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scorea japonica Thunb.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Dioscorea Extract (DA-9801) Modulates Markers of Peripheral Neuropathy in Type 2 Diabetic db/db Mice

  • Moon, Eunjung;Lee, Sung Ok;Kang, Tong Ho;Kim, Hye Ju;Choi, Sang Zin;Son, Mi-Won;Kim, Sun Yeou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5호
    • /
    • pp.445-45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DA-9801, an optimized extract of Dioscorea species, o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in a type 2 diabetic animal model. In this study, db/db mice were treated with DA-9801 (30 and 100 mg/kg, daily, p.o.) for 12 weeks. DA-9801 reduced the blood glucose levels and increased the withdrawal latencies in hot plate tests. Moreover, it prevented nerve damage based on increased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ultrastructural changes. Decrease of nerve growth factor (NGF) may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diabetic neuropathy. We previously reported NGF regulatory properties of the Dioscorea genus. In this study, DA-9801 induced NGF production in rat primary astrocytes. In addition, it increased NGF levels in the sciatic nerve and the plasma of type 2 diabetic animals. DA-9801 also increased neurite outgrowth and mRNA expression of Tieg1/Klf10, an NGF target gene, in PC12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attenuation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by oral treatment with DA-9801 via NGF regulation. DA-9801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in a phase II clinical study.

참마 분획물과 vitamin E 투여가 당뇨유발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_2O$ Fraction of Dioscorea japonica Thunb with Vitamin E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0-50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methanol로 온시여과 후 계통분획하여 감압농축하여 얻은 참마의 $H_2O$ 분획물을 vitamin E와 함께 STZ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게 14일간 경구투여한 후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대조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상의 변화로 정상군과는 다른 대사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당뇨대조군과 참마와 vit. E 투여에 따른 당뇨실험군에서는 식이의 섭취와 식이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중의 변화는 14일 후 참마와 vit. E 병용투여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이었고 전 실험기간동안의 체중의 변화는 실험군간에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기의 무게를 체중 100 g 당으로 환산하였을 때 심장의 무게는 당뇨실험 군 중 vit. E 투여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췌장의 무게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장 단백질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장 인슬린의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참마투여군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혈장 포도당 수준도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vit. E군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HDL-cholesterol 수준은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장 cholesterol 수준의 경우도 당뇨대조군과 실험군에서 큰 차이는 없었으나 vit. E군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AST및 ALT활성도는 실험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참마의 $H_2O$ 분획물은 vitamin E 병용 투여시 지방대사와 인슬린활성에 작용하여 혈당강하에 영향을 주는 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으로 당뇨식이처방에 유용하리라 생각되며 vitamin E 보충에 의한 대사적인 변화에 대하여 더 구체적인 생화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당뇨 흰쥐에서의 참마 $H_2O$ 분획물과 Selenium 보충시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r $H_2O$ Fraction or Dioscorea japonica Thunb with selenium on plasma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9호
    • /
    • pp.1377-138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횐쥐에게 methanol로 추출하여 분획한 참마의 $H_2O$ 분획물을 경구투여하고 selenium은 식이로 보충하여 당뇨시 14일간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대조군은 당뇨로 인한 대사상의 변화로 정상군과는 다른 대사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 실험 기간 중 횐쥐의 체중변화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DJT-Se군에서 다른 당뇨실험군보다 적은 양의 체중감소를 보였다. 참마와 Se 보충식이에 따른 식이효율도 DJT-Se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다른 당뇨실험군에 비해 높았다. 장기 의 무게를 체중 100g당으로 환산하였을 때 간장과 신장의 무게는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비대해졌으며 비장은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정상군보다 무게가 낮게, 췌장은 높게 나타났다. 혈장 포도당 수준은 당뇨실험군 중 DJT-S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인슐린의 함량 수준은 당뇨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JT-Se군에서 약간 높았다. 혈장단백질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혈장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혈장 cholesterol의 경우 당뇨대조군과 당뇨실험군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당뇨실험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HDL-cholesterol 수준은 모든 당뇨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성지방의 경우는 DJT-Se군과 S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유리지방산 함량은 정상군과 당뇨실험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ST와 ALT 활성도는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뇨대조 군에 비해 DJT군에서는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참마나 Se를 독립적으로 섭취하는 것 보다는 병용하여 보충하는 것이 항산화 작용의 상승효과를 보여주어 고혈당과 지방대사산물에 작용하여 혈당강하효과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참마의 혈당강하에 영향하는 생리활성성분과 Se보충에 의한 대사적인 변화에 대하여 더 구체적인 생화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참마 $H_2O$ 분획물과 Selenium 보충이 당뇨 흰쥐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_2O$-fraction of Dioscorea japonica Thunb and selenium on lipid peroxida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명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4-3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게 methanol로 추출하여 분획한 참마의 $H_2O$ 분획물을 경구투여하고 selenium(Se)은 식이로 보충하여 당뇨시 14일간 에너지대사물 수준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장과 근육의 glycogen 함량의 변화는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당뇨실험군 사이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장, 신장 및 근육의 단백질 수준도 정상군과 당뇨대조군에서 유의적이 아니었으나 근육단백질 수준이 당뇨대조군보다 DJR-Se 병용 투여군에서 높았다. 간장의 콜레스테롤 수준은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이었으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 모두에서 콜레스테롤 수준이 낮았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간장의 중성지방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DJT-Se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참마와 Se 처리의 상승작용을 보였다. 지질과산화에 영향을 주는 MDA 수준은 간장의 경우 정상군과 당뇨대조군 사이에 유의적이 아니었고 폐의 MDA 수준은 실험군과 당뇨군 모두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당뇨대조군에 비해 Se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의 MDA 수준은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지만 정상군에 비해 당뇨대조군에서 높은 수준이었고 DJT-Se 병용투여군에서 모든 실험군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본 연구 결과 STZ 당뇨 쥐에서 참마의 $H_2O$ 분획물과 Se 투여시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은 간장에서 MDA 수준이 가장 높았다. Se 단독 투여시 제일 큰 영향을 받는 장기는 폐였으며 다음이 신장으로 간장의 MDA 수준을 낮추는데는 DJT-Se 병용투여시 가장 효과적이었다. 참마의 $H_2O$ 분획물투여와 Se 보충은 전보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참마나 Se를 독립적으로 섭취하는 것보다는 병용하여 보충하는 것이 지방대사물과 지질과산화에 작용하여 항산화효과에 상승작용을 보였으며 참마는 항산화에 영향하는 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으로 당뇨식이 처방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PDF

