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 Estima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BOX 모델을 이용한 금강 하구해역의 물질수지 산정 (Estimation of material budget for Keum river estuary using a Box Model)

  • 김종구;김동명;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76-90
    • /
    • 2000
  • 물질수송 해석을 위한 박스모델 형태의 물질수지모델을 이용하여, 주변의 많은 환경적 변화 요인을 내재하고 있는 금강하구를 대상으로 계절별 영양염 물질순환 특성을 평가하였다. 담수 유입 및 유출은 계절에 따라 약 4~14배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물수지에 의한 담수유 출량은 1.014×10/sup 8/~12.566×10/sup 8/m³/month로 나타났으며, 담수유출량의 99.7%가 하천수의 유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수지에 의해 계산된 담수존재량은 0.339×10/sup 8/~0.652×10/sup 8/m³이었고, 평균체류시간은 1.6~10.0일, 해수교환시간은 2.2~11.9일로 계산되었다. 평균체류시간은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강우집중시기인 하계 풍수기에는 1.6일의 짧은 체류시간을 보인 반면 동계 갈수기에는 10.0일의 평균체류시간을 나타내었다. 영양염 수지로 계산된 DIP의 유입flux의 범위는 5.57~32.68ton/month이었고, DIN 유입flux는 234.93~2,373.39ton/month로 계산되었다. 영양염의 체류시간을 보면, DIP의 경우 1.1~6.4일의 범위를, DIN의 경우 1.8~10.9일의 범위를 보였고, 담수체류시간과 비교하면, DIP는 0.39~2.31배, DIN은 0.83~l.13배를 나타내었다. DIP의 경우 하계를 제외한 전 계절에서 담수 체류시간보다 짧아 DIP가 빠르게 순환되었으나, DIN의 경우 하계와 동계에 담수체류시간보다 긴 순환비를 보여 영양염이 축적됨을 알 수 있다.

  • PDF

카테너리 각도를 이용한 가공송전도체의 이도 추정 (Dip Estimation for Overhead Transmission Conductor using Catenary Angle)

  • 김성덕;손홍관;장태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2-119
    • /
    • 2007
  • 가공송전 도체는 정상 동작조건 하에서 전력회사의 선로 설계지침에 규정된 지상고를 안정범위 내에서 항상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선로를 건설하거나 노화도체의 장력을 다시 조정하거나 또는 전력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동적송전용량을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도체 이도를 측정/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체의 카테너리 각도로 이도 및 장력을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가공송전선로의 대부분의 도체들은 전형적인 카테너리 곡선을 나타내므로 철탑 측의 카테너리 각도로부터 도체의 카테너리 곡선을 유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 카테너리 곡선을 토대로 도체의 이도나 수평장력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몇 가지 시뮬레이션과 간단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가공송전선의 도체 이도와 장력을 측정/또는 모니터링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용융아연 도금강판으로 제조된 파형강관의 내구수명예측 (Estimation of Durability of corrugated Steel Pipes Made of Hot-Dip Galvanized Sheet Steels)

  • 김종상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47-358
    • /
    • 1994
  • Estimation of durability for corrugated steel pipe(CSP) has been evaluated by using several analytical methods. This study, using a plain hot-dip galvanized CSP as the base line, addresses additional coatings such as polymers sand bituminous coatings that may be used to achieve a desired design life of at least 50years. The behavior of both the soil side and the effluent side of the pipe have been studied. It is estimated that CSP generally provides outstanding dura-bility with regard to soil side effects, and that virtually any required service life can be attained by selecting appropri-ate coatingss and/or thickness of steel substrate. This study is limited to storm drainage systemss carrying naturally oc-curring surface water only. The recommendation in this report do not apply to sanitary or industrial waste sewers or other conduits used to carry corrosive effluents.

  • PDF

당항만의 여름과 가을의 부영양화 평가 (Estimation of Eutrophication during Summer and Fall in Danghang Bay)

