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Area

검색결과 1,511건 처리시간 0.027초

재난 지역 다수 조난자 구조를 위한 최적 경로 계획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Routing Planning Algorithm for Rescue of Multiple Victims in Disaster Area)

  • 김기태;조성진;전건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23
    • /
    • 2010
  • The large-scale disasters occur to unexpected accidents such as natural disasters(earthquake, typhoon, tsunami, etc.), and human-caused accidents(fire, collapse, terror etc.). Rescue teams perform rescue activities to save many lives in large-scale disaster are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ose a optimal routing planning for rescue of multiple victims in disaster area. A realistic routing planning with rescue limit time which considers rehabilitation and reconstruction will be suggested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and a hybrid genetic algorithm will be suggested to minimize the total spending time. By comparing the result, the suggested algorithm gives a better solution than existing algorithms.

한반도에서 발생되는 기상재해 분석 (An Analysi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Occurre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종길;장은숙;최효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3-619
    • /
    • 2005
  • Recently, we are suffered enormous loss from a natural disaster and making an effort to prepare measures for dealing with disasters. This study shows the major causes of natural disasters and stricken area with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Central Disaster Relief Center records during 1987-2003 and classifies natural disasters according to the causes and damaged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most damaged area were Gangwon, Gyeongnam and Gyeongi province as a result of a typhoon and a localized heavy rain. To establish an effective disaster measure for these area, detailed prevention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y its causes after investigating precise regional damage data analysis.

가시권 분석을 이용한 산불감시 우선지역 선정 방안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Analyzing Priority Area of Forest Fire Surveillance Using Viewshed Analysis)

  • 이병두;유계선;김선영;김경하;이명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6-135
    • /
    • 2011
  • 산불 감시 시설의 탐지확률을 높이고, 감시 자원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디를 감시해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감시 우선지역을 기존 감시 시설의 가시권과 해당 지역의 산불발생 확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발생 확률이 높으면서, 가시성이 떨어지는 곳을 우선 감시 지역으로 정의하고, 퍼지함수를 이용한 변환과 가중치 부여에 의한 중첩분석을 통해 산불감시 우선지도를 생성하였다. 봉화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시 우선 지역은 산지가 많은 북부 지역보다는 인구가 많은 중남부 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개발된 산불감시 우선지역 분석 체계는 한정된 감시 자원의 적정 배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화재위험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Vulnerability Map of Fire in Seoul)

  • 강영옥;박미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2
    • /
    • 2005
  • 지금까지 재난에 대한 대비는 재해 발생시 대응 및 복구에 초점을 두었지만 예방적 차원의 접근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재해에 취약한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도시관리차원에서 필요한 방재지도의 유형으로 화재를 상정하여 화재위험지역을 선정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맞춰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화재위험지도를 시범적으로 구축하였다. 화재위험지도 작성은 방재업무에 있어 지역성에 기초하여 취약지구를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지구단위계획등의 도시계획업무에서 방재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및 도시계획시설 배치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a Proposal-scheme for Evacuation Routes Planning at a Large-scale Disaster in a Historic Preservation Area

  • Mishima, Nobuo;Miyamoto, Naomi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194
    • /
    • 2012
  • Most of the Historic Preservation Areas are very weak to fire disast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uild a proposal-scheme for evacuation routes planning at a large-scale disaster in a historic preservation area. The study area is a preservation area called "Hizen-Hama-Shuku" which has many straw-roofed wooden houses in Kashima city, Japan. To achieve this aim, outline of the scheme is discussed. The proposal-scheme of evacuation routes consists of objectives to propose, target time to evacuate for the refuge place, evaluation method, and procedures. The existing condition and the measures are evaluated using the software "SimTread".

  • PDF

해안방재림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Ⅰ) - 신규조성대상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Ⅰ) - on New Plan Site -)

  • 전근우;이진호;김민식;염규진;서재철;강기차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63-766
    • /
    • 2008
  • 우리나라의 해안사구에 위치하고 있는 해안방재림의 실태를 파악한 결과, 신규 조성대상지는 576개소 250.05ha로 개소당 평균 면적이 약 0.43ha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의 신규 조성대상지 개소당 기준인 1ha는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연간 조성사업량인 10ha/년에 의하면 사업이 종료되기까지 약 25년이 소요되므로 5년 이내에 사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해야 하며, 이에 필요한 사업비 확보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재난현장의 독립적 통신망 확보를 위한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 (Smar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Ensuring Indenpendent Network in Disaster Site)

  • 이양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05-91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의 전체 구조가 아닌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과 현장 지휘통제실간의 정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난현장 지역 내의 독립적 네트워크 인프라(무선통신, 영상전송 및 현장상황파악 등) 확보를 위한 현장형 스마트 통합관제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재난환경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은 재난현장에서 현장대원간의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재난현장 영상정보 수집을 위한 드론과의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현장 관제시스템에서 재난상황에 대한 전체 주변 영상확보 및 현장대원의 효율적 지휘가 가능하게 된다.

A Civilian Reporting Service to Guide Converging Resources for Search and Rescue in Disaster Response

  • Chen, Albert Y.;Han, Sang-Uk;Lee, Sang-Hyun;Pena-Mora, Feniosky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1권3호
    • /
    • pp.45-51
    • /
    • 2011
  • During disaster response, prioritization of limited resourc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t challenging tasks. At the same time, it is imperative to timely provide to the rescuers with the adequate heavy equipment to facilitate lifesaving operations. However, supply of high demand equipment is usually insufficient during the initial phase of disaster response, challenging lifesaving operations. At the same time, resources outside of the disaster affected zone converge into the area to assist the response efforts, which is the effect of convergence that often made resource coordination challenging in large scale disasters. Meanwhile, the initial condition of the disaster is usually best known by civilians already at the area before and during impact of the disaster. The knowledge of the civilians is not always received and considered by the responding organizations. With the help of these civilians, critical information such as victim location, infrastructure damage, and risk condition could be better know before any response actions are taken. To efficiently collect information and utilize the converging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geospatial information repository for initial condition reporting and update to guide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and deployment of equipment with safety considerations for the rescuers in large scale disaster response scenarios.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재난안전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Survey and Comparison for Disaster Safet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Choi, Yunjung;Koo, Wonhoi;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88-397
    • /
    • 2017
  • 도시화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은 인구 구조, 경제수준, 인프라 등 다양한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재난안전대책은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도시와 농촌을 비교하는 연구를 실시하고 있지만 재난 및 안전 관리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지역의 재난관리 대책 마련 시 도시지역 및 농촌지역 주민들의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체감안전도, 문제점,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주민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재난환경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재난안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주민들에게 재난안전(비구조적요소, 구조적요소, 인적요소, 환경적요소)에 관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향후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재난관리계획 수립 시 반영사항을 도출하였다.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송은주;박숙경;양야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20-43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disaster nursing knowledge,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by identifying the predictors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y.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06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departments of 3 universities located in G City and J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articipants' scores for disaster nursing knowledge,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were 5.41±1.68, 4.29±0.46, and 2.84±0.78, respectively. Disaster nursing knowledge,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The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cluded disaster nursing knowledge,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s, year level, disaster training experience, first-aid training experience, disaster area experience, medical service experience, and disaster severity awareness. These variables explained 17% of the variance i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Disaster nursing knowledge and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s was positively related to disaster nursing compet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 programs aimed at increasing disaster nursing knowledge and enhancing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s among nursing student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disaster nursing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