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Worker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초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of Library Volunteers for the Disabled)

  • 장보성;남영준;이준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7-237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 대상 도서관 자원봉사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자들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자원봉사자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후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특성요인 중 결혼여부, 연령, 학력, 봉사활동 참여경로에 따른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동기요인 중 이기적 동기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타적 동기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경요인은 보상모델, 이전 경험, 역할모델 모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활동가치인식요인 중 기대합치, 업무적절성이 직무만족과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의 4차산업혁명 최신기술 관심도가 최신기술 활용 저항도와 불안도에 미치는 영향: 최신기술 수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Interest in the Lates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Workers a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on the Resistance and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f the Latest Technology)

  • 남희은;임유진;백정원;김남숙;윤영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8-198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들 최신기술에 관심도와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 간의 관계에서 최신기술 수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P광역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변수간 인과관계 검정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단계별 분석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최신기술 관심도는 최신기술 수용도를 매개로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Sobel test 결과, 통계적으로도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의 최신기술 관심도는 최신기술 수용도를 매개로 저항도 및 불안도를 낮추어 미래사회 적응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최신기술 기술에 대한 관심과 최신기술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관련 방안을 제언하였다.

가정폭력 피해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 영향 요인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 김재엽;이민경;박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109-12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lifelong domestic violence and suggest practical plans to address the problem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data of the "2010 Domestic Violence Survey of South Korea", the occurrence rate of lifelong physical violence is 12.1% and that of severe physical violence is 6.2% among 273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rate of help-seeking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lifelong domestic violence is 26.3%, which means two-thirds of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do so for a long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experience of severe physical violence(p<.05), attitudes toward violence(p<.05), and awareness of domestic violence and related laws(p<.05)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adul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However, an accepting attitude of disability and social connections of disabled were not found to have an impact on help-seeking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raising awareness about domestic violence among the disabled, educa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not to tolerate violence and informing them about the domestic violence-related legal system, and training service professionals (social workers, health professionals etc.) to screen the disabled for domestic violence and prevent them from becoming domestic violence victims.

울산광역시 장애인 구강진료사업의 성과 분석 : 초중고 학생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oral health service program for disabled persons in Ulsan, Korea)

  • 김민지;전은주;한동헌;정승화;김진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7-303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disabled people in Ulsan. Methods : Two dentists taken a calibration training for national oral health survey examined the Oral health status on 110 disabled people in Ulsan, in 2009. The surveyed disabled people, 6 to 19 years old, have been supplied with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by dentists, oral hygienists and volunteers at dental clinics of schools and a dental clinic supported from Ulsan Metropolitan City Nam-Gu Health Center since 1997. The obtained data from these survey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s : Among subjects aged 12-14 years, DMF rate was 38.2%; Active D rate, 17.6%; DMFT index, 1.15; DT rate, 33.33%; MT rate, 0.00%; FT rate, 66.67%. Oral heath status of disabled people in Ulsan were evaluated to be a similar level to the Ulsan non-disabled citizens from 2010 Korean National Survey.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disabled people using voluntary dentists, oral hygienists and other workers in Ulsan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for the disabled people.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Libraries for the Disabled)

  • 윤소희;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58
    • /
    • 2023
  • 본 연구는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논하여, 장애인도서관 운영과 서비스 개선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연혁적으로 분석하고, 장애인도서관의 법률적 정의와 관련 법령들을 논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도서관법」이 장애인도서관 지원 관련 규정을 뒷받침하는 시행령과 시행규칙의 하위규정을 갖추지 못한 채, 「장애인복지법」등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애인도서관의 설립 연혁, 지역 및 주체, 등록 유형, 예산, 시설, 장서, 인력 등을 분석한 현황조사와 장애인도서관의 역할, 예산 지원, 등록제도 등에 관한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논한 면담연구를 통해, 관련 법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첫째, 「도서관법」을 통한 장애인도서관에 대한 정의와 기능 및 역할 명시, 둘째, 「도서관법 시행령」을 통한 장애인도서관 서비스 지원과 책무 수행 규정 마련, 셋째, 「도서관법」과 「도서관법 시행령」을 통한, 장애인도서관의 시설, 장서, 인력 기준 제시 등 장애인도서관 지원을 위한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IPA를 적용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Human Right of Social Workers Who Works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 Focused on Busan Area -)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61-469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시설에서 해결되어 할 인권문제의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539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인식 수준과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 실천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기술통계 결과, 중요도(전체 평균 6.27)에 비해 실행도(전체 평균 6.07)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인권 실천 항목들에 대해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실제 실천 정도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권 실천 하위영역별로 보았을 때 정치권/법 절차적 권리를 제외하고 자유권, 생존권, 사회권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언하였다.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위생요인과 지역 요인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Disabled Worker's Job Satisfaction: Emphasis on Hygiene Factors and Regional Factors)

  • 강창민;이건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11
    • /
    • 2020
  • 경제적인 요인은 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 중요하다. 또한 직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연구들에 의해 검증된 바 있다. 그러나 Herzberg는 동기-위생이론을 통해 임금과 같은 경제적 소득이 위생요인으로서 직무의 불만족을 낮출 뿐 직무의 만족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 의문을 제기하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국내 2017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생요인이 장애인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우리나라 주요 지자체를 지역변수로 투입하여 이를 지역적 연구로 확장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근무환경, 대인관계, 개인생활과 같은 위생요인은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해 지역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교육지원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장애유형, 장애정도 및 경제활동상태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고용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Type, Severeness, Economic Act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Using the Employment Panel Data in Everyday Discrimination)

  • 이성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281-30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의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 장애인에 대한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매개역할 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인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조사는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가운데 장애를 가지고 있고 직장을 비롯한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경험할 수 있는 결혼을 한 장애인 3,4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형(신체외부장애, 감각장애, 정신장애, 신체내부장애)과 장애정도(중증, 경증), 경제활동상태(임금근로자, 자영업주, 무급가족종사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는 실업자와 중증을 제외하고 결혼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 차별경험에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는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부분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결혼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줄이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 활동 경험과 과제 -권익옹호의 관점에서 (Experience and Task of Public Guardianship Service Activity for the mentally disabled -in Perspectives of advocacy)

  • 김효정;박인환;최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28-2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 사업이 당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권익옹호를 하는 제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경험과 과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공공 후견법인 후견업무 실무자 11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인터뷰를 실시하고, 과정분석과, 유형분석 등을 통해 실천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정신장애인의 공공후견서비스를 통해, 후견의 권리옹호의 가능성과 시설의 긍정적인 태도변화 및 정신장애인의 권리회복을 위한 방향성 확립 등이 도출되었다. 공공후견법인 종사자들은 후견인에 대한 과도한 권한 부여나 업무 과정에서의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정신장애인들의 권리를 옹호하고 자기결정권을 지원할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후견서비스의 필요성과 확대의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ing Career Success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 이달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131-153
    • /
    • 2003
  • 지체장애근로자들의 직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 분석하고 이들의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적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 제 1모형은 어느 정도 타당하게 직업성공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제 2모형은 매우 적합한 모형으로 직업성공을 보다 높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장애인고용 서비스 과정 중에 사후지도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촉진의 사후지도가 전화나 방문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강화와 지원을 제공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추출된 직업성공 요인을 바탕으로 하여 체크리스트와 계획서를 만들어 활용한다면 사후지도의 객관적인 준거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