  • 김성재;유영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3-392
    • /
    • 2017
  • 당항만의 입구(진해만)부터 거산소류지 바로 아래까지 22개의 조사정점을 설정하고 여름은 2013년 8월, 9월(초순), 가을은 10월, 11월에 해역의 부영양화를 조사하였다. 여름철 총클로로필(TChl) 농도는 가을보다 평균 약 3.7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여름에 당항만 중심에 가까운 조사정점들이 담수가 유입하는 바깥쪽 조사정점들보다 평균 약 1.8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여름과 가을에 당항만은 모든 조사정점에서 부영양화 지수(eutrophication index, EI)가 1을 초과함으로서 다른 조건이 갖추어지면 항시 적조가 발생할 수 있는 해역으로 나타났다. 여름과 가을에 EI는 만 입구에서 만의 내측(마동호 예정해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고, 특히 가을은 조사정점 13~22(마동호 예정해역)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나머지 조사정점보다 평균 약 2.3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여름과 가을에 당항만은 질소가 조류 성장의 제한영양염류(limiting nutrient)로 나타났으나 여름 장마기간 중에는 인이 제한영양염류로 나타났다. 여름과 가을에 당항만의 EI와 COD, DIN, DIP 사이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DIP가 E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나타내 주었다. 한편 여름에 TChl과 COD, DIN, DIP, DSi 사이의 다중선형회귀분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DIP가 TChl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나타내 주었다. 가을은 TChl과 모든 지표들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물질순환 모델을 이용한 마산만의 질소, 인 수지 산정 (The Estimation of N, P mass Balance in Masan Bay using a Material Cycle Model)

  • 김동명;박청길;김종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33-843
    • /
    • 1998
  • It is noted that the red tides and the oxygen-deficient water mass are extensively developed in Masan Bay during summer. The nutrients mass balance was calculated in Masan Bay, using the three-dimensional numerical hydrodynamic model and the material cycle model. The material cycle model was calibrated with the data obtained on the field of the study area in June 1993. The nutrients mass balance calcul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residual currents and material cycle model results showed nutrients of surface and middle levels to be transported from the inner part to the outer part of Masan Bay, and nutrients of bottom level to be transported from outer part to inner part of Masan Bay. The uptake rate of DIN in the box A1(surface level of inner part) was found to be 337. 5mg/$m^3$ㆍday, the largest value in all 9 boxes and that of DIP was found to be 18.6mg/$m^3$ㆍday in box A1, and the regeneration rate of DIN was found to be 78.2mg/$m^3$ㆍday in the box A3(bottom level of inner part), and that of DIP was found to be 18.6mg/$m^3$ㆍday in box A1. The regenerations of DIN and DIP in the water column of the entire Bay were found to be 7.66ton/day and 760kg/day, respectively. And the releases of DIN and DIP from the sediments of the entire Bay were found to be 2.86ton/day and 634kg/day, respectively. The regeneration rate was 2.5 times as high as the release rate in DIN, and 1.2 times in DIP. The results of mass balance calculation showed not only the nutrients released from the sediments but the nutrients regenerated in water column to be important in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 PDF

메조코즘 실험을 통한 진우도 갈대군락의 영양염 물질수지 산정 (Estimation of Nutrient Mass Balance in a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in Jinudo Through a Mesocosm Experiment)

  • 류성훈;이인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5-5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갈대군락의 영양염 물질수지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갈대군락 Mesocosm 실험을 통해 수층-갈대(뿌리, 잎, 줄기)-토양의 영양염(DIN, DIP) 농도의 춘계 및 하계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물질수지를 산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갈대의 생체량은 춘계에는 지하경이 지상경에 비해 약 6.3~9.7 % 높으며, 하계에는 지상경이 지하경에 비해 약 19.2~21.2 % 높게 나타났으며, 갈대의 성장속도는 Mesocosm Tank A가 Mesocosm Tank D에 비해 지상경과 지하경 모두 2~3배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2) Mesocosm Tank에서의 갈대의 영양염(DIN, DIP) 농도는 춘계와 하계 모두 각각 2~3 %로 차이가 적었다. 3) Mesocosm Tank별 생체량의 차이는 최대 23 %로 나타나지만, 갈대가 흡수하는 영양염의 농도는 최대 3 % 정도로 차이가 적었다.

유도성 부하 네트워크의 기동에 의한 순간전압강하 및 기동전류 감쇄를 위한 제어시스템 (A Control System for Attenuating Voltage-Dip and Inrush Current Caused by Starting of Inductive Load Nnetwork)

