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umanitie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9초

해외지역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Culture Atlas for Oversea Region Research)

  • 강지훈;문상호;유영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74-1180
    • /
    • 2013
  • 최근에 미래의 디지털 융합을 위한 많은 관심과 요구가 있다. 특히, 정보기술 분야에서 정보기술은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지역학, 문학, 인문학 등과 같은 다른 학문들과의 융합이 필요하다. 문화지도는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양상들을 점, 선, 기호 등으로 표현하여 지도에 나타낸 것이다. 즉 지도는 디지털 환경에서 문화를 효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중해지역 연구와 같은 해외지역 연구를 위하여 전자문화지도를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세부적으로 지중해지역 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를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생성된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하면 해외지역 연구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연구 결과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되고 새로운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인문, 지역학과 IT의 융합학으로서, 해외지역을 연구하는 도구 및 연구결과물의 전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The Meaning, Method and Tool to Build the Ewha Music Database (EMDB)

  • Kim, Eun-Ha;Chae, Hyun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3호
    • /
    • pp.239-245
    • /
    • 2020
  • The Ewha Music Database (EMDB) is an online database comprised of primary source materials related to music education from East Asia during the modern era (1880 to 1945) when Korea, Japan, and China were geopolitically and culturally intertwined. We developed the incipit search in EMDB as an embedded tool. This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 to implement a unique search function of musical data using alphabets of musical notes. Unlike in traditional search system that uses general literature information search conditions, such as author, title, publisher, year, number of pages, etc., it offers a new way of searching a musical piece/work and sheet music. This study confirms that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is an important methodology for research of music culture as a field of humanities.

노년의 삶과 세대의존: 노년인문학의 탐색 (Life in Old Age and Intergenerational Dependency: An Exploration of Aging Humanities)

  • 김일구
    • 영미문화
    • /
    • 제18권2호
    • /
    • pp.27-50
    • /
    • 2018
  • Old age is often compared as climbing mountains which requires walking out of breath, yet with wider vision. And it is also likened to the estuary where the river flows slowly and broadly into the open sea. Socially, old age has been regarded as a symbol of wisdom and reflection, and elderly people often take the role of sage who leads the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 dementia, gray hair and wrinkles of old age were sometimes perceived as the decline of intellect and vitality. Especially, in the digital age in which technology makes people more sensitive to physical artificiality, the evaluation of the old age becomes more complex and obscure. In other words, some elderly people can not escape from Confucious convention of the elders first, which causes the denouncement by younger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some elderly people are becoming more adaptable to the trend of young people, emerging as the new elderly people. The anti-aging movement, early adaptation of IT, bioengineering regimen also strong for the advanced age. However, as the new elderly people are active in many fields of society, they also face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 some areas where remains the overlap between young people and them due to the limited openings in economy and culture. This study is a transdisciplinary research which can be called old age humanities. First of all, this paper looks at the aspects of lifestyles and intergeneration conflicts in old age in four Korean and Western literary works about the old people, and also searches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ater life of old people, Overall,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ay the old people can achieve the full life with the help of intergenerational dependency through building aging humanities and new communities for old people.

전자문화지도 기반 사진 콘텐츠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hoto Contents based Electronic Cultural Atlas)

  • 이동열;강지훈;문상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315-323
    • /
    • 2015
  • 융합학의 한 형태인 전자문화지도의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문화지도의 특성 중의 하나인 전시 및 공유 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사진정보를 활용을 위한 전자문화지도를 설계하고자 한다. 이는 사진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중의 하나로, 사진이 단순한 이미지가 아닌 수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진 콘텐츠를 활용하여 전자문화지도를 설계하고 이러한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하였을 때 이전의 사진 전시 방식과 어떠한 차별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세부적으로 기존의 사진 전시 방식의 한계를 살펴보고 전자문화지도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진을 전시 및 공유하고 사진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 및 연구자들의 활용성과 편이성에 대해 연구한다.

주제별 중첩 기능을 활용한 전자문화지도에 관한 연구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Electronic Cultural Atlas using Thematic Overlay Function Focused on Israel·Palestine)

  • 이동열;강지훈;최춘식;문상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7-36
    • /
    • 2015
  • 최근에 전자문화지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주제를 기반으로 한 전자문화지도들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문화지도들은 대부분 단일 주제로 제작되므로 주제들 간의 연관성 분석이 어렵고, 해당 주제들이 서로 연계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관점을 기반으로 한 활용이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문화지도에 레이어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제들을 표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전자문화지도에서의 주제별 중첩 기능을 활용하여 주제들 간의 연계 관계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주제들의 연관 관계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도출해 낼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용자 경험을 통한 제스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sture Interface through User Experience)

  • 윤기태;조일혜;이주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839-849
    • /
    • 2017
  • 최근 주방의 역할은 이전의 생존 영위를 위한 공간으로부터, 현재의 생활과 문화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IoT 기술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그 결과로, 주방에서의 새로운 스마트기기의 발전과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경험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맥락적 사용자 기반의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보다 자연스러우며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바탕으로 기기와 접촉을 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natural user interface, NUI)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제스처를 인식한 뒤 인식된 손의 모양을 인터페이스에 적용하는 영상 처리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사용자의 맥락과 상황에 맞는 제스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제스처의 기본방향은 직관성과 학습 용이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기본적인 5개의 제스처를 분류하여 이를 인터페이스에 활용하였다.

