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spyros Kaki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2초

추출 조건을 달리한 감잎과 녹차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노령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Different Condition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 김성경;이혜진;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5호
    • /
    • pp.499-512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12-month-old rats. Fif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42$\pm$4.5g were block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weight and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the diets containing 5%(w/w) dried leaf powders of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and green tea(Camellia Sinensis O. Ktze), water or 75% and 95% ethanol extracts from same amount of each dried tea powder.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but weight gain of green tea powd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of all the tea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Especially, 7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liver total lipid leve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groups and 95% ethanol extracts groups in lipid metabolism.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were remarkably increased by all the green tea diets.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in liver were increased by the feeding of ethanol extracts from green tea and persimmon leaf powder.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not different among all groups. Plasma Thiobarbirut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s of all the green tea die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 It was thought that high flavonoids in green tea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promoting SO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also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high vitamin E and beta-carotene. Persimmon leaf powder decreased liver TBARS concentration by vitamin E, betacarotene and vitamin C and by increasing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with flavonoids. In conclusion,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in 12-month-old rats. Above all,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decreased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and persimmon leaf powder effectively inhibited liver lipid peroxidation. Extracts of green tea leaf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ethanol extracts were more effective than water extrac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and 95% ethanol extracts in lipid metabolism. (Korean J Nutrition 34(5) : 499~512, 2001)

  • PDF

한국전통차 재료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 흰주의 간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생성과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Water Extract on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 Activities in Lead Administered Rats)

  • 김덕진;조수열;신경희;이미경;김명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17-124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유해 활성산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 투여 하였다.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 투여 하여 사육한 결과 간조직 중 과산화지질 함량은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한국전통차 급여시 과산화지질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CYP 함량과 AD 활성은 납 투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투여로 억제된 활성이 회복됨으로써 한국전통차 급여가 CYP 함량과 산화적 디메틸화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납투여로 증가된 간조직의 XO와 SOD의 활성은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MAO 활성은 납 투여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었으며 녹차와 감잎 열수추출물 급여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간조직 중 CAT 활성은 납투여시 약 3.3배 증가되었는데 감잎군 37%, 녹차군 34%, 두충군 30%, 홍화군 28%, 순으로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GSH-Px와 GST 활성 및 글루타티온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한국전통차 급여로 회복되었다. GR 활성은 실험군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G6PD 활성은 납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실험식이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감나무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 Mancozeb 및 Propineb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to Benzimidazoles, Mancozeb and Propineb)

  • 임태헌;최용화;이동운;한상섭;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0
    • /
    • 2009
  • 감 과수원으로부터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carbendazim, thiophanate-methyl, mancozedb 및 propineb 등 총 4종의 살균제의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Carbendazim($415{\mu}g/m{\ell}$)과 thiophanate-methyl($750{\mu}g/m{\ell}$)에 대하여 90%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각각 68.2와 35.5%로 나타났으며 두 약제 사이의 교차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0.7862$). Mancozeb와 propineb에 대하여 91%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각각 90%과 53.6%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약제가 교차 저항성의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2=0.0174$). 시험에 사용한 두 종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와 mancozeb와 propineb 사이의 교차 저항성은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 품종 판별용 SCAR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Markers for Cultivar Identification in Persimmon)

  • 조강희;조광식;한점화;김현란;신일섭;김세희;천재안;황해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98-806
    • /
    • 2013
  • 중요 작물의 신속 정확하고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품종 판별은 실용적인 육종과 육종가의 권리 보호를 위해 필수적이다. 감 품종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형태적인 특성 평가를 근거로 하지만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품종들은 형태적 형질에 의해 품종을 구별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국내와 일본 감 32 품종을 판별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DNA 마커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40종의 임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RAPD 분석을 통해 품종 간 다형성을 나타내는 밴드 309종을 획득하였다. 프라이머에 따라 얻은 다형성 밴드 수는 4(OPP-08)-14(UBC159)개로 평균 7.7개였다. SCAR 마커로 전환하기 위해 57종의 RAPD 단편들을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그 중 15종이 SCAR 마커로 전환되었다. 개발된 15종의 SCAR마커는 프라이머 조합에 따라 RAPD 단편과 동일한 크기나 작은 크기의 단일 밴드가 증폭되었다. 이들 마커 중 8종(PS225_200, PSN05_420, PSF13_523, PSN11_540, PS372_567, PS485_569, PSP08_635, PS631_735)의 조합을 적용하여 증폭산물의 수와 크기에 따라 감 32품종의 판별이 가능하였다. 새로 개발된 마커들은 감 품종 판별을 위해 신뢰성 있는 수단으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90년대 이후 공동주택의 조경수 변화 추이 분석 (Analysis of the Transition of Landscape Plants on an Apartment Complexes since 1990's)

