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ydrographic dat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전자해도용 GML을 위한 응용 스키마 개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Schema for GML based ENC)

  • 오세웅;박종민;조득재;서기열;박상현;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23-629
    • /
    • 2006
  • 수로정보의 다양한 사용으로 해양지리정보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개방형지리정보위원회(OGC)는 지리정보의 상호운용을 위한 표준인 GML을 수립하였다. GML은 지리정보의 모델링, 전송, 저장을 위해 XML 스키마 문법에 따라 작성된 XML 언어로서 피쳐, 참조체계, 지오메트리, 토폴로지, 시간, 측도 등의 지리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객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S-57은 수로정보 전송을 위한 국제수로기구(IHO)의 표준으로 다양한 수로정보를 위한 표준임에도 불구하고 표준에서 채택하고 있는 구조의 한계로 인해 전자해도(ENC) 제작 목적으로 한정되어 사용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IHO는 신규 표준을 준비하고 있으며 특히, GML은 모델링 및 엔코딩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자해도는 해상교통에 사용될 수 있는 가장 신뢰성 있는 정보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나 전자해도 활용을 위한 GML 개발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 GML 변환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GML 작성을 위한 응용 스키마 개발기법 및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다중센서를 이용한 해안선의 정량적 변화 추정: 방아머리 해빈을 중심으로 (Quantitative Estimation of Shoreline Changes Using Multi-sensor Datasets: A Case Study for Bangamoeri Beaches)

  • 윤공현;송영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1호
    • /
    • pp.693-703
    • /
    • 2019
  • 해안지형의 자료는 장기간 해안선의 공간적 및 시간적 변화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누적된 자료를 분석하여 해빈지역의 해안침식 또는 퇴적의 추이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연안지역 관리의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하고 있는 방아머리 해빈을 대상으로 2009년, 2018년, 2019년에 각각 취득된 디지탈 항공영상, 지상 레이져스캐닝 자료 그리고 드론촬영 영상과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위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약 10년 동안의 해안선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처리 과정에서는 사진측량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2009년의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4.40 m인 해안선을 입체도화 방식으로 추출하였다. 2018년도에는 레이져스캐너로부터 취득한 원자료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고 해당되는 해안선을 반자동으로 추출하였다. 2019년도에는 드론영상으로부터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고 3개년도의 해안선을 이용하여 해안선의 변화율을 산정하였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S-57 공간정보 저장을 위한 효율적인 SENC 구조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NC Structure for efficient storage of S-57 spatial data)

  • 이희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673-678
    • /
    • 2004
  • 전자해도의 표준 형식인 S-57은 수로 데이타의 교환을 위한 표준이다. 이에 따라 제작된 항해용 디지털 해도를 전자해도(ENC: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라 하며, 전자해도를 공간 정보의 표현에 적절한 컴퓨터 자료 구조로 변환 한 것을 SENC(System ENC)라 부른 다. SENC는 시스템 제조업체마다 고유한 알고리듬으로 제작되는데,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성능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SENC의 구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는 발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고안한 Mesh 구조를 이용한 SENC 구조를 설계하였고, 이를 Display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PDA 및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동작 결과를 확인하였다.

전자해도용 GML 스키마 정의 및 변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ML Schema Definition and Translation of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 오세웅;박종민;서기열;조득재;박상현;서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66-469
    • /
    • 2006
  • S-57은 디지털 수로정보 전송을 위한 IHO 표준으로 다양한 형태의 수로정보를 위한 표준임에도 불구하고 표준에서 채택하고 있는 구조의 한계로 인해 전자해도(ENC) 제작목적으로만 사용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제수로기구(IHO)는 신규 표준을 준비하고 있으며 특히 GML을 수로정보 모델링 및 엔코딩 도구로 고려하고 있다. 전자해도는 해양GIS 분야의 Base map으로 기대되어 그 가치가 인정되나 전자해도용 GML 개발연구가 진행된 바 없어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전자해도의 GML 변환은 사용자 편의증진과 응용시스템으로의 쉬운 적용 등 많은 이점이 예상되는바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 GML 변환을 위한 GML 응용 스키마와 변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S-100 표준 기반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 설계 (A Design of Data Model for Marine casualty based on S-100)

  • 김효승;문창호;이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69-775
    • /
    • 2017
  • 국제해사기구의 이내비게이션 전략은 선박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보다 편하고 안전한 항해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내비게이션 전략에 맞춰 선박에는 다양한 장비가 도입되고 육상의 시스템과 연계한 시스템 구조를 가지게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스템간의 공통 데이터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국제수로기구가 개발한 S-100 표준이 선정되었다. 본 논문은 이내비게이션 전략의 공통 해사 데이터 구조인 S-100 표준을 기반으로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 S-100 표준의 데이터 모델은 UML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설계되며 최종 인코딩은 GML/XML의 형태를 따른다. S-100 표준과 현재 개발 중인 제품 사양에 대해 살펴보고 해양 사고 데이터의 S-100 표준 기반 데이터 설계와 포트레이얼 정의를 기술하였다.