ICBM 기술 특성 기반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사례 분석 (Cases Analysis in Smart, Connected Toy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CBM Technologies)

  • 전병일;박재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27-35
    • /
    • 2016
  •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의 진보에 따라 전통적인 완구에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가 출현하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ICBM (Internet of Things, Cloud, Big-data, and Mobile) 기술 특성을 바탕으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대표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경향과 한계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개념 및 현황과 ICBM 기술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한 후, ICBM 기술이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여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환경을 연결하기 위한 기술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 특성을 기반으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에 적용된 ICBM 기술의 특성 정도와 한계점을 파악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최신 기술의 특성을 기반으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승화전사(昇華轉寫) 디지털 프린팅을 활용한 우산디자인 개발 -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 (The Design Development for Umbrella by Sublimation Transfer Digital Textile Printing - To Utilize Korean Traditional Images -)

  • 조문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7-221
    • /
    • 2010
  • This study aim to suggest how alter the korean traditional image design for umbrellas by sublimation transfer digital textile printing. Umbrellas are highly depend on design and made from polyester fiber which is proper item to utilize sublimation transfer digital textile printing. Sublimation transfer digital textile printing system can use computer system to create the delicate high dense images and one full layout through the hole umbrella. It can create distinctive style of design compare with former screen printing umbrella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Korean traditional images were adopted and recreated for umbrellas as the modern practical item. 7 of umbrella designs were developed and sample umbrellas could be produced in short period comparing with screen printing process. Through this study, as green printing process, sublimation transfer digital textile printing will be more applied to manufacture high quality textile products along with design development, thus it is expected as an alternative plan to leads growth of umbrella industries.

  • PDF

디지털 레버리징: 기술을 인간의 삶에 적용하는 방법론 (Digital Leveraging: The Methodology of Applying Technology to Human Life)

  • 한석영;김희철;황원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22-333
    • /
    • 2019
  • After the launch of smart phones, various miniaturized smart devices such as wearable and IOT devices have deeply embedded in human life, and have created a technology-oriented society. In this technology-oriented society, technology development itself is important, however it seems more important to utilize existing technology appropriately and deliver effectively to human life. As the computer became personalized after the appearance of PC, human-centered computing such as HCI and UCD had begun to appear.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technology that made human being convenient to interact with computer such as computer systems design and UX development. In the technology-oriented society, it seems more urgent to apply existing technology to human lif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Digital Leveraging' which guides how to effectively apply technology to human life. Digital Leveraging is the way of convergence between technology and humanities.

북미지역에 소장된 내한 의료선교사 편지 기록의 현황과 디지털 인문학적 활용 가능성 (Letters by Medical Missionaries to Korea: Exploring Digital Humanities Approaches)

  • 허경진;한미경;이혜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252
    • /
    • 2018
  • 1884년 한국에 온 최초의 의료선교사 Horace Allen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을 세운 뒤에 John Heron, Oliver Avison 등 외국인 의사들이 선교를 목적으로 차례로 입국하였다. 이들은 병원과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진료와 교육활동을 통하여 근대의학을 보급하고 발전시켰다. 또한 체류기간동안 파송기관과 교회에 공적 기록물을 작성하여 보고하였고 동료, 후원자, 그리고 가족들에게는 개인적인 기록물을 남겼다. 개화기 이후 내한선교사들의 기록, 즉 보고서, 기행문, 편지, 일기, 사진, 구술자료 등은 우리나라 근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사료이다. 특히 일기나 기행문이 자세한 기록이기는 하지만, 일방적인 기록이기 때문에 과장되거나 불확실한 경우가 있는 것에 비해 편지는 수신자와 발신자 사이의 기록이기 때문에 사실 확인이 가능하고 회고록처럼 후일의 상황변동에 따라 수정하거나 변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학술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내한 의료선교사들의 1차적인 기록인 편지를 보다 포괄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일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북미지역 29개 기관에 소장된 49개의 기록물 컬렉션을 조사하고 분석한 것이다. 또한 이들의 자료적 가치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인문학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근대사 연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