Isolation of Bacillus sp. SHL-3 from the Dry Soil and Evalu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Ability

  • Hong, Sun Hwa;Kim, Ji Seul;Sim, Jun Gyu;Lee, Eun 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6-43
    • /
    • 2015
  • Excess use of chemical fertilizer causes soil acidification and accumulation of salt, and thus might bring to desertification of soil. To overcome this problem, it needs limited usage of chemical fertilizer and increased usage of natural fertilizer as an alternative. In this study, dry soil-borne Bacillus sp. SHL-3, which was isolated from arid and barren soil, with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was isolated for identification and to determine optimal culture condition. A bacterial strain SHL-3 had the IAA productivity ($5.16{\pm}0.10mg\;L^{-1}$), ACC deaminase activity ($0.36{\pm}0.09$ at 51 hours) and siderophore synthesis. It was identified as genus Bacillus sp.. Also, optimal culture condition of SHL-3 were $20^{\circ}C$ and pH 7 in LB medium. Bacillus sp. SHL-3 had up to 4% salt tolerance in the medium. We evaluated the plant growth promotion ability of SHL-3 using yam (Dioscorea japonica Thunb.). As a result, Bacillus sp. SHL-3 was effective on the increase of the shoot length (202.4% increase for 91 d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cillus sp. SHL-3 can serve as a promising microbial resource for the biofertilizers of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