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ly seeded ric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직파재배시 파종량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Rates on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Direct-Seeded Whole Crop Rice)

  • 김종근;박형수;김지혜;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4-239
    • /
    • 2014
  •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 직파 재배시 파종량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종한 녹양벼를 이용하여 4개의 파종량을 두고(30, 60, 90 및 120 kg/ha) 수행하였다. 출현일, 출수기, 녹색도 및 내병성은 파종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장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커졌으며(p<0.05) 분얼수는 줄어들었다. 건물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ADF 함량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졌고 NDF 함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TDN 함량은 120 kg/h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잎-줄기-정조 비율은 파종량이 늘어남에 따라 정조비율은 줄어들었으며 잎의 비율은 약간 높아졌고 줄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성 분석결과 60 kg/ha 파종구에서 가장 높은 소득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직파재배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60kg/ha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추천된다.

벼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栽培)시 인산(燐酸)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 of Phosphate Coated Slow Release Fertilizer on Yield of Directly Seeded Rice)

  • 정영상;이호진;하상건;조병옥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8-113
    • /
    • 1997
  • 건답(乾畓) 직파시(直播時)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와 유기질(有機質) 비료시용(肥料施用) 효과(效果)를 강원도(江原道) 춘천시(春川市) 천전리(泉田里)의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농업생명과학대학(農業生命科學大學) 부속농장(附屬農場)에서 포장(圃場) 시험(試驗)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직파(直播)된 품종(品種)은 오대벼이었다. 질소(窒素)의 수준은 15kg/10a를 표준으로 보아, 요소(尿素)의 분시(分施) 방법(方法)으로 분시(分施) 비율(比率) 40-0-30-30과 0-40-30-30 처리(處理)를 두고,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와 polymer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기비처리(基肥處理)를 두었다. 요소(尿素) 시용구(施用區)에서 인산(燐酸)과 칼리는 각각 7kg과 8kg/10a 수준으로 기비(基肥) 처리(處理)하였다.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로 춘천시 신북농협에서 공급되는 계분 톱밥 발효 퇴비를 400kg/10a 시용(施用)구 및 400kg/10a 기비시용구(基肥施用區)와 N5kg/10a 추비구(追肥區), 그리고 600kg/10a시용구(施用區)를 두었다. 구당 면적(面積)은 $75m^2$이었다. 1995년 포장 시험(試驗) 결과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구(栽培區)의 수량(收量)은 요소(尿素) 시용(施用)구에서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84.9% 수준이었으며, 분시(分施) 방법(方法)간에 차이가 없었다.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의 수량(收量)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95.1%로 높았고 polymer 입힌 완효성비료구(緩效性肥料區)의 수량(收量)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90.4%이었다. 요소시유비기구(尿素施有肥機區)에 비해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400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는 81.8%에 불과하였고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를 다량 시비(施肥)한 600kg/10a구에서는 이앙(移秧) 재배구(栽培區) 수량(收量)의 94.8%이었다. 1996년 포장 시험(試驗)에서는 인산(燐酸) 입힌 유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효과(效果)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보다 증수(增收)된 결과(結果)를 보여 주었다. 토양(土壤)의 깊이 15cm에서 질산태(窒酸態) 질소(窒素)와 암모니아태 질소(窒素)의 농도(濃度)로 보아 질소(窒素)의 용탈이 요소(尿素)40-0-30-30구(區)에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구(施用區)이며,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깊이에서의 인의 농도(濃度)로 보아 인(燐)의 용탈(溶脫)이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구에서 가장 많고, 인산(燐酸)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시용(施用) 효과(效果)가 좋은 이유는 비료(肥料) 성분이 서서히 용출(溶出)되어 나와 효과적(效果的)으로 작물에 공급된 한편 비료(肥料) 성분의 손실(損失)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벼 담수직파 논 잡초방제 체계에 따른 올방개 방제 특성 (Eleocharis kuroguwai Control Systems and Their Effects on Tuber Formation in Directly Seeded Paddy Fields)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임민혁;김대현;장정한;최경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19-224
    • /
    • 2016
  • 벼 담수직파 재배시 제초제 사용에 따른 잡초발생 생태를 구명하고, 합리적인 잡초방제 체계를 확립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 종자 파종 후 12일에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azimsulfuron + carfentrazone-ethyl + pyriminobac-methyl) 처리는 피 등 일년생잡초의 방제효과는 높았으나, 올방개의 방제효과는 낮았다. 그러나,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 초중기처리 후 20일에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pyrazosulfuron-ethyl + thiobencarb)의 체계처리는 올방개의 방제효과가 높고, 새로운 괴경의 형성량은 적었으나, 구 괴경의 휴면율은 높았다. 또한 설포닐우레아계 혼합제초제의 초중기처리와 파종 후 55일에 bentazone 액제의 체계처리는 올방개의 방제효과가 높고, 새로운 괴경의 형성량도 적었으며, 휴면 괴경도 적었다.

