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thylamine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6초

Salmonella / Microsome Assay 에서의 N-nitrosodimethylamine의 돌연변이 유발성과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대한 비타민 C의 영향 (Mutagenicity of N-Nitrosodimethylamine in Salmonella / Microsome Assay and the Effect of Vitamin C on the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김소희;박건영;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0-265
    • /
    • 1991
  • Salmonella/microsome assay system을 이용하여 N -nitrosodimethylamine (NDMA)의 돌연변이유발성을 검토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비타민 C가 NDMA자체의 돌연변이유발과 nitrite와 2급아민으로부터의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NDMA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S9중 Aroclor1254로 induce시킨 hamster S9이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Aroclor 1254나 phenobarbital로 induce시킨 rat 59 mix에 의하여서는 활성화가 약하였다. DMSO와 ethanol에 NDMA를 녹였을 때는 돌연변이유발실험에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나 phosphate buffer(pH 7. 4), 증류수, 95% methanol, Tween 80 + water(l : 4)는 저해 효과가 없었다. 비타민 C는 이미 생성환 NDMA에 대해서는 돌연변이 유발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nitrite와 2급 아민(dimethylamine)으로 부터의 NDMA 생성은 크게 저해하였다. 반응물에 비타민C를 첨가한 경우 Salmonella typhimurium TAl00의 revertant 수가 spontaneous숫자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HPLC를 이용한 NDMA의 분석에서도 거의 95% 까지의 정량적인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Strawberry, Garlic and Kale Consumption Increase Urinary Excretion of Dimethylamine and Trimethylamine in Humans

  • Chung, Mi-Ja;Lee, Soo-Jung;Shin, Jung-Hye;Sung, Nak-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9-23
    • /
    • 2003
  • Dimethylamine (DMA) is the immediate precursor of carcinogenic N-nitrosodimethylamine (NDMA).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using whole strawberries, and garlic and kale juic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DMA and trimethylamine (TMA) in foods and urine. Experimental diets [an amino-rich diet as nitrosatable precursors in combination with added nitrate-containing drinking water without (TD1) or with whole strawberries or garlic or kale juices (TD2, TD3 and TD4, respectively), or a diet of low in nitrate and amino (TD5) were incubated in simulated saliva and gastric juices at 37$^{\circ}C$ for 1 hour. We also studied the urinary excretion of DMA and TMA after consump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TD1~TD5). Urine samples were obtained for 18 hrs after consumption of experimental diets and concentrations of DMA and TMA were measured in the digested diet and urine. The DMA concentration after incubation in experimental diets (TD1~TD5) was 4.7$\pm$0.3, 6.7 $\pm$0.2, 7.9$\pm$0.2, 7.1$\pm$0.2 and 0.3$\pm$0.1 mg/kg, respectively. Urinary excretion of DMA (TD1~TD5) was 22.0$\pm$5.0, 28.3$\pm$4.3, 29.2$\pm$4.1, 27.4$\pm$4.5 and 20.4$\pm$3.1 mg/18 hr, respectively. Consumption diets with added strawberries or juices of kale or garlic increased urinary TMA and DMA, suggesting that those precursors were excreted and not converted to the carcinogen, NMDA.

명태육 건조중의 formaldehyde 및 amine 류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FORMALDEHYDE AND AMINES IN ALASKA POLLACK MUSCLE DURING DRYING)

