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ility and Health

검색결과 1,154건 처리시간 0.025초

폐경 후 류마티스 관절염 여성의 골량감소 판별요인 (Determinants of Reduced Bone Mas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은남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93-205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reduced bone mass of postmenopausal RA patients and to develop discriminant function which can classify postmenopausal RA patients with either reduced or normal bone mas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body weight, height, age of menarche, duration of menopause, gravity, parity, and breast feeding period and factors of life style such as milk consumption exercise habit, alcohol intake, cigarette smoking, coffee consumpt ion , disease activity, corticosteroid therapy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f reduced bone mass in RA patients Sixty eight postmenopausal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aged between 42 and 76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checked bone mineral density in lumbar spine and femur from october, 1998 to Apr il, 1999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Assessment of disease activity, duration of disease and corticosteroid therapy were made by the same rheumatologist and included Ritchie articular index,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on measuring bone mineral density. Cumulative steroid dosage was calculated from the daily dosage multiplied by t h e number of days received. The information of other risk factor including health assessment sco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ife style factor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Bone mineral density(BMD) was measured using DXA at lumbar spine and femoral Ward's triangle. Discriminant function(regression equation) was developed for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duced bone m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subjects, thirteen(19.1%) exhibited osteoporosis in lumbar spine and twenty four(35.3%) exhibited osteoporosis in femoral Ward's triangle. For lumbar spine, the variables significant were age, body weight, health assessment score, while for femoral Ward's triangle, age, body weight, duration of disease. But disease activity and corticosteroid therapy were not signigicant to distinguish reduced bone mass from normal bone mass. When the discriminant func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observed out come with predicted out come, the discriminant function correctly classified 85.4% of patients with reduce bone mass and 63.0% of patient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lumbar spine and 100% of patients with reduced bone mass and 9.1% of patient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femoral Ward's triangle. In summary, we found that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RA is more evident at the femur than the lumbar spine. Also the important discriminant factors of reduced bone mass postmenopausal women with RA were age, body weight , duration of disease and health disability. In nursing situation, the efforts to improve of functional capacity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osteoporosis and fractures. Also we recommend those postmenopausal women with RA who are classified as a group of the reduced bone mass in the discriminant function should examine the bone mineral density to further examine the usefulness of this discriminant function.

  • PDF

성인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모형 : 뉴질랜드 정신보건서비스를 중심으로 (Permanency Plan for Adults with Mental Illness : Focused on Mental Health System of New Zealand)

  • 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33-56
    • /
    • 2006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일차적보호제공자가 더 이상 보호를 제공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한 평생계획(재정계획, 주거계획, 법적 보호)에 초점이 있다. 따라서 1994년 이후 지역사회중심의 국가적 정신보건전략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뉴질랜드 정부의 정책과 지역사회에서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NGO의 평생계획을 위한 구체적 서비스를 조사하여 우리나라에의 적용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재정계획 면에서 뉴질랜드 정부는 소득보장으로 장애급여와 기타 수당을 지급하고, 고용촉진을 위해 고용주에게 임금을 보조하는 형태의 재정적 지원을 한다. 그리고 지역사외의 NGO는 구직과 고용 유지를 위한 자원연결과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주거계획으로 정부는 주택보조와 자립지원을 통해 거주지 마련을 지원하고 NGO는 지지적 주거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주거와 포괄적 지지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셋째, 법적 보호는 신상 및 재산보호법(PPPR Act)하에 법원이 신상관리와 재산관리를 도울 복지후견인과 재산관리인을 지정하는데 이들은 정신장애인의 존엄성과 자기결정권에 대한 존중을 전제로 관리할 것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의 역할과 기능을 임상서비스와 사회적 서비스로 구분하여 정신보건전달체계가 보다 소비자의 욕구에 반응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생계와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장애수당을 현실화할 것과 지지적 주거의 확대와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정신장애인의 법적 보호를 위해 성인후견인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PDF

캐나다 Long-Term Athlete Development(LTAD) 고찰을 통한 국내 스포츠시스템의 통합모델과 운영방안 (Integration of the Korea Sport System: Feasibility of the Canadian LTAD framework)

  • 이은영;임희준;원도연;전용관;정재용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619-633
    • /
    • 2016
  • 지난 2015년 3월 27일 공포된 체육단체의 통합은 대한민국이 "스포츠강국"에서 "스포츠선진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국내 체육계의 노력의 결실이며, 스포츠계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이다. 이에 본 논문은 체육단체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한 스포츠시스템과 프로그램 측면 토대의 마련을 위해, 지난 2012년부터 캐나다의 체육단체 통합과 스포츠시스템의 운영에 발판이 된 Long-Term Athlete Development(LTAD) 프레임워크를 비판적으로 살펴 본 후, 국내 활용도에 대해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통합모델의 제시와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형 스포츠시스템 통합모델"은 우리나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연령·발육발달단계·스포츠 입문 시기 별 스포츠 참여의 틀을 제공한다. 이는 지난 10년 간 체육계의 쟁점이었던 학교체육·엘리트체육·생활체육의 연계는 물론 엘리트선수의 발굴과 육성, 그리고 평생체육으로의 연계까지 가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형 스포츠시스템 통합모델"은 앞으로 실제에의 적용, 평가, 그리고 수정의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진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Walker와 Avant 방법에 근거한 허약 노인 개념 분석 (Concept Analysis of Frail Elderly based on Walker and Avant's Method)