벼 펠렛 종자용 타격식 파종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n Impact-Type Seed-Metering Device for Rice-Seed Pellets)

  • 최영수;구경본;유수남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2호
    • /
    • pp.115-122
    • /
    • 2001
  • An impact-type seed-metering device was developed for the planting of rice-pellets. In this study, new design of pellet-metering device focused on simplicity and precision seeding for the planting of rice-seed pellets. In addition of seed-metering device, several devices were also developed such as seed-guiding device, seed-supplying tube and furrow opener for precision pellet planting. Field test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lanting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metering device. As a cam rotates, the impact bar of the metering device pushes a rice-seed pellet so that the seed can be discharged from the seed-supplying tube in the impact-type seed-metering device. Results of the tests showed that mean seeding spacing was 12cm at the traveling speed of 1.0m/s, corresponding to a target spacing for planting of rice-seed pellets. Also, both miss-seeded rate and damaged-seed rate were less than 2.0%, indicating acceptable levels for the precision planting. The developed mechanism of the impact-type metering device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design of metering devices for the precision pellet planting of other crops.

  • PDF

호남지역에서 제초제 저항성 강피의 발생과 방제 (Control and Occurrence of Herbicide Resistance Echinochloa oryzicola in Rice Paddy Field of Honam Area)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임민혁;김대현;장정한;최경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32-39
    • /
    • 2017
  • 본 연구는 벼 재배 논에서 발생하고 있는 강피의 ACCase 저해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여 발생 지역을 파악하고, 벼 무논직파 재배시 저항성 강피에 대한 방제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남, 전북 벼 재배 논에서 수집한 72종의 중에서 ACCase 저해 제초제 cyhalohop-butyl에 대하여 약 44% 정도가 저항성으로 판단되었다. 저항성 강피에 대하여 토양처리 제초제의 처리시기별로 방제효과를 보면 파종 전에 pretilachlor, butachlor, oxadiazon, oxadiargyl, oxadiazon+pretilachlor, fentrazamide+oxadiargyl의 처리 및 파종 후 10일에 bromobutide+fentrazamide+imazosulfuron, benzobicyclon+fentrazamide+imazosulfuron, pyrazosulfuron-ethyl+thiobencarb, fentrazamide+imazosulfuron, bromobutide+imazosulfuron+mefenacet, bromobutide+imazosulfuron+pyraclonil의 처리는 95% 이상, 파종 후 15일에 bromobutide+imazosulfuron+mefenacet의 처리는 95%, bromobutide+pyrazosulfuron-ethyl+pyriminobac-methyl의 처리는 90%정도 방제효과를 보였다. 파종 후 30일에 cyhalofop-butyl+propanil의 경엽처리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저항성 강피에 대하여 토양 잔류에 의한 방제효과를 보면 oxaziclomefone는 처리 후 40일까지 90% 이상 방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벼 무논직파 재배 논에서도 ACCase 저해 제초제 저항성 강피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가 있었다.

Agronomic Characters and Soil Nitrogen Dynamics Influenced by Barley Straw Mulch Rates in No-Tillage Direct Seeding Rice Culture

