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nsion of Interaction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7초

착용자 인상효과의 시간적 안정성 -의복범주, 유행성, 착용자의 체형 변인을 중심으로 - (Temporal Stability of Wearer′s Impression Effect - The Accent of Garment Category, Fashion-Level and Wearer′s Body Type -)

  • 김재숙;김희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1호
    • /
    • pp.28-36
    • /
    • 2002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ment category, fashion-level and wearer's body type on the basis of temporal stability and to extend the contextual framework. The result was as follows 1) On the basis of temporal stability, Korean style, classic style, and large body type have more temporal stability than western style, fashionable style, normal body type. 2) On the basis of temporal stability of impression dimension, impression of appearance knave most temporal stability, next good-bad, next evaluation, next potency, and sociability. 3) In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asuring time and impression of evaluation, western, fashionable, classic style have the greatest interaction effect. In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asuring time and impression of appearance, western style, normal body type have the greatest interaction effect. In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asuring time and impression of good-bad, western, fashionable style have the greatest interaction effect. It is concluded that the results support the context framework on impression formation.

  • PDF

건물의 헬프데스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지관리조직의 상호작용 평가 (Interaction Evaluation of Maintenance Management Organization Affecting Satisfaction of Users in Helpdesk Service of Buildings)

  • 곽노열;권서현;전정윤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4호
    • /
    • pp.193-200
    • /
    • 2019
  • Maintenance services provided to users in buildings are not sufficient simply to provide them, bu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 service system that can accurately identify and respond to users' need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satisfaction with the helpdesk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claim and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maintenance organization to identif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aintenance organization in the building. We then examin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uildings in terms of variables in the helpdesk service that affect the user's satisfaction. It was also presented as a measure of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SERVQUAL tool to assess the potential for building maintenance response strategies. Research shows that each building has a helpdesk service item that is significant in user satisfaction and empathy has emerged in a typical dimension as SERVQUAL dimension.

부유체-몰수체 상호작용을 이용한 부유체 상하운동 저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Reduction of Vertical Motion of Floating Body Using Floating-Submerged Bodies Interaction)

  • 신민재;구원철;김성재;허상환;민은홍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485-491
    • /
    • 2017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duction of vertical motion of floating body using floating-submerged body interaction was performed in a two-dimensional wave channel. The system consisting of a floating and submerged body that only move vertically was modeled.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alysis of two-body interaction. The results showed a tendency to significant reduction of heave RAO of floating body due to submerged body. Various connection line stiffness and dimension of the submerged body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body interaction on the vertical motion of the bodies, Heave RAOs of the floating-submerged bod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ingle body. From the comparison study, we obtained an optimum condition of connection line and dimension of submerged body for maximum heave reduction at the resonant period of single body.

20대 여성의 의복 스타일과 메이크업 유형에 따른 인상 효과 (The Impression Effect on Clothing Styles and Make-up Types of Woman in Her Twenties)

  • 김재숙;송민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5호
    • /
    • pp.863-874
    • /
    • 2007
  • The pro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impression effects and likeness of clothing styles and make-up types. The stimuli were composed of 4 clothing styles(base, natural, romantic, classic) and 4 make-up types(no make-up, natural, romantic, classic). The subjects were 512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study consisted of a survey and quasi- experiment. The experimental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16 stimuli, 32 hi-polar adjectives, and likeness scale were composed of 7-point Likert type scales. As a result, the clothing styles and make-up types effected on the 4 impressional dimensions: grace, evaluation, salience, and dynamism. The clothing styles effected on grace, salience and dynamism dimension and the effect of dynamism dimension was the most powerful among the dimensions. The make-up types effected on all of the 4 impression dimensions and the effect of salience dimension was the most powerful among the dimensions. The interaction effects existed between the clothing styles and make-up types in salience dimension. The lik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on the make-up types. The effect of grace dimension was the most powerful among the dimensions. The main reason that make-up effect appears greatly could be analyzed into that clothes color is controlled by white.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succession study about the effect of clothes color.

  • PDF

사이버강의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of Cyber Education)

  • 박치관;박준병;이준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4권3호
    • /
    • pp.179-197
    • /
    • 2007
  •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on the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cyber education. Even if the quality of interactions in cyber education may not be so good as that of interactions in face to face education. various kinds of interactions could be introduced in cyber education. An email or Q/A between lecturer and students could be a good way to compensate the deficiency of cyber education. Common News Boards or Discussion Rooms among students themselves are also a powerful means to learn each other in cyber spa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as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increase.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the lecture also increase.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cyber educational effects differs as interaction type changes in space dimension and time dimension. The result shows interactions in the same cyber space such as News Board brings more desirable outcome than those in the different cyber space. But the effects of interactions classified by time dimension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PDF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among SNS users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among SNS users)

