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tera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3초

강릉시 주수천에 서식하는 쌀미꾸리 Lefua costata (Pisces: Namacheilid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Eight Barbel Loach, Lefua costata (Pisces: Namacheilidae) in the Jusucheon (Stream) Gangneung-si, Korea)

  • 권혁영;한미숙;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38
    • /
    • 2023
  • 쌀미꾸리 Lefua costata의 섭식생태를 밝히기 위해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쌀미꾸리는 주로 수온 5℃ 이상 되는 3월부터 12월까지 섭식을 하였고, 섭식률은 4~5월, 9~10월에 정점을 보였다. 위 내용물을 상대중요성지수(IRI)로 분석한 결과, 주로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의 파리목(Diptera, 77.1%),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0.3%), 날도래목(Trichoptera, 1.7%), 잠자리목(Odonata, 0.4%)이었으며, 그 외 먹이생물은 환형동물문(Annelida)의 턱거머리목(Arhynchobdellida, 0.6%)과 실지렁이목(Tubificida, 0.1%), 선형동물문(Nematoda, 0.2%), 어류(Actinopterygii, 0.1%), 연체동물문(Mollusca)의 백합목(Veneroida) 등 다양하였다. 계절별로 보면, 봄에는 파리목(55.4%)과 하루살이목(41.6%)을, 여름에는 파리목(92.7%)과 환형동물문(Annelida, 6.8%)을, 가을에는 파리목(70.8%)과 하루살이목(9.0%), 날도래목(8.1%), 환형동물문(7.7%)을 주로 섭식하였다. 연령별로 보면 당년생 치어(0+)는 비교적 먹이 크기가 작은 파리목(주로 깔따구과(Chironomidae), 98.2%)만 거의 섭식한 반면, 성장하면서 파리목의 비율이 점점 감소하고 비교적 크기가 큰 하루살이목과 환형동물문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먹이 생물 크기는 당년생 치어(0+) 2.5±1.05 mm, 1년생(1+) 3.2±1.29 mm, 2년생(2+) 3.7±2.05 mm, 3년생 이상(≥3+) 6.8±4.97 mm로 성장하면서 급격히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홍천강 상류에 서식하는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의 식성 (Feeding Habit of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 from the Hongcheon River, Korea)

  • 최재석;이광열;장영수;박정호;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29-37
    • /
    • 2006
  •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생곡리에서 2002년 4월부터 2003년 3월까지 하천의 상류수역에 서식하는 한국 특산종인 R. kumgangensis의 식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R. kumgangensis는 주로 Ephemeroptera, Diptera, Terrestrial insects와 Trichoptera를 섭식하는 식충성 어류로 밝혀졌다. 주요한 먹이생물은 깔다구류(Chironomus sp.)였다. 크기가 작은 개체군에서는 Diptera와 같은 작은 크기의 먹이를 섭식하고, 성장함에 따라 Ephemeroptera와 Terrestrial insects같은 크기가 큰 먹이로의 먹이 전환이 일어난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라 먹이항목의 상대적 비율이 변화한다.

호산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인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Endangered Cottus hangiongensis in the Hosan Stream, Korea)

  • 백현민;심하식;윤희남;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79-284
    • /
    • 2008
  • 호산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어종인 한둑중개의 섭식생태에 대하여 2006년 9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계절별로 채집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한둑중개의 소화관 내용물에서 확인된 먹이생물로는 대부분이 수서곤충이었고 그 이외에 선충, 소형어류, 어류의 알, 다슬기 등이 조사되었다.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수서곤충의 상대적중요성지수비는 파리목 (Diptera), 날도래목 (Trichoptera), 하루살이목 (Ephemeroptera), 강도래목 (Plecoptera) 순이었다. Chironomidae sp. 1 (White type)과 Hydropsyche kozhantschikovi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조사되었다. 건조 중량비에 따른 계절적 먹이생물의 변동으로서 봄과 여름에는 Trichoptera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가을에는 Diptera, 겨울에는 Plecoptera가 가장 비율이 높았다.