  • Choi, Min-Gyu;Kang, Si-Yong;Kim, Sang-Su;Cheong, Jin-il;Shin, Hyun-Tak;Choi, Sun-Yo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1-196
    • /
    • 1999
  •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s, efficient utilization of barley straw is essential, both to improve the soil fertility and to conserve the environ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barley straw mulch rates in rice cultivation, a rice cultivar, 'Gancheogbyeo', was directly seeded on a no-tillage field synchronized with barley harvesting with five barley straw mulch rates, i.e., 0, 2.5, 5.0, 7.5 and 10.0 ton h $a^{-1}$ and agronomic characters of rice and soil nitrogen were determined. The increasing of barley straw mulch rates. Dominant weed species, chestnut, occurred in large amounts in no mulching or lower mulch rates than in higher mulch rates. The content of N $H_4$$_{+}$-N in soil applied with high barley straw mulch rates was lower during the month after seeding, and then it was higher at heading date, compared with lower mulch rates or no mulch plot. As the barley straw rate increased, maximum tillering stage was delayed, and plant height was reduced. Although the lodging of rice plants was seldom observed in all plots,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cul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ulch rate of 10.0 ton h $a^{-1}$ . With an increase of barley straw mulch rate, the effective tillering rate and spikelet number $m^{-2}$ decreased while ripened grain ratio increased. The rice grain yield was sligh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barley straw mulch rate,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all barley straw mulch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yield loss although the total barley straw production, approximately 5.0 ton h $a^{-l}$ in the present study, apply in the paddy for the following rice cultivation by no-tillage direct seeding.ect seeding.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 생산성반응과 기술적 대응 (Impact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on crop Productivity)

  • 신진철;이충근;윤영환;강양순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12-27
    • /
    • 2000
  • During the recent decades, he problem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has been in the forefront of scientific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variability on crop growth and yield. The growth duration was the main impact of climate variability on crop yield. Phyllochronterval was shortened in the global worming situations. A simple model to describe developmental traits was provided from heading data of directly seeded rice cultivars and temperature data. Daily mean development rate could be explained by the average temperature during the growth stage. Simpl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daily mean development rate(x) and the average temperature(y) during the growth period as y = ax + b. It can be simply modified as x = 1/a $\ast$ (y-b). The parameters of the model could depict the thermo sensitivity of the cultivars. On the base of this model, the three doubled CO2 GCM scenarios were assessed. The average of these would suggest a decline in rice production of about 11% if we maintained the current cultivars. Future cultivar's developmental traits could be suggested by the two model parameters.

  • PDF

건답직파 벼 논에서 Rhizopus sp.에 의한 모마름병 발생과 감염정도가 벼 후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Occurrence of Rice Seedling Blight Caused by Rhizopus sp. in Direct-Seedling Dry Paddy Field and Its Effects on the Later Growth of Rice)

  • 강수웅;권진혁;정부근;박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4-97
    • /
    • 1995
  • In 1994, an abnormal rice growth was observed in a 0.5-ha scale farmer's field located at Chogye-Myeon, Hapcheon-Gun, Gyeongnam Province where rice cv. Hwayeongbyeo was seeded directly in dry paddy field conditions. The major symptoms were less stands per acreage, short leaf length, and hypertrophy of root tip portion. The disorder was identified as rice seeding bight caused by Rhizopus sp. The average plant stand per m2 in the infested field was 108, while it was 375 in the normal field, and leaf growth was retarded to less than one-third of healthy plant. The average leaf lengths of infected and healthy seedlings were 12.8cm and 38.9cm, respectively. When the infecte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to pots, flooded-soil conditions developed no new root growth but upland conditions allowed 11.2 new roots emerging. The length of newly emerged root in infested soil was 5.3cm in upland and 7.1cm in intermediate flooding conditions. However, it was 10.9cm in non-infested soil with intermediate flooding conditions. When the plants were matured, the stem length of infected plants was reduced slightly as compared to normal plants, whereas the length of panic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fected and healthy plants. The number of panicle per plant, however, greatly different with variation of infection degree. Grain quality such as the number of complete and incomplete grains per panicle, the complete grain weight per panicle, and the weight of 1000 grai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PDF