해양안전정보의 S-100 표준 기반 표출 프로세스 분석 및 실험 (Analysis and Experiment of Portrayal Process based on S-100 Standard of Marine Safety Information)

  • 김효승;문창호;이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89-1296
    • /
    • 2018
  • 국제해사기구에서 추진하는 이네비게이션은 해양 안전과 보안, 해양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선박과 육상 측에 필요한 해양 관련 정보를 전자적인 수단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국제수로기구 S-100 표준은 공통된 데이터 구조로써 다양한 수로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지리 공간 표준이다. S-100 표준을 기반으로 전자해도를 위한 S-101을 비롯하여 다양한 명세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100 기술의 구현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의 어려움을 도와주기 위해, 선저여유수심관리 데이터모델을 기준으로 S-100 데이터 표출 프로세스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한 사례를 구현했다. 데이터 표출 프로세스는 데이터 인코딩과 표출엔진으로 구성되며, 데이터 인코딩은 응용 스키마 생성과 데이터 셋 생성과정을 포함한다. 표출엔진은 생성된 데이터 셋의 형식변환과 XSLT 처리과정, 드로잉 명령집합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디지털항공영상을 활용한 방아머리 해빈의 해안선 변화 관측 (Observation on the Shoreline Changes Using Digital Aerial Imagery for Bangamoeri Beaches)

  • 윤공현;송영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1호
    • /
    • pp.971-98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대부도에 위치하고 있는 방아머리 해빈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의 디지털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장기간의 해안선 변화 관측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약 9년 동안의 시간적 간격이 존재하는 항공영상을 취득하였고 항공삼각측량 수행을 위한 GPS-VRS 측량으로 정확한 지상기준점을 취득하였다. 또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2013년도에 제공된 2차원 디지털 해안선 지도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다중 자료원을 이용하여 장기간의 방아머리 해빈의 해안선 변화율 산정을 통하여 연안침식에 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표고 2 m의 경우 최대 수평위치가 약 0.31 m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안침식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timation of Water Quality of Fish Farm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 Ceong, Hee-Taek;Kim, Hae-R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4호
    • /
    • pp.475-482
    • /
    • 2011
  • In this research, we have attempted to estimate the water quality of fish farms in terms of parameters such as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pH, and salinity by employing observational data obtained from a coastal ocean observatory of a national institution located close to the fish farm. We requested and received marine data comprising nine factors including water temperature from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For verifying our results, we also established an experimental fish farm in which we directly placed the sensor module of an optical mode, YSI-6920V2, used for self-cleaning inside fish tanks and used the data measured and recorded by a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at was communicating serially with the sensor module.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mong three areas - Goheung Balpo, Yeosu Odongdo, and the experimental fish farm, Keumho. Water temperature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linity (significance <5%). Furth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water quality of the fish farm at Keumho based on the data of Goheung Balpo. The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oxygen estimations had multiple regression linear relationships wit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98% and 89%, respective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pH and salinity estimated using the oceanic environment with nine factors, the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very low at less than 10%, and it was therefore difficult to predict the values. We plotted the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by employing the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and found them to fit very well; the values were close to the regression line. We have demonstrated that if statistical model equations that fit well are used, the expense of fish-farm sensor and system installations, maintenances, and repairs, which is a major issue with exis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s of marine farming areas, can be reduced,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fish farmers to monitor aquaculture and mariculture environments.

전자해도 데이터 기반 ePosition 연계기술개발 (Development of ePosition Application Technology Based on ENC Data)

  • 서기열;김경훈;이상지;오세웅;박종민;서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05-1310
    • /
    • 2007
  • 이포지션(eposition)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지구상의 특정 위치를 고유한 위치식별 ID로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ePosition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의 육상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해양자료 및 해양위치정보 서비스를 위한 기술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해양 위치정보 서비스를 위해서는 국제수로기구(IHO)의 디지털 수로데이터 전송표준인 S-57 기반의 전자해도(ENC) 연계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Position 기술의 해양관련 분야 응용을 위한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전자해도에 적용 및 활용하기 위한 상호 연계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전자해도(ENC) 데이터 모델과 구조를 분석하고, 전자해도 파일을 ePosition 데이터로 처리 하기 위해서 변환한다. 그리고 ePosition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여, 연계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ePosition 서비스의 활용과 그 효용성을 살펴본다.

농촌유역의 산림지 면적 감소에 따른 유역 토양유실량 변화 추정 (Estimation of the Forestry Area Decrease Effect on the Soil Erosion in Rural Watershed)

  • 김상민;임상준;박승우
    • 농촌계획
    • /
    • 제10권1호
    • /
    • pp.19-26
    • /
    • 2004
  • In this paper, forestry area change effect on the soil erosion in Asan lake watershed was estimated. Temporal variations of land use in the study watershed were analyzed from Landsat-5 TM remote sensing imag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ombined with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was us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of Asan lake watershed. Spatial data for each USLE factors was obtained from the Landsat-5 TM remote sensing images and 1/25,000 scale digital contour maps. Sediment yield to Asan lake was estimated by sediment delivery ratio and sediment accumulation in lake was estimated by trap efficiency. The estimation methods were validated for sediment accumulation in Asan lake. From the hydrographic survey from 1974 to 2003 for Asan lake, sediment accumulation was measured. The estimated accumulation sediment of 303,569ton/yr showed similar value with observed of 295,888ton/yr. From the validated estimation methods, the increasing amount of soil erosion when 1% of forest area in Asan lake watershed decreases was calculated from 12.91 to 1482.05ton/y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