Description of Larval and Pupal Stages of Tipula (Nippotipula) sinica (Diptera, Tipulidae) from South Korea with Ecological Notes

  • Jo, JaeIc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3권1호
    • /
    • pp.56-59
    • /
    • 2017
  • The external anatomy of the immature stages (last instar larva and pupa) of the crane fly, Tipula (Nippotipula) sinica Alexander, 1935 (Diptera: Tipulidae)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from specimens first collected in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Comments concerning natural history and microhabitats of larvae are provided. This is the first detailed description with illustrations for the last instar larva and pupa of Tipula (Nippotipula) sinica. Pupal characteristics resemble those of most species from advanced lineages within the subfamily Tipulinae. And, also it described with habitats and biological notes of Tipula (Nippotipula) sinica. Crane fly larvae, categorization as found in this survey indicate a taxonomic stream and are expected to help.

금당천에 서식하는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in the Keumdang Cheon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8-208
    • /
    • 2023
  • 얼록동사리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당천에서 2021년 3월부터 11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연령별로(1년생, 2년생, 3년생 이상)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절지동물(Arthropoda, 개체수 86.6%) 갑각강(Malacostraca, 연갑강)의 등각목(Isopoda), 단각목(Amphipoda), 십각목(Decapoda), 수서곤충(Aquatic insect)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노린재목(Hemipter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환형동물(Annelida, 개체수 7.3%) 환대강(Clitellata)의 실지렁이목(Tubificida), 가시지렁이목(Haplotaxida), 부리거머리목(Rhynchobdellida), 연체동물(Mollusca, 개체수 2.8%)에 속하는 복족강(Gastropoda)의 수병안목(Systellommatophora)과 중복족목(Mesogastropoda), 척추동물에 속하는 어류(3.3%) 그리고 어란 등 다양하였다. 수서곤충, 어류, 갑각류, 환형동물 등을 주로 서식하였으며 수서곤충이 개체수에 있어 70.0%, 생체량은 31.7%, 상대중요성지수는 72.7%로 가장 중요한 먹이원이었다. 식성은 육식성 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전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개체량과 생체량에 있어 파리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어류, 새우류, 날도래류, 잠자리류 등이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하였다. 봄에는 먹이생물 중 파리류(65.3%), 지렁이류(14.5%), 하루살이류(7.0%) 등을 주로 섭식하였고 여름에는 파리류(58.6%), 하루살이류(24.5%), 어류(4.8%) 등이 풍부하였고 가을에는 파리류(30.1%), 하루살이류(20.4%), 등각류(13.3%) 등을 많이 섭식하였다.

New Species of Philophylla Rondani from Myanmar in Comparison with Closely Related Sympatric Species, Philophylla nigroscutellata (Hering) (Diptera: Tephritidae)

  • Ho-Yeon Ha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3호
    • /
    • pp.237-241
    • /
    • 1999
  • Philophylla heringi, sp. nov., and P. nigroscutellata(Hering) are described, illustrated, and distinguished from related species. These two species, both of which were collected from Kambaiti, Myanmar, closely resemble each other in external appearance, but show many differences in the female postabdominal structures. In addition, previous identification of P. nigroscutellata and P. bisecta Hardy and Adachi are elucidated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holotypes of both species.

  • PDF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Trigonospila Pokorny (Diptera: Tachinidae: Blondeliini) in Korea

  • Byun, Hye-Woo;Han, Ho-Ye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3호
    • /
    • pp.243-249
    • /
    • 2010
  • As a result of a taxonomic review of the tachinid genus Trigonospila Porkorny in Korea, we recognized two species: T. ludio (Zetterstedt) and T. transvittata (Pandell$\acute{e}$). The former specie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e here provide a key to the Korean species, redescription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한국산 머리파리과의 분류 3. 북한산 애머리파리속(Nephrocerus)에 대하여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Pipunculidae from Korea(Diptera) part 3. A new species of the genus Nephrocerus Zetterstedt from North Korea)

  • ;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9
    • /
    • 1992
  • 한국산 머리파리과 계통분류의 일환으로 북한에서 채집된 머리파리류를 동정하던 중, Nephrocerus 속의 1 신종, N. paektusanensis sp. nov.(애머리파리, 신칭)을 발견하였기에 기재 보고코자 한다.

  • PDF

한국산 어리아이노각다귀(파리목, 각다귀과)의 미성숙 단계의 형태 (Immature Stages of Tipula patagiata (Diptera, Tipulidae) from Korea)

  • 김동상;이종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3-266
    • /
    • 2004
  • Tipula속에 속하는 한국산 어리아이노각다귀(Tipula patagiata Alexander)의 알, 유충, 번데기 단계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 단계 및 영기별로 기재하고, 형태적 특징을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이 종의 미성숙 단계는 한국에서 처음 기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