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sound source us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문자그래픽 시각인지도 분석 기반 디지털매체 시청환경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ing Watching Digital-Broadcasting Devices Environment by Analyzing Visual Perception of Character Graphic)

  • 이국세;문남미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72-77
    • /
    • 2009
  • A number of new DTV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provide crystal clear picture and enhanced sound. HDTV, in particular has four times resolution of conventional TV along with 16:9 aspect ratio. Als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technologies offered a valuable basis for character graphics which was only an assistant method to deliver visual images effectively. Various sizes of displays for different applications such as high definition TV and mobile multimedia services have created demands for additional features of character graphics including proper letter fonts, colors, moving effects as much. This article analyzes in what way the visual elements above can affect uses' visual perception. New CG formats designed for OSMU, one source multi use, are also suggested available to each media. For the research three groups of CG designers, art directors and productions/distribution groups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production process by two Delphi surveys of TV production staff.

  • PDF

음악 표절 분석을 위한 디지털 음악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igital Music Element for Music Plagiarism Analysis)

  • 신미해;조진완;이혜승;김영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43-52
    • /
    • 2013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두 음원에 대한 표절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음악 요소에 대해서 연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음원 분석을 위해서 디지털 음악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 음악 요소를 컴파일러 기법을 활용하여 어떻게 표절 분석에 이용할 것인지 살펴본다. 또한 복잡한 미디 음악 데이터를 간단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자바 API인 JFugue를 활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JFugue에서 지원하는 포맷인 뮤직스트링 (MusicString)을 이용하여 음악 표절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음악 표절 분석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뮤직스트링 문법 처리 요소를 살펴보고 추상구문트리(AST)를 구축하는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감성적이고 주관적으로 평가해왔던 두 음원의 표절 분석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며, 이 연구가 잘 활용된다면 차후에 두 음원의 표절 여부를 시스템적으로 정형화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고 판단된다.

개인 간 저작물 유통을 위한 사용자의 수용성 조사 분석 (Research Analysis on User's Acceptability of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among Individuals)

  • 손방용;서혜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211-217
    • /
    • 2016
  • 음원, 웹툰 등 라이선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콘텐츠는 유료이용이 점차 정착화 되어가고 있으나, 여전히 광고수익에 의존하는 무료사이트 등이 난무하여 이러한 디지털콘텐츠를 대다수 콘텐츠 창작자들은 합당한 권리를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보급, 콘텐츠 업로드 플랫폼의 확대 및 업로드 편리성, SNS 등을 통한 신속한 정보공유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 최근에는 장르를 불문하고 디지털콘텐츠를 제작하여 창작활동을 하는 개인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사용자의 니즈를 바탕으로 한 라이선스 다양화(사용자의 저작물 사용목적, 사용범위 및 활용수준, 이용기간 등에 따라 저작권자가 사용권한을 차등화 하는 것)와 디지털 저작물 유통편리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간 디지털콘텐츠 저작물의 거래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의 니즈 및 수용도를 파악하고 개인간 저작물 유통 플랫폼을 구현하는데 그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Design and Development of T-DMB Multichannel Audio Service System Based on Spatial Audio Coding

  • Lee, Yong-Ju;Seo, Jeong-Il;Beack, Seung-Kwon;Jang, Dae-Young;Kang, Kyeong-Ok;Kim, Jin-Woong;Hong, Jin-Woo
    • ETRI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365-375
    • /
    • 2009
  • In this paper, a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multichannel audio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patial audio coding is presented.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realistic multichannel audio service via T-DMB with a small increase of data rate as well as backward compatibility with the conventional stereo-based T-DMB player. To reduce the data rate for additional multichannel audio signals, we compress the multichannel audio signals using the sound source location cue coding algorithm, which is an efficient parametric multichannel audio compression technique. For compatibility, we use the dependent property of an elementary stream descriptor, and this property should be ignored in a conventional T-DMB play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we implement the T-DMB multichannel audio encoder and a prototype player. We perform a compatibility test using the T-DMB multichannel audio encoder and conventional T-DMB players. The test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system is compatible with a conventional T-DMB player and that it can provide a promisingly rich audio service.

국산화 디지털 스트리머 시스템의 벤치마크 테스트 연구 (Benchmark Test Study of Localized Digital Streamer System)

  • 신정균;하지호;서갑석;김영준;강년건;최종규;조동우;이한희;김성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6권2호
    • /
    • pp.52-61
    • /
    • 2023
  • 육지와 인접한 연안, 그리고 천부 구조의 특성을 정밀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높은 주파수 대역(80 Hz~1 kHz)의 음원을 활용하여 3.125 m 수준의 공간 해상도를 도출하는 초고해상 탄성파 탐사의 활용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스트리머 시스템은 고품질의 초고해상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필수 모듈이며 도입 비용의 절감, 유지보수 기간의 단축 등을 위하여 국산화 연구가 이루어졌다. 개발된 국산화 스트리머에 대한 기본적인 성능 검증, 현장 운용성 검토 등은 해당 연구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졌으나 기존에 활용되는 벤치마크 모델과의 비교분석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화 스트리머와 벤치마크 모델을 활용해 동시에 자료를 취득하여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해2호와 부대장비 등을 활용한 2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취득하고 다양한 측면에서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국산화 스트리머에서 취득된 자료는 벤치마크 모델에서 취득된 자료와 주파수 대역별 민감도 차이가 있었으나, 음원의 중심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범위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60 Hz 이하의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벤치마크 모델 대비 낮은 신호대잡음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클러스터 에어건 등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활용한 자료취득에서는 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세 가지(1. 스트리머 내부 발생 잡음, 2. 스트리머 예인 진동, 3. 아날로그 필터 컷 오프 주파수 대역)가 발굴되었으며 향후 제작되는 국산화 스트리머에서는 이에 대한 개선을 반영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