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jkstra Algorithm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1초

The Coverage Area for Extended Delivery Service in Eastern Economic Corridor (EEC): A Case of Thailand Post Co., Ltd

  • AMCHANG, Chompoonut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39-50
    • /
    • 2020
  • Purpose: This paper aimed to study the current locations of post offices to analyze service coverage area for parcel delivery in the Eastern Economics Corridor (EEC), which must be considered in the last mile to extend delivery service for e-commerce growth. Thailand Post was the case study in this pape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involve solving the delivery service area under the last mile condition, the authors proposed a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service radius by employ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urthermore, this paper applied Dijkstra's algorithm as a network analysis tool from GIS for analyzing the last mile service coverage area in a new economics zone. At the same time, the authors suggested an approach as a solution to locate last mile delivery center in EEC.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pointed out that Thailand Post should consider more last mile delivery centers in EEC to support its express service in urban areas as well as improve the efficiency of service coverage for parcel delivery and create more advantages against competitors. Conclusions: This paper proposes a network analysis to extend the last mile service for parcel delivery by following Dijkstra's algorithm from GIS and a solution approach to add more last mile delivery cent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boosting customer satisfaction for last mile delivery service and enabling easy accessibility to a service center in EEC.

배전계통 사고복구 구성탐색을 위한 개선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퍼지규칙의 적용 (An Application of advanced Dijkstra algorithm and Fuzzy rule to search a restoration topology in Distribution Systems)

  • 김훈;전영재;김재철;최도혁;정용철;추동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37-540
    • /
    • 2000
  • The Distribution System consist of many tie-line switches and sectionalizing switches, operated a radial type. When an outage occurs in Distribution System, outage areas are isolated by system switches, has to restored as soon as possible. At this time, system operator have to get a information about network topology for service restoration of outage areas. Therefore, the searching result of restorative topology has to fast computation time and reliable result topology for to restore a electric service to outage areas, equal to optimal switching operation problem. So, the problem can be defined as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 The service restoration problem is so important problem which have outage area minimization, outage loss minimization. Many researcher is applying to the service restoration problem with various techniques. In this paper, advanced Dijkstra algorithm is applied to searching a restoration topology, is so efficient to searching a shortest path in graph type network. Additionally, fuzzy rules and operator are applied to overcome a fuzziness of correlation with input data. The present technique has superior results which are fast computation time and searching results than previous researches, demonstrated by example distribution model system which has 3 feeders, 26 buses. For a application capability to real distribution system, additionally demonstrated by real distribution system of KEPCO(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which has 8 feeders and 140 buses.

  • PDF

개미 집단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이동로봇 최적 경로 생성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OPTIMAL PATH PLANNING ALGORITHM FOR MOBILE ROBOTS USING THE ANT COLONY OPTIMIZATION METHOD)

  • 이준오;고종훈;김대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11-312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new algorithm for path planning and obstacles avoidance using the ant colony optimization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is a new hybrid algorithm that composes of the ant colony algorithm method and the Maklink graph method. At first, we produce the path of a mobile robot a the static environment. And then we find midpoints of each path using the Maklink graph. Finally the ant colony optimization algorithm is adopted to get a shortest path. In this paper, we 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better than that of the Dijkstra algorithm through simulation.

  • PDF

교차로 제약과 지연이 있는 네트워크에서 최단경로탐색 (A Fast Algorithm for Shortest Path Problem for Network with Turn Penalities and Prohibitions)

  • 박찬규;박순달;진희채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26
    • /
    • 1998
  • Shortest path problem in road network with turn penalties and prohibitions frequently arises from various transportation optimization mode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for the shortest Path problem with turn prohibitions and delays. The proposed algorithm maintains distance labels of arcs, which is similar to labels of nodes of Dijkstra's algorithm. Fibonacci heap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algorithm solves the problem in O(mn + mlogm). We provide a new insight in transforming network with turn penalties and prohibitions into another network in which turn penalties and prohibitions are implicitly considered.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lemented using new data structure and compared with Ziliaskopoulos' algorithm. Computation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y efficient.

  • PDF

우편 경로 최적화 시스템 모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ostal Route Optimization System Model)

  • 남상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6호
    • /
    • pp.1483-1492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하는 우편 업무와 관련하여, 우편 경로에 대한 관리 및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우편 경로 최적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모듈 인 최단 경로 생성 알고리즘에 대한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다루었다. 최단 경로 생 성 알고리즘 개발을 통하여 효율적인 우편 경로 최적화 시스템을 제시하기 위해 경로 최적화 시스템에 대한 사례 조사와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우편 경로 최적화 시스 템의 주요 모듈인 최단 경로 생성 알고리즘은 기존의 그래프 이론에서 제시된 Dijkstra알고리즘뿐 아니라 방향성을 고려한 탐색 방법을 적용하여 시스템이 빠르고 효과적인 경로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편 경로 최적화 시스템은 최단 경로 생성기, 등거리 생성기, 경로 재배치 생성기의 주요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좌표 처 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엔진과 지형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해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이 시스템은 우편 배달 업무의 관리, 배달 구역 및 경로 관리, 경로 재 배치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향후에 택배 시스템, 도로 및 교통 정보 안내 등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의 연계를 통해 위치 추적 및 자동 운항 시스템에 도 적용될 수 있다.