  • 안철우;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8
    • /
    • 1978
  • 북양산 냉동명태를 시료로 하여 이것을 일건, 열풍건조 및 염건을 하였을 때의 육중의 FA, TMAO, TMA 및 DMA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1. TMAO의 함량은 열풍건조품이 가장 적어 생시료때의 약 $60\%$에 지나지 않았고, 다음이 염건품이며, 일건품은 생시료때의 약 $72\%$함량으로 잔존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온건품에 있어서 육중의 염분량을 공제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때의 $92\%$함량으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2. TMA의 함량은 염건품이 생시료 때의 2.3 배함량(무염물로서는 3.5배량)을 보여 가장 증가율이 적었고, 다음이 일건품이였으며,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42배함량을 나타내어 월등히 많았다. 3. DMA의 함량은 열풍건조품과 염건품에 있어서는 각각 생시료 때의 10배량정도를 나타내었고, 일건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16배량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염건품에 있어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 때의 15배량으로 일건품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4. FA의 함량은 일건품에서는 생시료 때의 1.3배량, 염건품에서는 2.5배량(무염물로 환산)으로 증가한 반명,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83\%$ 함량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5. 전반적으로 FA 함량과 아민류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F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DMA함량도 많은 대비하여, TM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FA함량이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재래(在來) 간장덧 숙성중(熟成中) 식염농도(食鹽濃度)와 Nitrate함량(含量)에 따른 Nitrosamine 관련물질(關聯物質)의 변화(變化) (Changes of Nitrosamine-Related-Compounds by Salt Concentration and Nitrate Content during the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 김미성;고무석;권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9-338
    • /
    • 1985
  • 재래식(在來式) 간장에서 발암성(發癌性) 화합물(化合物)인 nitrosamine의 생성가능성의 규명(糾明)을 위한 연구(硏究)의 일환(一環)으로 식염농도(食鹽濃度)와 $NO_3-N$의 함량(含量)에 따른 nitrosamine의 전구물질(前驅物質)인 $NO_3-N$와 dimethylamine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덧의 효효(酵酵)는 용수중(用水中) $NO_3-N$의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낮을수록 비정상적(非正常的)이었다. 2.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높을수록 $NO_3-N$의 환원(還元)과 $NO_2-N$의 생성(生成)은 지연되었으나 용수(用水)의 $NO_3-N$ 함량(含量)의 고저(高低)에는 관계없이 장기간 $NO_2-N$가 잔존(殘存)하였다. 3. Ascorbic acid의 첨가(添加)는 $NO_3-N$의 환원(還元)을, $NO_2-N$의 생성(生成)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하였다. 4. Dimethylamine의 함량(含量)은 용수중(用水中) $NO_3-N$의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5. NDMA는 $0{\sim}261.34\;ppb$가 검출(檢出)되었다.

  • PDF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의 합성 및 상수 처리 특성 (Synthesis of Polyamine Type Flocculant and Properties in Potable Water Treatment)

  • 박이순;신준호;최상준;신명철;이석훈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542-547
    • /
    • 1998
  • 수질 환경의 악화에 따라 상수처리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되어온 황산알루미늄 (Alum ; $Al_2(SO_4)_3$) 및 polyaluminum chloride (PAC) 등 무기계응집제만으로는 적절한 응집 효과를 얻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ichlorohydrin과 dimethylamine을 사용하여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를 합성하는 조건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Polyamine의 합성에 있어서 위의 두 단량체 이외에 반응성기가 4인 1,6-hexandiamine을 분자량 중가제로 사용한 경우 dimethylamine 대비 5.5 mol % 이내의 범위에서 [${\eta}$]=0.46에 상당하는 branched polyamine 시료 (PA-c)를 얻을 수 있었으며 도입량이 5.5 mol % 이상인 경우에는 gel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polyamine계 고분자 응집제의 응집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낙동강 수계 매곡정수장의 pilot 장치에 적용하여 응집실험을 수행하였다. 응집 실험 결과 탁도 5~20 [NTU] 정도의 원수를 탁도 2.0 [NTU] 미만으로, 그리고 유기물 함량 (TOC) 제거 효율을 20~40%으로 하기 위하여 polyamine 고분자 응집제 1 mg/L를 병용함으로써 무기 응집제 PAC의 소모량을 15 mg/L, 즉 1/2 수준으로 감소 시킬 수 있었다. 무기 응집제 PAC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원수의 pH가 9.0 이상이 될 경우 탁도 제거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poly(amine) 고분자 응집제를 1 mg/L의 농도로 병용함으로서 보다 더 넓은 PH 범위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에 관한 예측과 비교 연구 (Prediction and Comparison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 김종오;김동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2-4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H가 7과 8인 조건에서 디메칠아민 농도를 0.05 mM로 고정시키고 클로라민 농도 변화에 따른 NDMA 생성농도를 측정하여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이 1보다 클 때와 작을 때에 NDMA 생성에 큰 차이를 보여 통계분석에서 구분하여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NDMA 생성 농도는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개발한 회귀식을 근거로 하여 NDMA 생성 농도를 기존 연구에 적용한 결과 상대오차는 $-79{\sim}163%$로 조사되었다. 상수 처리장에서 원수의 디메칠아민 농도를 알 경우 이 식을 적용 하면 NDMA 발생 범위를 제시하여 주입할 클로라민 농도나 전처리 필요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피등어꼴뚜기의 자숙취에 관한 연구 (VOLATILE CONSTITUENTS OF COOKED SQUID)