  • 김현준;이태영;박정임;권영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1-55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and analyze the transition of landscape plants on an apartment complexes in the 1990's and 2000'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atio of landscape area was increased from 30.0% to 34.7%. The number of trees per 100 square meter decreased from 22.5 to 15.7. The number of shrub per 10 square meter increased from 19.3 to 38.7. Species of Evergreen tree were increased 21 to 39. The species that a lot of use continuously were Pinus densiflora, Pinus strobus and Taxus cuspidata. The species that increase use were Abies holophylla and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The species that decrease use exceedingly, were Pinus parviflora, Juniperus chinensis, Pinus koraiensis and Thuja orientalis. The species that do not use were Cedrus deodara. Species of deciduous tree were increased 42 to 68. The species that a lot of use continuously were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Diospyros kaki, Prunus armeniaca and Prunus yedoensis. The species that increase use were Lagerstroemia indica, Chionanthus retusa, Cornus officinalis, Styrax japonica, Sorbus alnifolia, Prunus mume, Cercidiphyllum japonicum, Acer triflorum, Prunus sargentii, Chaenomeles sinensis and Cornus kousa. The species that decrease use exceedingly, were Acer buergerianum, Sophora japonica, Malus spp., Ginkgo biloba, Zizyphus jujuba var. inermis, Platanus orientalis and Albizzia julibrissin. The species that do not use were Liriodendron tulipifera, Acer saccharinum, Ailanthus altissima and Paulownia coreana. Species of shrub were incresed 39 to 65. The species that a lot of use continuously were Buxus kore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 albiflorum,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yringa dilatata and Euonymus japonica. The species that increase use were Rhododendron indicum, Ilex serrata,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Taxus cuspidata var. nana, Kerria japonic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Euonymus alatu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Nandina domestica, Cornus alba,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Prunus tomentosa, Deutzia parviflora and Pyracantha angustifolia. The species that decrease use exceedingly, were Hibiscus syriacus,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Chaenomeles lagenaria and Rosa spp. The species that do not use were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Jasminum nudiflorum and Sasa borealis.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 김은진;최주연;유미리;김미영;이상현;이복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7-3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약으로써 이용되었거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던 식물을 문헌고찰을 통해 40여종(자생식물 26종과 생약식물 14종)을 선발하여,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자생식물인 비수리의 폴리페놀(228.90 mg/g extract)과 플라보노이드 함량(90.15 mg/g extract)이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75.69%)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감나무와 관중의 폴리페놀 함량(감나무 112.98 mg/g extract, 관중 121.46 mg/g extract)과 플라보노이드 함량(감나무 46.10 mg/g extract, 관중 58.69 mg/g extract)은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DPPH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2.87%와 79.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약식물에서는 삼백초의 총 폴리페놀함량이 194.60 mg/g extract, 애엽이 203.93 mg/g extract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삼백초 66.27%, 애엽 66.22%)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삼백초와 애엽을 제외한 12종류의 생약식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50% 미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 다양한 자생식물과 약용식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기능성 탐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연구되지 않은 무수히 많은 식물 소재들이 많아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그 동안 대중화 되어있지 않았던 식물 소재들의 기능성 소재로의 가능성이 새롭게 조명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관련된 의약품, 미용제품 및 건강보조식품 등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조사한 자생식물과 생약식물 중 총 폴리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뛰어나게 나타난 몇몇 식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떫은감 분말의 첨가에 따른 두부의 제조와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stringent Persimmon Powder)

