey and analyzed coping process after Po Hang earthquake. Therefore, this study have found that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are operated rapidly. They are coped with urgent safety inspection for damage facilities and soil liquefaction with advanced equipment. And The headquarters interviewed with victims. So they found out What the victims needed. However, when carrying out relief activities, Research of temporary housing and allocation of donations was not rapid. Further, this study have found that earthquake specialists were lack and disaster information transfer was not working.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in plann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an earthquake.

재해경감활동과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공급자 관리 연구 (Supplier Management Research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Prevention of Major Disasters)

  • 김상덕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2
    • /
    • 2022
  • 본 연구는 발주기관과 사내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연계성 강화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에 정하고 있는 공급자 전략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발주기관과 공급자의 적용사례를 검토 분석하여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절차를 도출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공급자 전략에 대하여 명확히 정의하고,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 발주기관과 공급자가 적용하는 절차와 그 절차에 의하여 산출된 결과물을 공유하는 표준화된 절차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하였다.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수립 절차중 중요한 절차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내용과 절차를 기업재난관리표준과 관련 규범에 반영할 것을 제시한다

  • PDF

SOC 시설물 재난대응 및 관리시스템 개발방향 (A Development Direction of Infrastructure Based Disaster Mitigation & Management Integrated System)

  • 박수열;오은호;최봉혁;김진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34-142
    • /
    • 2016
  • 제방, 댐, 교량, 도로 등 주요 시설물은 일상적인 사회 산업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재난발생 시 인적 물적 자산을 보호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시설물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재난관리시스템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정작 재난이 발생할 때는 시설물 보호 및 활용을 배제한 대응이 이루어져 2차 3차적인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재난관리와 관련된 기존 문헌조사와 SWOT/STEEP분석, 기술수요조사와 논문 특허 경향조사를 통해, 국가적 재난관리 시스템 및 관리체계가 변화되어 가는 트렌드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효과적인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점분야와 세부 기술 분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세부기술들은 SOC(Social Overhead Capital) 시설물 통합운영 및 연계기술 확보를 통한 선진국형 시설물 안전관리 및 재해대응을 위한 기술들로서, 기존의 인적 물적 피해저감 위주의 수동적 재난관리체계에서 시설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능동적 대응체계로 전환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SOC시설물에 대한 통합적 유지관리 및 위험도 관리체계는 SOC시설물의 안전과 관련 재해예방에 관한 정책 결정자에게 합리적인 의사결정수단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대상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특히, 장기대응(Mitigation) 또는 사후복구(Recovery)에 집중되어 있는 국내 재난관리체계에서 진일보하여, 선제적인 직전 대비(Preparedness)와 재난 발생 시 대응(Response)이 가능한 시설물 중심의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전 방위적 재난대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 방재선진국 사례분석을 통한 미래 재난관리 표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적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uture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European Countries - Focusing on Climate Change Adoption -)

  • 박덕근;오정림;손영진;송영갑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1-66
    • /
    • 2009
  • 과거 우리나라의 재난관리는 재해가 발생한 후 이에 대한 복구를 수행하는 사후복구에 중심을 두었다고 볼 수 있으나, 현재는 과거와 같은 사후복구가 아닌 재해발생을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일반인에게 전파하여 재해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하는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재난은 과거에 비해 그 규모나 피해 정도가 대형화되고 있는데 이는 산업발달과 인구의 증가 등에 따른 기후변화가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 적응을 중심으로한 국제기구 및 유럽 방재선진국의 재난관리 사례를 분석, 국내 실정에 적합한 미래 재난관리 표준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안과 대안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산업현장에서의 안전규제 적용실태 연구 - 석유화학공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 Based on Petrochemical Plant -)

  • 오형근;백동승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81-86
    • /
    • 2011
  • 특별한 지하자원이 없는 한국에서의 석유화학산업은 전자 자동차 등의 업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핵심 산업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유해 위험물질을 다루는 공정상 화재나 폭발 등 위험이 상존해 있고 이로부터 현장의 인적 물적 안전보호를 위해 규제위주로 재해예방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개별법에 따라 정형화된 안전규제가 필요한 만큼 이행되지 않는다면, 당초 의도한 안전규제의 합목적성과 안정성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공적 및 사적행정력의 낭비를 초래하여 전체 석유화학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석유화학플랜트에 적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안전규제 항목들이 안전을 위해 필요한지와 이들이 규정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규명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부 규제의 필요성과 이행수준면에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re-resilience Group Activities Against a Forthcoming Big Flood Disaster in Tokyo Below-Sea-Level Area

  • Ichiko, Taro;Kato, Takaarki;Ishikawa, Kinj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8
    • /
    • 2011
  • In April 2010, Japan Cabinet Office has published the first countermeasure report for severe flood disasters. This report showed various flood-disaster scenarios and factors that widened damages. One of important suggestions was to transmit precious information for long-distance evacuation. So far, local municipalities have made Flood Hazard Map to inform resident risk and evacuation. In this paper, cognition and effectiveness of a flood hazard map in the down ARAKAWA river Tokyo were measured by social questionnaire survey. In conclusion, there were 3 factors to effect validity of a flood hazard map. There were (1) commitment to their neighborhood organization, (2) experience of Kathleen typhoon in 1947 and (3) level of using targeted river. As results, a logical diagram about a flood hazard map perception was drawn and discussed from a view of community-based approach.

  • PDF

The needs for advanced sensor technologies in risk assessment of civil infrastructures

  • Fujino, Yozo;Siringoringo, Dionysius M.;Abe, Masato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5권2호
    • /
    • pp.173-191
    • /
    • 2009
  • Civil infrastructures are always subjected to various types of hazard and deterioration. These conditions require systematic efforts to assess the exposure and vulnerability of infrastructure, as well as producing strategic countermeasures to reduce the risks.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s for and concept of advanced sensor technologies for risk assessment of civil infrastructure in Japan. Backgrounds of the infrastructure problems such as natural disasters, difficult environment, limited resource for maintenance, and increasing requirement for safety are discussed. The paper presents a concept of risk assessment, which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hazard and structural vulnerability assessment. An overview of current practices and research activities toward implementing the concept is presented. This includes implementation o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systems for environment and natural disaster prevention, improvement of stock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tructural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