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mbiguation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초

Automatic Sense Disambiguation for Target Word Selection

  • Kim, Kwon-Yang;Park, Se-Young;Lee, Sang-Jo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1995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 Proceedings of the 10th Pacific Asia Conference, Hong Kong
    • /
    • pp.109-114
    • /
    • 1995
  • PDF

의미네트워크를 이용한 단어의미의 모호성 해결방법 (A Word Sense Disambiguation Method with a Semantic Network)

  • 나동렬
    • 인지과학
    • /
    • 제3권2호
    • /
    • pp.225-248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의미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지식베이스를 이용하여 단어 의미의 모호성을 해소하는 방법들을 소개 한다. 기본이 되는 방법은 입력문자의 의미해석이 진행됨에 따라 수집되는 지식베이스내의 경로(path)들을 추적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로들을 의미경로(semantic path)라고 부른다. 파싱과정에서 한 단어가 입력되면 이단어가 가질수 있는 의미 중에서 어느 의미 경로에도 이용되지 않은 것들이 제거된다. 각 제거는 의미 경로들을 통하여 전파되어 이미 입력된 다른 단어들의 의미의 제거를 유발한다. 이 박업은 더이상 제거되는 의미가 없을때 까지 반복 진행된느데 이를 recursive word sense removal 작업이라 부른다. 추상적인 개념의 구체화(conctetion) 작업도 단어 의미 모호성해소의 중요한 방법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경로조절작업(path adjustment operation)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이용하여 확장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의미사이의 연과성(semantic association)이나 구문분석으로부터의 정보를 위의 방법들과 관련지어 이용하는 방법도 살펴본다.

An Improved Combined Content-similarity Approach for Optimizing Web Query Disambiguation

  • Kamal, Shahid;Ibrahim, Roliana;Ghani, Imran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9-88
    • /
    • 2015
  • The web search engines are exposed to the issue of uncertainty because of ambiguous queries, being input for retrieving the accurate results. Ambiguous queries constitute a significant fraction of such instances and pose real challenges to web search engines. Moreover, web search has created an interest for the researchers to deal with search by considering context in terms of location perspective. Our proposed disambiguation approach is designed to improve user experience by using context in terms of location relevance with the document relevance. The aim is that providing the user a comprehensive location perspective of a topic is informative than retrieving a result that only contains temporal or context information. The capacity to use this information in a location manner can be, from a user perspective, potentially useful for several tasks, including user query understanding or clustering based on loc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approach, we developed a Java based prototype to derive the contextual information from the web results based on the queries from the well-known datasets. Among those results, queries are further classified in order to perform search in a broad way. After the result provision to users and the selection made by them, feedback is recorded implicitly to improve the web search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The experiment results demonstrate the outstanding performance of our approach in terms of precision 75%, accuracy 73%; recall 81% and f-measure 78% when compared with generic temporal evaluation approach and furthermore achieved precision 86%, accuracy 71%; recall 67% and f-measure 75% when compared with web document clustering approach.

온톨로지 구축 및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에의 활용 (Ontology Construction and Its Application to Disambiguate Word Senses)

  • 강신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4호
    • /
    • pp.491-500
    • /
    • 2004
  • 본 논문은 기존의 다양한 언어자원들을 이용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를 단어의미 중의성 해소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온톨로지를 실용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가도카와 시소러스의 개념 체계에 격 관계와 기타 의미관계와 같은 다른 의미관계를 추가하여 확장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구축된 온톨로지를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결합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사전을 먼저 이용하여 단어의 의미를 결정하고, 결정하지 못한 단어의 의미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를 위해 온톨로지 내 개념들간의 상호정보가 말뭉치의 통계 정보에 근거하여 계산되는데, 이를 가중치로 간주하면 온톨로지는 가중치 그래프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개념간 경로를 통하여 개념간 연관도를 알아 볼 수 있다. 실제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본 방법은 온톨로지를 사용하지 않은 방법보다 9%의 성능 향상을 가져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Bayes 정리에 기반한 개선된 동형이의어 분별 모텔 (An Improved Homonym Disambiguation Model based on Bayes Theory)

  • 김창환;이왕우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2호
    • /
    • pp.1581-159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동형이의어 분별을 위하여 허정(2000)이 제시한 "사전 뜻풀이말에서 추출한 의미정보에 기반한 동형이의어 중의성 해결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과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Bayes 정리에 기반한 동형이의어 분별 모델을 제안한다. 의미 분별된 사전 뜻풀이말 코퍼스에서 동형이의어를 포함하고 있는 뜻풀이말을 구성하는 체언류(보통 명사), 용언류(형용사, 동사) 및 부사류(부사)를 의미 정보로 추출한다. 동형이의어의 의미별 사전 출현 빈도수가 비교적 균등한 기존 9개의 동형이의어 명사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비교하였고, 새로 7개의 동형이의어 용언(형용사, 동사)을 추가하여 실험하였다. 9개의 동형이의어 명사를 대상으로 한 내부 실험에서 평균 99.37% 정확률을 보였으며 7개의 동형이의어 용언을 대상으로 한 내부 실험에서 평균 99.53% 정확률을 보였다. 외부 실험은 국어 정보베이스와 ETRI 코퍼스를 이용하여 9개의 동형이의어 명사를 대상으로 평균 84.42% 정확률과 세종계획의 350만 어절 규모의 외부 코퍼스를 이용하여 7개의 동형이의 어 용언을 대상으로 평균 70.81%의 정확률을 보였다. 정확률을 보였다.