건답 직파재배 논에서 질소비료 형태에 따른 시용효과 (Effect of Various Nitrogen Fertilizers on Rice Yield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박철수;정영상;이호진;주진호;서준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18-324
    • /
    • 2000
  • 건답 직파 재배 포장에서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와 유기질 비료의 시용 효과를 강원도 춘천시 천전리에 소재하는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농장에서 포장시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직파된 공시품종은 오대벼였다. 질소의 수준은 95년과 96년에는 $150kg\;ha^{-1}$를 표준으로 하였고, 97년 시험에서는 녹비 작물의 질소질 비료의 성분을 고려하여 기비와 추비를 합한 질소 수준을 $120kg\;ha^{-1}$로 하였다. 요소의 분시 방법으로 분시비율 40-0-30-30과 0-40-30-30 처리를 하고,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와 polymer resin을 입힌 완효성 비료로만 처리하였다. 요소 시용구에서 인산과 칼리는 각각 70kg과 $80kg\;ha^{-1}$수준으로 기비 처리하였다. 유기질비료로 춘천시 신북 농협에서 공급되는 계분 발효 퇴비를 $4,800kg\;ha^{-1}$기비시용에 $50kg\;N\;ha^{-1}$ 추비구와 $6,000kg\;ha^{-1}$ 기비만의 시용구를 두었다. 구당 면적은 $75m^2$이었다. 포장시험 결과 건답 직파 재배구의 수량은 요소 시용구에서 이앙 재배구의 80.7% 수준이었으며, 분시 방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유기질비료를 다량 시비한 $6,000kg\;ha^{-1}$구에서는 이앙 재배구 수량의 78.1%이었고, $4,800kg\;ha^{-1}$ 기비시용에 $50kg\;N\;ha^{-1}$ 추비구의 수량은 76.8%이었다. Polymer 입힌 완효성 비료구의 수량은 이앙 재배구의 81.0%이었다.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 시용구의 수량은 이앙 재배구의 96.8%로 높았다.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의 시용 효과가 다른 비료에 비해 효과가 있는 이유는 고형의 단단하고 큰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료 성분이 서서히 용출되어 나와 효과적으로 작물에 공급된 한편 비료 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온도가 낮은 춘천 지역에서 직파 재배에 따른 호맥 생육 기간이 짧아 질소 공급효과는 적었다.

  • PDF

건답(乾畓) 직파(直播) 논에서 초기(初期)의 암모니아 휘산(揮散) 경감(輕減)을 위한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의 효과(效果) (Use of Phosphate Coated Urea to Decrease Ammonia Volatilization Loss from Direct Seeded Rice Field at Early Stage)

  • 정영상;하상건;조병옥;이호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14
    • /
    • 1996
  •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栽培) 논에서 건답(乾畓) 초기(初期)에 표면(表面) 시용(施用)된 요소(尿素)의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을 알아내고, 이를 억제(抑制)하기 위하여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의 사용(使用)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인산(燐酸)입힌 요소(尿素)는 요소(尿素) 94.5%, 인산(燐酸) 5%, 그리고 silica powder 0.5% 비율로 섞어 조제하였다. 토양(土壤) 수분(水分)이 다른 상태로 조절한 토양(土壤)에 요소(尿素),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 및 urease 활성 억제제인 thio urea 5%를 처리하여 실험실 내에서 요소(尿素) 가수 분해율(分解率)을 조사하였다. 건답(乾畓) 직파(直播) 포장(圃場)에서의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을 측정하기 위하여 직경22.5cm 높이 40cm인 아크릴 원통을 이용하여 인산(燐酸)과 giycerol 암모니아 포집포를 설치하여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을 조사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상태에서 요소(尿素) 첨가 후 3일만에 요소(尿素) 잔존률이 39.6%로 떨어졌고, 1주일 후에는 대부분의 요소(尿素)가 가수(加水) 분해 되었다. Thiourea의 사용에 의하여 가수분해(加水分解) 억제 효과가 있었다.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를 첨가한 경우 3일만의 요소(尿素) 잔존률은 높았으나, 7일 후에는 요소(尿素) 첨가와 비슷해졌다. 토양수분(土壤水分) 함량이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이상으로 충분한 조건에서는 요소(尿素) 및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 첨가 1주일 후의 가수분해율(加水分解率)은 97~98%로 차이가 없었고 thiourea 사용 효과만 있었다. 비교적 건조한 상태인 300KPa 수분(水分) 상태에서는 습윤한 상태 보다 가수(加水) 분해율(分解率)이 낮았으며,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와 thiourea 첨가 요소(尿素)의 가수분해율(加水分解率)은 요소(尿素) 사용에 비해 낮았다. 건답(乾畓) 직파(直播) 논에서 포장(圃場) 시험한 결과 담수 전인 건답(乾畓)상태에서 요소(尿素) 시용구에서는 시용 질소(窒素)의 14.7%가 암모니아로 휘산(揮散)되어 손실되었으며,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와 인산(燐酸)과 magnesium phosphate를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암모니아 휘산률(揮散率)은 2~4%로 매우 낮았다. 한편 축산분(畜産糞)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를 사용한 구에서의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 역시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