  • 김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94-4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의 명확한 속성 규명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Walker와 Avant(2005)의 개념분석을 위한 기본 원리에 근거하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허약노인에 대한 개념 사용의 연구결과는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상태에 있다. 허약노인은 신체적으로 근감소증, 염증, 인슐린 저항성에서 신체적으로 취약하고, 진행된 질병의 결과로 입원, 낙상, 장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생활습관,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다면적 속성을 가지며, 일상생활에 제한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여 의존적이며, 회복시간과 회복의 정도가 저하되는 것과 소진(exhaustion)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역동적 과정(dynamic process), 다면적 요소(multidimensional factors), 의존성(dependency), 취약성(vulnerability)이다. 허약노인은 건강과 질병의 중간 상태로 변화 가능성을 내포한 역동적 과정이며,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사회 환경적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으로, 신체적 취약성과 함께 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노인을 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개념분석과 이해를 통해 노인의 허약 수준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장기요양상태에 이르지 않도록 지역사회 방문간호를 포함한 보건의료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관절염 유병 수준과 관련 요인 (Prevalence of Arthritis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 김순영;남해성;강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73-4081
    • /
    • 2012
  • 우리나라 성인의 관절염 유병률 수준을 제시하고,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하위집단을 파악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고유병률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복합표본설계를 반영한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해 SAS 9.2 survey procedure로 실시하였다. 19세 이상 성인 18,406명을 대상으로 '연간 본인 인지 관절염'(이하 관절염) 유병률과 사회인구학적 또는 건강행태 요인별 유병교차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절염 조유병률은 11.7%였고, 이것의 세부 분류인 골관절염은 10.2%, 류마티스관절염은 1.7%의 유병률을 보였다. 19-44세 연령층에서 2.4%, 45-64세 층이 16.4%, 65세 이상에서 38.3%로 연령층 증가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사회인구학적 측면에서 연령보정 관절염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은 여성, 비아파트 거주자, 이혼 사별 별거 상태인 경우, 낮은 교육년수, 특정직업군(농림어업 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무직), 낮은 가구총소득, 의료보호 대상자 집단 등이었다. 건강행태 측면에서 연령보정 관절염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은 체질량지수(BMI)가 높은 집단이었고, 연령, 성, BMI를 보정한 경우 매일 음주군의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고유병률 집단들은 지역사회 관절염 관리사업의 목표집단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농촌 재가 장애인의 가정방문 재활서비스 욕구도 분석 (Needs Analysis for Home Rehabilitation Services by Disabled Person in the Rural Areas)

  • 이충휘;이현주;박경희;안덕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1-81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home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in rural areas and to collect basic data about disabled persons necessary when for carrying out rehabilitation services.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six of a total of eight townships (Myon) and one town (Eup) in the Wonju city area. Wonju is in Kangwon Province (Do). Of a total of 338 names provided by the Myon offices, 298 persons were located and included registered and non-registered persons. Conditions included stroke, spinal cord injury, and cerebral palsy in addition to disabilities classified as first, second or third degree, in the case of registered cases. Respond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cal characteristics,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illingness t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and individual opinions regarding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habilitation services received by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in the rural areas surrounding Wonju city were medical rehabilitation (41.7%), diagnosis (36.5%), rehabilitation assistive devices (7.6%), social assistance (7.1%), rehabilitation counseling (3.0%), vocational rehabilitation (1.8%), educational rehabilitation (1.6%) and housekeeping services (0.5%). The major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medical rehabilitation provided at hospitals and oriental medicine hospitals. 2) Sixty point eight percent of respondents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receive home care rehabilitation services. Needs expressed were highest for medical rehabilitation (27.0%), followed by social assistance (19.4%), medical examination (12.4%), physician-generated diagnosis in the home setting (11.6%), soci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9.3%), vocational rehabilitation (7.6%), rehabilitation engineering (6.0%), educational rehabilitation (3.3%), and housekeeping services (3.3%). 3)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ere analyzed by severity classification: 65.8% of first degree, 62.7% of second degree and 55.6% of third degree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62.7% of non-registered disabled individuals responded that rehabilitation service was necessary. 4) Rehabilitation service needs were also analyzed by diagnosis: 62.6% of stroke, 85.5% of amputation, 60.0% of spinal cord injury and 52.4% of traumatic brain injury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y were willing to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 if it were to be provided. Rehabilitation service utilization data of disabled individuals living at home in rural areas were investigated and their rehabilitation needs analyzed. This critical information can be used whe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are planned for provision out of a public health center or whe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elfare policy is formulated.

