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al Broadcast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1초

지향성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MNDB 프로토콜 (A MNDB Protocol for Reliable Directional Broadcast)

  • 차우석;김은미;배호영;이배호;조기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1호
    • /
    • pp.118-127
    • /
    • 2006
  • 무선 네트워크의 물리계층에서 이용하는 무선 전송매체는 전송 범위내의 모든 이웃 노드들이 동시에 전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트 전파 특성을 갖는다. 기존의 비동기 무선 MAC 프로토콜들은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구제적인 해결 방안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무지향성 브로드캐스트가 과다한 채널 경쟁과 충돌을 발생시켜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링크계층에서 지향성 안테나와 이웃노드 정보를 이용하여 지향성 브로드캐스트를 지원하는 MNDB(MAC protocol with Neighborhood for reliable Directional Broadcast)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MNDB 프로토콜은 이웃노드 정보와 RTDB, CTDB, DDATA, DACK의 4-way 핸드셰이크에 의한 DMACA(Directional Multiple Access Collision Avoidance) 구조를 기반으로 신뢰성 있는 지향성 브로드캐스트를 지원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MNDB 프로토콜과 기존의 $RMDB^{[2]}$ 참고문헌 [3]의 프로토콜 2, IEEE 802.11 프로토콜$^{[9]}$를 비교대상으로 브로드캐스트로 인한 충돌과 패킷 분실, 패킷 중복수신, 브로드캐스트 전송지연 관점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지향성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무선 LAN MAC 프로토콜 (An Enhanced WLAN MAC Protocol for Directional Broadcast)

  • 차우석;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1호
    • /
    • pp.16-27
    • /
    • 2006
  • 무선 네트워크의 물리계층에서 이용하는 무선 전송매체는 전송 범위내의 모든 이웃 노드들이 동시에 전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브로드캐스트 전파 특성을 갖는다. 기존의 비동기 무선 MAC 프로토콜들은 신뢰성 있는 브로드캐스트에 대한 구제적인 해결 방안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무지향성 브로드캐스트가 과다한 채널 경쟁과 충돌을 발생시켜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링크계층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지향성 브로드캐스트를 지원하는 MDB(MAC protocol for Directional Broadcast)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MDB 프로토콜은 DAST(Directional Antennas Statement Table) 정보와 4-way 핸드셰이크에 의한 D-MACA(Directional Multiple Access Collision Avoidance) 구조를 기반으로 Hidden Terminal 문제와 Deafness 문제를 해결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MDB 프로토콜과 기존의 IEEE 802.11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프로토콜[9]와 참고문헌 [3]의 프로토콜 2를 비교대상으로 브로드캐스트로 인한 충돌 발생률과 브로드캐스트 완료율 관점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는 네트워크 밀도가 높을수록 MDB 프로토콜이 기존의 프로토콜보다 높은 브로드캐스트 완료율과 낮은 충돌 발생률을 보였다.

로컬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한 이동 IP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Mobile IP Multicast Protocol Losing Local Broadcast)

  • 차용주;김화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C호
    • /
    • pp.208-217
    • /
    • 2001
  • 이동 인터넷 환경에서 이동 멀티캐스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존의 Mobile IP 프로토콜과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을 그대로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멀티캐스트 데이터그램은 특정 노드의 IP 주소가 아닌 그룹 주소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Mobile IP에서 처리할 수 없는 라우팅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ETF에서는 원격지 등록(remote subscription) 방식과 양방향 터널링(hi-directional tunneling)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원격지 등록 방식은 멀티캐스트 트리를 재구성하는데 발생하는 시간지연이 크기 때문에 심각한 멀티캐스트 데이터그램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양방항 터널링 방식에서는 멀티캐스트 경로가 최적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 빠르게 멀티캐스트 데이터그램을 수신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는 Mobile If Multicast using Local Broadcast(MIMLB)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MIMLB 프로토콜은 터널링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멀티캐스트 데이터그램을 수신하도록 하였고, 멀티캐스트 데이터그램의 중복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멀티캐스트 트리 경로의 최적화를 위하여 로컬 브로드캐스트 기법을 도입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하였으며, 기존 프로토콜에 비해 이동 노드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 부가되는 경로의 길이가 줄었고, 라우팅 경로가 최적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변수화된 영상 보정을 통한 전방향 영상 생성 방법 (Omni-directional Image Generation Algorithm with Parametric Image Compensation)

  • 김유나;심동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96-40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변수화된 영상 보정을 통한 전방향 영상 (Omni-directional image)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모든 방향의 영상을 포함하고 영상 합성 시에 발생하는 왜곡과 에러를 최소화하는 전방향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원형 좌표계를 기반으로 평면 영상을 원형 영상으로 변환한다. 카메라로 획득한 각각의 영상은 카메라의 시스템과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비그네이팅 효과와 조명 변화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최적의 비그네이팅 및 조명 변수를 추출하여 자연스러운 전방향 영상 생성을 위한 영상 보정 과정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전방향 영상을 확인하고 비그네이팅 효과 및 조명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제안한 방법이 $1{\sim}4dB$ 정도 더 효과적임을 보인다.