  • PDF

Maze Solving Algorithm

  • Ye, Gan Zhen;Kang, Dae-Ki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8-191
    • /
    • 2011
  • Path finding and path planning is crucial in today's world where time is an extremely valuable element. It is easy to plan the optimum path to a destination if provided a map but the same cannot be said for an unknown and unexplored environment. It will surely be exhaustive to search and explore for paths to reach the destination, not to mention planning for the optimum path. This is very much similar to finding for an exit of a maze. A very popular competition designed to tackle the maze solving ability of autonomous called Micromouse will be used as a guideline for us to design our maze. There are numerous ways one can think of to solve a maze such as Dijkstra's algorithm, flood fill algorithm, modified flood fill algorithm, partition-central algorithm [1], and potential maze solving algorithm [2]. We will analyze these algorithms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maze solving ability,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also feasibility to be implemented.

  • PDF

대중교통 수단선택과 연계한 복합환승센터 내 보행자 최적경로 산정 (Computation of Optimal Path for Pedestrian Reflected on Mode Choic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Transfer Station)

  • 윤상원;배상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5-56
    • /
    • 2007
  • 미래 사회로 갈수록 대중교통을 연계하기 위한 환승센터의 기능 및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환승센터 내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에서의 차량을 대상으로 한 최적경로에 관한 모형은 많이 제시되고 있는 반면 건물 내에서 보행자를 위한 최적경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환승센터 내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개인이 지하주차장에서 환승센터 내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위한 승강장이나 상가 시설로 이동하는 최적의 경로를 제시할 수 있는 모형개발을 주요내용으로 하였다. 건물 내 최적경로 모형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여 거리의 최소비용을 산정하고, 여기에 이동시간, 피로감, 쾌적도와 대기시간 등의 요소를 순위합, 산술합 방법 등을 통해 적용하여 객관성을 부가하였다. 또한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자들의 성향이 반영된 Neuro-Fuzzy 모형을 통하여 환승센터 내 환승하는 이용자에게 최적의 교통수단을 제시하고, 그 해당 수단의 승강장까지 최적경로를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효율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시나리오들를 통하여 개발 모형의 효율성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개발모형을 통했을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수직이동 경로차이의 시나리오에서 약 75%, 수평이동 경로차이의 시나리오에서 약 $24.5{\sim}107.7%$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 PDF

다중 사이클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위치 기반 컨테이너 야드 트랙터 최단거리 계산 (Computation of the Shortest Distance of Container Yard Tractor for Multi-Cycle System)

  • 김한수;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7-29
    • /
    • 2010
  • 생산성은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작업소요시간의 최소화에 의해 극대화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전산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추구해왔으나 이송장비의 운영 및 이송방식의 문제점으로 인해 한계가 있었다. 즉, 대표적인 이송장비인 Y/T(Yard Tractor)는 한 번의 주행에 양하 또는 적하 작업 중 하나만 가능하기 때문에 한 번의 주행에 양하와 적하를 순차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면 작업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TLS(Real Time Location System) 기반의 Multi-Cycle System을 통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TLS기술을 활용하여 Y/T의 실시간 위치파악, GIS기술을 통한 Y/T실시간 위치표시 및 최단거리 알고리즘(다익스트라)을 터미널업무에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평균치대비 절감 운전거리율은 9%가 되었고 최대치대비 절감 운전거리율은 19%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자전거 이용자의 이용목적에 부합하는 자전거 전용도로 설계에 관한 연구 (Design of the bicycle road networks concerning the bicycle users' purposes)

  • 이재빈;허용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5-391
    • /
    • 2013
  •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이 권장되고 있다.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전거 사용자의 이용목적을 반영할 수 있는 연결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자전거 전용도로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도로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자전거의 주요 이용목적을 통학용 및 레저용으로 설정하고, 이와 관련된 시설물들을 Dijkstra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기 구축된 자전거 도로와 최단거리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탐색된 네트워크에 RTK DGPS 측량을 실시하여 3차원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전거 전용도로의 링크별 경사를 측정하였다. 측량된 경사를 활용하여 일정 경사 이상의 링크를 배제하고 우회도로를 탐색하는 방안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하였다. 전라남도 목포시를 대상으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휴양림 내 돌발홍수로 인한 최단 대피 경로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search for the shortest evacuation route due to flash floods in the recreation forest)

  • 전성우;김민규;최동우;이서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4-497
    • /
    • 2022
  •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발생하는 돌발홍수에 의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돌발홍수에 따른 대피로의 최단 경로 탐색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GIS를 활용하여 건물 및 도로를 포함한 shape file과 Dijkstra 알고리즘을 기이용하여 경로 탐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돌발홍수가 발생하는 지점에 가까이 있는 이용객의 위치를 파악하고, 대피 경로는 출발지점에서 목적지점까지 위험지점을 거치지 않게 경로를 탐색한다. 테스트베드를 벗어난 대피, 또는 테스트베드 내에 있는 건물을 대피소로 지정하여 가까운 대피소로 이동 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한다. 이에 따라, 최단 대피로를 제공하여 인적 피해를 줄일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