  • 이윤래;정헌식;성종환;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9-333
    • /
    • 2011
  • 떫은감(청도반시) 분말을 첨가한 두부 제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 분말의 첨가 시기(응고제 첨가 직전과 직후)와 양(0, 3, 6, 9%)을 달리하여 두부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의 첨가 시기가 응고제 첨가 직전인 경우가 직후인 경우보다 높은 두부 수율과 좋은 관능적 품질특성(외관,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을 보였다. 두부의 수율은 감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큰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두부의 hardness, chewiness, crispness는 감 분말 6% 이상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3%와 6%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특성 중 외관과 색은 첨가구가 보다 나쁘게 평가되었으나 냄새, 콩비린내, 떫은맛 및 조직감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9%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떫은감 분말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할 경우, 적합한 첨가 시기와 양은 응고제 첨가직전과 3-6%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껍질 열수 및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Anti-atopic Effect of Hot Water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luid Extract of Persimmon (Diospyros kaki) Peels)

  • 조병옥;윤홍화;방숭주;신재영;하혜옥;김상준;정승일;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94-4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종시 감껍질을 열수 추출 및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아토피 피부염 증상 억제 효과를 밝히고, 항염 효능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육안 평가를 통해 피부의 홍반(erythema), 가려움과 피부의 건조상태(pruritus and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and excoriation), 짓무름(erosion), 그리고 태선화(lichenification)와 같은 아토피 피부염 같은 증상이 AD 모델에서 증가하였지만, SPPE와 PPWE를 투여하였을 경우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두께와 염증 세포의 침윤은 AD 모델에서 크게 증가하였지만, SPPE와 PPWE를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중의 IgE와 IL-4의 수치를 측정한 결과, AD 모델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SPPE와 PPWE를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나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RAW264.7 세포에 SPPE를 처리하였을 경우 염증 매개 인자인 NO, $PGE_2$, IL-6, IL-$1{\beta}$의 생성량이 유의적의로 감소하였고, PPWE의 경우 NO, $PGE_2$, IL-$1{\beta}$의 생성을 억제한 반면 IL-6 생성 억제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염증 매개 인자 억제 효능은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껍질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과 염증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기능성 천연물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감 품종 판별을 위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 적용 검정 (The Applic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Discrimination of Sweet Persimmon Cultivars)

  • 박여옥;최성태;손지영;김은경;안광환;박지혜;정완규;장영호;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14-624
    • /
    • 2020
  • 최근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의 발달로 유전체 분석 사례는 증가하고 있으나, 단감에 있어 적용 가능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마커 및 적용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 고유 떫은감 5품종으로부터 개발된 SNP primer 들을 단감 품종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Jung 등에 의해 개발된 19개 SNP primer들의 PCR 조건을 확인 한 후 본 실험의 전기영동 방식으로는 분석이 매우 어려웠던 8개의 primer를 제외한 11개의 SNP primer들을 최종 선발하였다. 1, 2차 검증을 통해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76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20, 완전단감 30, 완전떫은감 20, 불완전떫은감 6)에 적용한 결과 38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8, 완전단감 18, 완전떫은감 9, 불완전떫은감 3품종)은 각 품종 및 계통 간 구분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신품종에 적용한 결과만를 보면 '감누리', '단누리', '홍추'와 '자미시', '미감조생'을 동시에 구분할 수 있어 단감 신품종 판별을 위한 특이적 마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염화칼슘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감 칼슘 알지네이트 비드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Effects of Calcium Chloride Concentration and Reaction Time on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Calcium Alginate Beads)

  • 용동희;송민경;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09-221
    • /
    • 2012
  • 본 연구는 분자요리 기법인 spherification 기법을 이용하여 감(Diospyros kaki)을 구형화시켜 염화칼슘의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감 칼슘 알지네이트 비드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염화칼슘의 농도(0.5, 0.75, 1.0 %)와 겔화 반응시간(2, 4, 6, 8, 10 min)에 따른 감 칼슘 알지네이트 비드의 색도 측정결과, 염화칼슘의 농도와 반응시간이 증가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부착성을 제외한 경도, 탄력성, 씸힙성, 응집성, 복원성은 염화칼슘의 농도와 반응시간이 증가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드의 막 두께와 형태의 분석결과 염화칼슘의 농도와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비드의 감퓨레 속에 있는 염화칼슘과 소디움 알지네이트의 반응이 활발해져 막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염화칼슘의 농도와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입체감, 탄력성, 단단함, 씹힘성, 잔여감은 모두 증가하였으며, 노란정도, 투명성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색상, 향, 맛에서는 염화칼슘의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염화칼슘 0.5%의 Control 시료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칼슘 알지네이트 비드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에 염화칼슘의 농도와 반응시간이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