  • PDF

산업재해보험 급여수급자의 통증과 산업재해서비스 및 생활만족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Accident Service, Pain, and Life Satisfaction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Beneficiaries)

  • 장유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45-51
    • /
    • 2022
  • 본 연구는 산업재해 피험자의 고통을 수반하는 장애나 질병이 개인의 사회경제적 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현재의 건강과 일상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라는 관점에서 사회경제적, 사회적 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서비스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계하여 산재보험 수혜자의 경제적, 심리적 재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고통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산재보험 급여 수급자는 산재 통증으로 인해 산재 환자가 된 후 일상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서비스와 의료상담 서비스 간에는 양(+)의 관계가 있었다. 산업재해 통증은 개인의 특성인 자존감을 저하시키며, 현재의 건강이 좋아져도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진다. 산업재해 관련 서비스의 중요성은 재활 서비스와 의료 상담 서비스를 통해 일상생활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점에서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재해 이후 다양한 문제와 상황에 처한 환자에게 적합한 자존감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재활서비스 및 건강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워드 클라우드 분석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 혼합설계 (Parents' Perception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Mixed-Method Approach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Word Cloud Analysis )

  • 주유미;김영근;이희령;홍승표;한대성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49-63
    • /
    • 202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론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인지재활에 대한 부모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아울러 Python을 사용하여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하였고, 출현 빈도 수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5명의 연구자가 의미 단위와 주제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의 현상에 대한 의미 단위 43개 및 구성요소 9개를 도출하였고, 이로부터 총 3개의 주제를 최종 도출하였다. 도출된 중심 주제는 인지재활의 정의, 인지재활의 문제점,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이었다. 인지재활은 발달장애 아동의 학습, 일상생활 기능, 인지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라는 인식이 있었다. 인지재활의 문제점으로는 치료방식, 치료사의 전문성, 치료비용에 관한 문제인식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치료사의 전문성, 입소문, 비용과 시간의 적정성이 있었다. 결론 :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는 인지재활을 통해 아동의 실질적인 기능 향상을 기대하고 있었고, 이와 더불어 임상에는 현실적인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보다 나은 인지재활 서비스로 발전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요양병원 간병사의 낙상예방효능감과 낙상예방건강신념이 낙상예방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Fall Prevention Self Efficacy and Fall Prevention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Awareness)

  • 정지영;박윤지;정계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33-343
    • /
    • 2015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병사의 낙상예방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D광역시와 N시에 소재하는 7개 요양병원의 간병사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 215부 중 20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병원 간병사의 학력, 요양보호사 자격증 유무, 근무경력과 낙상관련 교육시간에 따른 낙상예방인지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낙상예방건강신념 중 지각된유익성, 지각된장애성, 지각된민감성과 낙상예방효능감은 낙상예방인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요양병원 간병사에게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정적영향요인은 지각된유익성, 낙상예방효능감, 지각된민감성, 부적영향요인은 근무경력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낙상예상인지도에 대한 설명력은 31.7%였다. 이러한 결과로 요양병원 간병사의 낙상예방인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간병사의 근무경력에 따른 낙상예방효능감과 건강신념 중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민감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극 모색해야할 것이다.

급성 뇌졸중 환자의 시공간 분석 기법을 이용한 동적 전산화 단층 검사: 예비 연구 (Dynamic Computed Tomography based on Spatio-temporal Analysis in Acute Stroke: Preliminary Study)

  • 박하영;편도영;김다혜;정영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43-547
    • /
    • 2016
  • 급성 뇌졸중(acute stroke)의 경우 빠른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손상으로 인해 평생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장시간의 검사를 해야 하는 MRI 보다는 빠른 검사와 3D 구현이 가능한 뇌 관류전산화단층촬영(Brain Perfusion CT)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에게 많은 방사선 피폭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저선량(low dose)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촬영된 영상의 질 저하가 유발되며, 특히 가우시안노이즈의 영향을 크게 받아 정확한 혈관 영상의 확인을 저해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류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해 얻어진 동적 CT 데이터에 시공간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진단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특히, 가우시안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 선형 특징 축출 방법 중 하나인 주성분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시공간 특징에 따른 각각의 관류 영상 성분을 축출한 경우 뇌-혈관 영상뿐만 아니라 뇌-실질 영상의 질이 향상됨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롭게 시도된 시공간 기반 영상기법이 향후 급성 뇌졸중 진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계열 정보가 포함된 뇌질환 진단 영상분석에 활용된다면, 임상 진단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