  • 이경민;남궁현;김응희;이강용;김홍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3-122
    • /
    • 2011
  • 최근, 온라인상에서 사용자간 관계형성 및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Social Network Service(SNS)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SNS에서 형성되는 사용자 정보와 그들의 활동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특징적인 정보로서 추천과 같은 외부서비스에서 재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여겨진다. 기존의 사용자 기본 프로파일 정보를 통한 분석이나, 친밀도 및 유사도를 도출하기 위한 단편적인 분석 방법은 가공된 정보의 활용에 있어 한계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SNS활동들로 부터 사용자간 상호영향을 도출하고 다차원 상호관계(Multi-dimension interaction)를 표현 할 수 있는 통합 된 프로파일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대표적인 SNS인 트위터(Twitter.com)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정보의 재가공을 수행한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가공된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존 방식에서는 드러나지 않던 사용자간의 새로운 관계들에 대해 설명한다. 가공된 정보는 특정 사용자의 통합 프로파일로서 컨텐츠 아이템 추천과 같은 외부서비스에서 활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서비스의 만족과 몰입, 로열티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Service Satisfaction, Commitment and Loyalty)

  • 천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18-325
    • /
    • 2010
  • 본 연구는 전문서비스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강력한 충성도 구축을 위해 전문서비스만의 차별화된 특성을 반영한 충성도 구축 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전문서비스는 서비스의 일반적인 특성 외에도 소비자가 서비스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고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간의 지식불균형이 커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난 이후에도 서비스 만족과 품질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전문서비스는 이용과정에서 고객이 지각하는 만족과 감정이 충성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모형에서는 전문서비스 이용과정의 만족차원으로 반응적 만족, 상호작용 만족, 기술적 만족차원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감정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과의 관계, 몰입의 차원과 충성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문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지각하는 만족의 차원은 감정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을 모두 높이며, 이러한 몰입은 충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판과 탄성지반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3-Dimension Plate- Elastic Foundation Interaction Analysis by Finite Element Method)

  • 황창규;강재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1호
    • /
    • pp.7-18
    • /
    • 1992
  • 실험으로 측정란 변위와 3차원 경계면 요소를 도입하여 판 구조물과 지반의 상호 작용문제를 해석한 수직변위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계면 요소를 도입하므로써 판 구조물과 지반 모두를 유한요소로 분할하여 상호작용문제를 해석할 수 있다. 2. 경계면 요소를 도입하므로써 판 구조물과 지반 상호작용문제의 해석에서 지반반력 계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3.경계면 요소를 도입하므로써 판 구조물과 지반 상호작용문제의 해석에서 지중의 변위를 구하기 위한 후처리 과정이 필요 없다.

  • PDF

곡률이 있는 고화질 (UHD급) 디스플레이의 4차원 편집 툴 및 입체형 전자출판 솔루션 개발 (The development of 4 dimension Authoring Tools and Electronic publishing for high quality(UHD class) display with curving)

  • 홍요훈;김현진;최영교;송승준;송승택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17
    • /
    • 2017
  • 본 연구에서 개발하려는 개발기술의 핵심은 "평면이 아닌 곡률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4차원 편집환경을(시간포함)제공하는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콘텐츠를 가공하고 편집하여 디스플레이에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는 세계최초의 곡률디스플레이 고화질(UHD급 ${\times}$ 250)용 4차원편집 환경 제공 엔진" 이다. 세부개발기술과 내용은 첫째, 세계최고의 플렉시플 고화질(UHD급 ${\times}$ 256 스크린)멀티스크린 동기화를 위한 4차원 비디오월(시간배열 포함) 편집환경 기술을 구현하며 둘째, 곡률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입체화된 비디오월 및 디지털사이니지 환경을 위한 360도 인지 센서 환경이 구축된 양방향 인터렉티브 UI/UX용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셋째, 세계 최초로 입체화된 전자북 구현을 위한 편집 툴 소프트웨어 개발 구현을 하였다.

약물-표적 단백질 연관관계 예측모델을 위한 쌍 기반 뉴럴네트워크 (Pairwise Neural Networks for Predicting Compound-Protein Interaction)

  • 이문환;김응희;김홍기
    • 인지과학
    • /
    • 제28권4호
    • /
    • pp.299-314
    • /
    • 2017
  • In-silico 기반의 약물-표적 단백질 연관관계 예측은 신약 탐색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예측모델은 입력 값이 고정적이며 표적 단백질의 특질 값이 가공된 데이터로 한정됨으로써 예측 모델의 확장성과 유연성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약물-표적 단백질 연관관계를 예측하는 확장 가능한 형태의 머신러닝 모델을 소개한다. 확장 가능한 머신러닝 모델의 핵심 아이디어는 쌍기반의 뉴럴 네트워크로써, 약물과 단백질의 미가공 데이터를 사용하여 특질을 추출하고 특질 값을 각각의 뉴럴 네트워크 레이어에 입력한다. 이 방법은 추가적인 지식없이 자동적으로 약물과 단백질의 특질을 추출한다. 또한 쌍기반 레이어는 특질 값을 풍부한 저차원의 벡터로 향상 시킴으로써 입력 값의 차이로 인한 편향 학습을 방지한다. PubChem BioAssay(PCBA) 데이터 셋에 기반한 5-폴드 교차 검증법을 통하여 제안한 모델의 성능을 평가했으며, 이전의 모델보다 우월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