PROPOSAL OF TRACKING LAN ANTENNA USING IMAGE SENSOR

  • Uranishi, Yuki;Ikeda, Sei;Shimada, Hideki;Manabe, Yoshitsugu;Chihara, Kunihir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742-745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wireless LAN antenna system that tracks an object automatically by using image-based tracking.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camera and a pan-tilt unit in addition to a directional wireless LAN antenna. The camera and the directional antenna are set in same direction and they are set on the pan-tilt unit. A target object which has a wireless LAN receiver is tracked by using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And the directional antenna faces in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by the pan-tilt unit. Therefore, the directional antenna keeps pointing the receiver, and a transmitting efficiency is improved. A result of a fundamental experiment shows that a receiver attached to a flying airship was tracked by a prototype of the proposed antenna system. The airship flied about, and the proposed antenna system was set on a roof of a building. The experimental result indicates an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irectional LAN antenna.

  • PDF

양방향 맞춤형 방송 단말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roadcasting Receiver for Bi-directional Personalized Broadcasting Service)

  • 홍창호;임종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83-296
    • /
    • 2004
  • TV애니타임(TV-Anytime) 메타데이터는 단방향이나 양방향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전송되는데, 양방향 맞춤형 방송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특화된 개인 정보를 리턴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 서버로 전송하고, 메타데이터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을 보내 줌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르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양방향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양방향 맞춤형 방송 단말기를 설계하고 실제 구현을 통해 양방향 맞춤형 방송 서비스의 실현 예를 보였다. 제작된 단말기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및 녹화 등의 디지털 방송 녹화기로서의 기능과, TV애니타임 규격과 메타데이터 서비스 검색을 위한 UDDDI 규격을 바탕으로 양방향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FUZZY-FILTER-BASED APPROACH TO RESTORATION OF THE OLD MOVIES

  • Tomohisa-Hoshi;Takashi-Komatsu;Takahiro-Sait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9년도 KOBA 방송기술 워크샵 KOBA Broadcasting Technology Workshop
    • /
    • pp.29-34
    • /
    • 1999
  • We present a practical method for removing biotches and restoring their mission data. To detect blotches, we employ a robust approach of local analysis of spatiotemporal anisotropic brightness continuity Our approach uses first-order spatiotemporal directional derivatives to select the smoothest direction for each examined pixel, and puts out the incorruption probability that he examined pixel may not be corrupted by blotches. As the restoration filter, were employ a spatiotemporal fuzzy filter whose response is adap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a fuzzy rule defined by the incorruption probability. The fuzzy filter is composed of the two different filter of the identity filter and the spatiotemporal directional-weighted-mean filter, and will put out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original input brightness and the directional-weighted-mean brightness. We design the fuzzy rule in advance by a standard supervised learning fuzzy rule in advance by a standard supervised learning method. The computer simulations are presented.

BI-DIRECTIONAL TRANSPORT AND NETWORKED DISPLAY INTERFACE OF UNCOMPRESSED HD VIDEO

  • Park, Jong-Churl;Jo, Jin-Yong;Goo, Bon-Cheol;Kim, Jong-Won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184-188
    • /
    • 2009
  • To interactively share High Definition (HD)-quality visualization over emerging ultra-high-speed network infrastructure, several lossless and low-delay real-time media (i.e., uncompressed HD video and audio) transport systems are being designed and prototyped. However, most of them still rely on expensive hardware components. As an effort to reduce the building cost of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tegration of both transmitter and receiver machines into a single bi-directional transport system. After detailed bottleneck analysis and subsequent refinements of embedded software components, the proposed integration can provide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based bi-directional transport of uncompressed HD video and audio from a single machine. We also explain how to interface the Gbps-bandwidth display output of uncompressed HD media system to the networked tiled display of 10240 $\times$ 3200 super-high-resolution. Finally,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proposed integration, several prototype systems are built and evaluated by operating them in several different experiment scenarios.

  • PDF

JM KTA 소프트웨어에서 인트라 및 인터 예측블록이 혼합된 코딩 방법 (Adaptive Combination of Intra/Inter Predictions in JM KTA Software)

  • 김민재;서찬원;장명훈;한종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90-20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KTA 소프트웨어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적응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확장된 매크로 블록 내에서 인터 예측 블록들을 먼저 부호화 및 복호화한 후 그 복원값들을 인트라 예측 부호화 과정에서 이용한다. 기존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서는 현재 블록의 우측과 하단에 위치한 화소들을 이용하지 못하였으나,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현재 부호화하려는 블록의 상단과 좌측뿐만 아니라 우측 또는 하단의 복호화가 완료된 화소를 이용하여 양방향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양방향 예측 필터를 디자인하였고, 확장 매크로블록 내의 매크로블록들의 적응적인 코딩 순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신택스 구조를 수정하였다. 컴퓨터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 기술에 비해 압축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맞춤형 광고 서비스 및 양방향 개인 맞춤형 방송 시스템 구축 (The Development of the Bi-directionally Personalized Broadcasting and the Targeting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the User Profile Techniques)

  • 신사임;이종설;장세진;이석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32-641
    • /
    • 2010
  • 본 논문은 양방향 개인 맞춤형 방송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맞춤형 방송이란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만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양방향 방송 서비스는 사용자의 방송단말과 방송 서버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여 만족도 높고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양방향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맞춤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표준인 TV-Anytime에서 제안하고 있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프로파일과 콘텐츠 데이터 및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포함한 맞춤형 방송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양방향 데이터 전송까지 지원하고 있다. 구축된 양방향 맞춤형 방송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통하여 개인 별로 선호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를 추천 및 지원하여 사용자의 시청 만족도를 높였으며, 기존의 방송과 차별화된 지능적인 방송 서비스의 지원으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