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nking wat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국내 정수장 정수 수질자료의 특성분석 (1994년-1998년까지 5년간 자료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Water Quality Data of Finished Water in Domestic Water Treatment Plants (1994-1998))

  • 윤제용;조순행;김해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1-443
    • /
    • 2000
  • Water quality data from water treatment plants in Korea during 1994-1998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non compliance. The number of plants surveyed were approximately 600 and the number of samples were over 30,000. Ten parameters of water quality selected in this study and their non compliance % (inside parenthesis) were as follows: Heterotrophic plate count (0.14%), Total coliforms (0.08%), $NH_3$-N (0.29%), $NO_3$-N (0.14%), THMs (0.02%), Turbidity (0.11%), Residual chlorine (5.5%), $KMnO_4$ consumption (0.04%), Hardness (0.03%), pH (0.07%). These levels of non compliance were compared to those obtained from WIDB (Water Industry Database, 1996) of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This study strongly supported that small water plants (<10,000 tons/day) were more vulnerable in meeting the regulation criteria of many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Heterotrophic plate count. Total coliforms, $NO_3$-N, THMs, Turbidity, Residual chlorine, $KMnO_1$ consumption, Hardness and pH. The $NH_3$-N concentration was especially high in winter and its violation was frequently found in the specific areas such as the downstream of major rivers. The average THMs concentration was surprisingly low, indicating $13{\mu}g/L$ which is 43% of US. Accordingly, these characteristics must be reflected in establishing the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policy of drinking water in Korea.

  • PDF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 평가 (Assessm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전효택;안홍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29-140
    • /
    • 1998
  • 이 연구는 오염원이 산재해 있는 농촌지역으로 아산지역을, 그리고 공업단지와 주거지역이 위치한 공단지역으로 구로구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공단지역과 농촌지역 지하수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오염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하수의 효율적인 이용과 적절한 관리를 위해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하수오염과 잠재점오염원의 공간적인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아산지역 지하수는 Ca-HCO$_3$유형의 지하수이며 SiO$_2$와 HCO$_3$함량비가 높은 특징을 보여 물-암석 반응이 지하수 성분을 지배하는 가장 큰 요인임을 보여준다. 구로구지역 지하수는 Ca-HCO$_3$유형의 지하수이며 Cl, NO$_3$및 SO$_4$등 오염물질이 부화되고 SiO$_2$에 비해 Ca 함량비가 더 높게 나타나는 등 다양한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고있다. 아산지역에서는 37.5%(총 40개 중 15개)의 지하수 시료에서 NO$_3$,SO$_4$및 Zn의 함량이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현상이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이 NO$_3$의 오염이었다. 축산농가 및 공장에 대해 오염영향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버퍼링 분석을 실시한 결과 l00 m 거리에 걸쳐 오염의 영향이 미치고 있어 공장 및 축산농가가 지하수 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구로구지역에서는 64.7%(총 51개 중 33개)의 지하수 시료에서 NO$_3$, Cl, SO$_4$, Fe 및 Zn의 함량이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오염현상이 확인되었다. NO$_3$오염은 50 m 이상의 심부지하수에서도 관찰되어 이미 심각한 오염현상이 진행되었음을 보여주었다. Cl 오염은 구로동 지역의 50 m 이하 천부지하수에서 관찰되었으나 구로동의 구로공단지역에서는 먹는 물 수질기준 이하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구로동지역은 70%, 고척동지역은 42%, 궁동지역은 14%의 지하수 시료에서 오염물질이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오염현상이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