  • 이응호;소천천추;야중순삼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3-188
    • /
    • 1978
  • 피등어꼴뚜기를 가열가공할 때 발생하는 취기를 제거할 목적으로 취기성분을 gas chromatography로 공석한 것을 단보로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등어꼴뚜기 취기성분 추출에는 methanol이 가장 적합하였다. 2. 빙수trap에서 25개 peak, dry ice-acetone trap에서 32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acet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caproic acid 등 5성분을 동정하였다. 3. 액체질소 trap의 head space vapor에서 11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mothylamine, trimethylamine, dimethylamine, ethylamine, isopropylamine등 5성분을 동정하였다.

  • PDF

고도산화공정(UV공정)을 이용한 NDMA의 효율적인 처리와 독성 평가 (Effective Treatment of N-Nitrosodimethylamin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UV Process) and Toxicity Evaluation)

  • 송원용;장순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0-95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a probable human carcinogen,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 (i.e., UV proces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pH, initial concentration, UV intensity, and addition of $H_2O_2$ or $TiO_2$ on UV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UV photolysis w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ethod. The lower pH, intial concentration and higher intensity of UV stimulated higher NDMA removal. However, addition of oxidant ($H_2O_2$, $TiO_2$) slows down photochemical treatment of NDMA since the oxidant can filter out the UV light and block it to reach the NDMA molecules. Dimethylamine (DMA) and nitrite were found to be a major byproduct from NDMA oxidation. To evaluate the chronic toxicity effects of UV-treated NDMA on the growth of microalgae, "Skeletonema costatum", was studied as long term experiments. Results demonstrated that after the 13 days exposure the chronic toxicity was decreased about 15% with application of UV process on NDMA degradation.

GC에 의한 건어물 냄새성분중 질소화합물 분석과 다변량해석 (Multivariate Analysis and Gas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the Smelly Nitro Compounds in Dried-Fishes)

  • 배선영;이동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5-112
    • /
    • 1997
  • 건어물 중의 냄새나는 질소화합물을 증류동시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Amine의 equivalent chain length를 구하여 머무름시간으로부터 탄소수와 차수를 예측할 수 있었다. 새우, 멸치, 북어, 대구, 오징어, 문어, 쥐포, 병어포, 홍합, 조갯살 등 우리 나라에서 많이 식용되는 시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Dimethylamine, trimethylamine, diethylamine 등은 건어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methylamine, acetamide, thiazole, 2-hydroxy isopropylamine, N-methyl pyrroline, cyclohexylamine 같은 냄새나는 질소화합물들이 GC-MS로 확인되었다. 건어물의 냄새패턴을 식별하기 위하여 GC-MS 피크면적을 자료로 주성분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성분분석에 의한 다변량해석은 건어물의 냄새패턴의 유사성과 이질성의 식별에 유익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90-Day Inhalation Toxicity of Dimethylamine in F344 Rats

  • Song, Kyung-Seuk;Park, Kun-Ho;Kim, Jeong-Hyun;Han, Dong-Un;Chae, Chan-Hee;Park, Sung-Jin;Kim, Hyun-Woo;Kim, Jun-Sung;Park, Jin-Hong;Eu, Guk-Joung;Hua, Jin;Cho, Hyun-Sun;Hwang, Soon-Ky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79-186
    • /
    • 2005
  • Dimethylamine (DMA) is a widely used commodity chemical with few toxicity data. Groups of 10 male and female F-344 rats were exposed by inhalation to 0, 5, 10, 20, 40 and 80 ppm of DMA for 6 hrs/day, 5 days/week for 90 days. The changes of body weight, organ weight, hematology, clinical chemistry,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evaluated after the exposure. As the results, the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80 ppm in male and female rats (p<0.05). The absolute lung weigh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ny group. In contrast, the relative lung weight significantly increased at 80 ppm in male and female rats (p<0.05). Erythrocytes, mean cell hemoglobin, leukocytes, neutrophil, and platelet numbe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ale and female at 40 or 80 ppm of DMA (p<0.05, p<0.01). In addition, the serum values of total protein, urea nitrogen were increased in male and creatine kinase, total protein were increased in female rats at 40 or 80 ppm (p<0.05, p<0.01).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of the male and female lung samples showed slight hyperplasia and congestion at 80 ppm. Taken together, our study revealed that maximum tolerated dose of DMA would be over 40 p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