  • 김상곤;최인겸;김태곤;서성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5
    • /
    • 2012
  • 유도성 부하 네트워크의 기동에 의한 순간전압강하 및 기동전류 감쇄를 위해, TRIAC PWM 모듈과 순차기동시스템으로 구성된 제어시스템을 제안한다. 에어컨 컴프레서와 같은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기동시 발생하는 높은 순간전압강하와 기동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TRIAC PWM 모듈이 개발되었다. 대용량 유도성 부하 네트워크에서 부하의 동시 기동을 방지하는 순차기동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제안된 제어시스템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본 시스템을 적용한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기동에 따른 배전계통의 순간전압강하 및 기동전류가 관련 국제규격을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으며, 유도성 부하들의 동시 기동 문제 또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하면 최대전력소모량에 근거하여 부과되는 전력비용을 절감하거나, 유도성 부하 네트워크가 연결된 동일 배전 계통의 전력품질 안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양만의 홍수기 및 갈수기의 오염물질 체류시간 산정 (Estimation of Pollutants Residence Time During the Flood and Dry Season in Gwangyang Bay)

  • 이인철;김진혁;공화훈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0-26
    • /
    • 2008
  • In this paper, in order to set up the management system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in Gwangyang Bay, the cluster analysis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the estimation of inflowing pollutant loads and residence time of pollutants in this bay was carried out. The Gwangyang Bay was divided into eight sea areas by cluster analysis and spatio-temporal change of water quality. The river discharges in the Bay were calculated about $11,681{\times}103m^3/day$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by Tank model. In addition, inflowing pollutant loads of COD, SS, TN, TP, DIN and DIP in Gwangyang Bay were estimated at 398 ton-COD/day, 2,846 ton-SS/day, 195 ton-TN/day, 5 ton-TP/day, 126 ton-DIN/day and 3 ton-DIP/day, respectively. Moreover, residence times of COD, TN and TP in the Bay was estimated at 6 days-COD, 20 days-TN and 195 days-TP, respectively in the dry season, and 3 days-COD, 6 days-TN and 21 days- TP, respectively, in the flood season. The central part of Gwangyang Bay (Region IV) has the longest residence time of overall pollutants.

2 축 가속도계 기반 지자기 센서 모듈의 교정 및 가속도계 오차에 의한 방위각 계산 오차 분석 (Biaxial Accelerometer-based Magnetic Compass Module Calibration and Analysis of Azimuth Computational Errors Caused by Accelerometer Errors)

  • 조성윤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49-156
    • /
    • 2014
  • A magnetic compass module must be calibrated accurately before use. Moreover, the calibration process must be performed taking into account any magnetic dip if the magnetic compass module has tilt angles. For this, a calibration method for a magnetic compass module is explained. Tilt error of the magnetic compass module is compensated using a biaxial accelerometer generally. The accelerometer error causes a tilt angle calculation error that gives rise to an azimuth calculation error. For error property analysis, error equations are derived and simulations are performed. In the simulation results, the accuracy of derived error equations is verified. If a biaxial magnetic compass module is used instead of a triaxial one, the magnetic dip and z-axis magnetic compass data must be estimated for tilt compensation. Lastly, estimation equations for the magnetic dip and z-axis magnetic compass data are deriv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equations is verified based on a simulation.

목포항 수질개선에 대한 목포하수처리장의 기여율 산정 (The Estimation of the contribution rate of Mokpo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to the Improvement of Marine Water Quality in Mokpo Harbour)

  • 김광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7-44
    • /
    • 2003
  • 목포항 해양수질개선에 대한 목포하수처리장 가동의 기여도를 평가하고 목포하수처리장 가동 후에 목포항에 유입하는 오염부하의 변화를 산정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 가동 전인 1997년 여론부터 1998년 봄까지의 건조기에 육지로부터 목포항에 유입하는 오염부하를 조사하고 목포항 주변의 하천들과 처리장 유출수의 계절별 유량 및 수질을 기초로 하여 유입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또한 하수처리장 가동 후인 1998년 겨울부터 1999년 볼까지 목포항에 유입하는 오염부하를 조사하고 목포하수처리장의 유입수 및 유출수의 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하수 처리장의 처리율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약 49%, 총부유성고형물(TSS)이 약 76%, 휘박성부유물(VSS)이 약 79%, 총질소(T-N)가 약 3%, 용존무기인(DIP)이 약 7%, 총인(T-P)이 약 29%, 용존무기질소(DIN)가 약 -32%를 보였다. 하수처리장 가동으로 인한 목포항 내항수역 유입오염부하 변화율은 COD가 약 56%, TSS가 약 78%, VSS가 약 84%, DM이 약 45%, T-N이 약 22%, T-P가 약 34%, DIP가 약 -14%를 보였다. 목포항 전역으로 유입하는 총오염부하의 감소에 대한 하수처리장 가동의 기여율은 COD가 약 3%, TSS가 약 3%, VSS가 약 5%, DIP가 약 1%, T-P가 약 3%, DIN이 약 -1%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