  • PDF

사전 정보를 이용한 단어 중의성 해소 모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n Effective Word Sense Disambiguation Model Based on Automatic Sense Tagging Using Dictionary Information)

  • 이용구;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21-34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수작업 태깅없이 기계가독형 사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의미를 태깅한 후 학습데이터로 구축한 분류기에 대해 의미를 분류하는 단어 중의성 해소 모형을 제시하였다. 자동 태깅을 위해 사전 추출 정보 기반방법과 연어 공기 기반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자동 태깅에서는 복수 자질 축소를 적용한 사전 추출 정보 기반 방법이 70.06%의 태깅 정확도를 보여 연어 공기 기반 방법의 56.33% 보다 24.37% 향상된 성능을 가져왔다. 사전 추출 정보 기반 방법을 이용한 분류기의 분류 정학도는 68.11%로서 연어 공기 기반 방법의 62.09% 보다 9.7%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또한 두 자동 태깅 방법을 결합한 결과 태깅 정확도는 76.09%, 분류 정확도는 76.16%로 나타났다.

저자 식별을 위한 자질 비교 (Features for Author Disambiguation)

  • 강인수;이승우;정한민;김평;구희관;이미경;성원경;박동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11
    • /
    • 2007
  • 학술 정보에서 저자는, 실세계의 한 저자가 형태적으로 둘 이상의 저자명으로 출현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저자들이 동일한 저자명을 공유하기도 한다. 이는 각각 학술정보에 대한 검색 및 탐색에 있어, 재현율과 정확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후자에 해당하는 저자의 동명이인 문제에 있어, 그 중의성 해소를 위한 자질의 특성에 집중하고자 한다. 최근까지, 저자 식별을 위한 자질로, 공저자, 논문 제목, 게재지명과 같은 서지 내적 자질과, 논문 원문 텍스트로부터 획득되는 전자메일주소, 소속기관, 논문의 토픽 등과 같은 서지 외적 자질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자질들이 저자 식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 저자명에 대해 원문과 연계된 대용량 저자 식별 평가 셋을 구축하여, 동명 저자 중의성 해소에 있어 다양한 자질들의 특성을 비교한다.

  • PDF

어휘별 중의성 제거 규칙과 통계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품사 태깅 (Korean Part-of-Speech Tagging using Disambiguation Rules for Ambiguous Wor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 안광모;한규열;서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8-26
    • /
    • 2009
  • 규칙 정보와 통계 정보를 이용하는 복합적 품사 태깅은 통계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의 견고함과 확장성을 가지고, 통계 정보에 벗어나는 언어현상들을 규칙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함으로서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규칙 정보의 제한적인 적용범위 때문에 통계 정보에 벗어나는 언어 현상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휘의 사전적 의미와 문맥적 관계를 반영할 수 있는 "어휘별 중의성 제거 규칙"을 제안한다. 어휘별 중의성 제거 규칙은 세종 말뭉치로 부터 말뭉치 데이터를 형태소 분석하여 상위 50%의 중의성 어휘에 대한 사전적 의미와 문맥적 관계를 고려한 품사 태깅 정보를 추출하고 이것을 규칙으로 만든 것이며, 현재까지 총 1,815개로 구성되어 있다. 어휘별 중의성 제거 규칙을 기존의 복합적 품사 태깅 시스템에 적용하여 품사 태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한글 저자명 중의성 해소를 위한 기계학습기법의 적용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Resolving Korean Author Names)

  • 강인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39
    • /
    • 2008
  • 동일한 인명을 갖는 서로 다른 실세계 사람들이 존재하는 현실은 인터넷 세계에서 인명으로 표현된 개체의 신원을 식별해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문제가 학술정보 내의 저자명 개체로 제한된 경우를 저자식별이라 부른다. 저자식별은 식별 대상이 되는 저자명 개체 사이의 유사도 즉 저자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이후 저자명 개체들을 군집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저자유사도는 공저자, 논문제목, 게재지정보 등의 저자식별자질들의 자질유사도로부터 계산되는데, 이를 위해 기존에 교사방법과 비교사방법들이 사용되었다. 저자식별된 학습샘플을 사용하는 교사방법은 비교사방법에 비해 다양한 저자식별자진들을 결합하는 최저의 저자유사도함수를 자동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교사방법 연구에서는 SVM, MEM 등의 일부 기계학습기법만이 시도되었다. 이 논문은 다양한 기계학습기법들이 저자식별에 미치는 성능, 오류, 효율성을 비교하고, 공저자와 논문제목 자질에 대해 자질값 추출 및 자질 유사도 계산을 위한 여러 기법들의 비교분석을 제공한다.

한국어 어휘의미망(UWordMap)을 이용한 동형이의어 분별 개선 (Improvement of Korean Homograph Disambiguation using Korean Lexical Semantic Network (UWordMap))

  • 신준철;옥철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호
    • /
    • pp.71-79
    • /
    • 2016
  • 한국어처리 분야에서 동형이의어 분별은 의미처리를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고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최근에 말뭉치를 학습하는 기계학습 방법이 정확률과 속도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미학습 어절을 처리하기 위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지식기반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말뭉치를 학습한 기계학습 방법에 어휘의미망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의 기본 전략은 하위범주화 정보를 말뭉치화하여서 기존 말뭉치와 함께 학습시키고, 동형이의어 태깅 시점에서 분석 대상 명사의 상위어를 찾아서 학습정보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세종말뭉치와 UWordMap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정확률이 96.51%에서 96.52%로 미미하지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