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Twin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4초

디지털 트윈 시스템에서의 소프트웨어 테스팅 기술 동향 (Trends of Software Testing Technology on Digital Twin Systems)

  • 김유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8-619
    • /
    • 2022
  • 디지털트윈은 현실에서의 상황을 가상의 세계에 만들어 놓고 시뮬레이션 하여 결과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디지털트윈은 제조업에서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트윈을 이용하여 현실상의 도시 개발과 가상의 도시개발을 쌍둥이로 진행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하는 역할을 수행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테스팅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가상의 소프트웨어로 동작하는 것이 주를 이르는 특성을 반영한 소프트웨어 테스팅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 시스템에서의 소프트웨어 테스팅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디지털 트윈을 사용하는 폐암환자 생존분석을 위한 웹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 프레임워크 (Web based Microservice Framework for Survival Analysis of Lung Cancer Patient using Digital Twin)

  • 콜레카르 시바니 산제이;염성웅;최철웅;김경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37-540
    • /
    • 2021
  • One of the most promising technologies that is raised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igital Twin (DT). A DT captures attributes and behaviors of the entity suitable for communication, storage, interpretation or processing within certain context. A digital twin based on microservice framework architecture is proposed in this paper which identifies elements required for the complete orchestration of microservice based Survival Analysis of Lung Cancer Patients. Integration of microservices and Digital Twin Technology is studied.

IoT 플랫폼 기반 디지털 트윈 프로토타입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 Platform-based Digital Twin Prototype)

  • 김지형;최원기;송민환;이상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356-367
    • /
    • 2021
  • 최근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조,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현실세계 문제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는 연구 및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실세계를 디지털화한 가상세계와 양방향으로 실시간 동기화를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정의하고 사물인터넷 국제표준인 oneM2M 기반의 IoT 플랫폼을 활용하여 현실사물과 가상세계의 예측결과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프로토타입을 적용하여 물체의 충돌을 사전에 예측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응용서비스를 구현한다. 응용서비스에서는 사전 정의한 테스트 케이스 수행을 통해 제안한 디지털 트윈 프로토타입이 크레인의 동작을 사전 예측하여 충돌 위험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실제 환경에 응용 가능함을 보였다.

디지털트윈 기반 현장 관리를 위한 센서 정보 수집 기법 및 시스템 (Sensor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for on-site Management based on Digital-twin)

  • 서민재;하준우;임현규;전지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9-16
    • /
    • 2023
  • 최근 현장 관리 관제를 위해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하고 현장에서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 변화 분석을 통해 현장 내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트윈과 같은 기술을 적용할 경우 조기 문제 대응 및 빠른 상황 대처가 가능하지만, 이러한 디지털트윈 기술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현장 정보를 수집하는 이기종의 센서 데이터를 적절한 주기에 맞춰 수집하고 관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각각의 관리 목적에 맞게 시각화될 수 있도록 센서 정보가 각 관리 도메인별로 전달, 이상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트윈을 기반으로 현장 점검 관리를 위해 이종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및 관련 시스템 구성을 제안한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물의 수도관 관리 방안 연구 (Study on Management of Water Pipes in Buildings using Augmented Reality)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29-1238
    • /
    • 2023
  •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를 복제한 가상 공간을 만들고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현실 공간을 관리하는 기술이다. 건물에 설치되어 있지만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수도관 설비를 가상 공간에 구현하고 이를 건물의 실내 공간에 증강함으로써 현실 세계의 수도관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수도 설비에 대한 디지털 트윈 개념이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Unity 3D 게임 엔진을 이용하여 건물의 실내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을 구현하며, 디지털 트윈 구현에 필요한 증강현실 기술은 ARCore 기반의 AR Foundation 툴 킷을 사용한다. 디지털 트윈 응용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정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2D 이미지 마커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정합한다. 또한 증강된 오브젝트를 시각적으로 현실감 있게 표현하기 위하여 Unity 쉐이더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구현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수도관을 현실 공간에 배치하고, 시각적으로도 효과적으로 벽면 위에 수도관을 표현하는 것을 보여준다.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3D Geo-spatial Information for Digital Twin Implementation)

  • 김승엽;이호현;최은수;고제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6-160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ICT 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스마트시티에 관한 다양한 실증연구가 수행되고 있고, 스마트시티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과 가상환경을 상호연결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구현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려면 공간의 개념이 필수적이며 실세계를 구성하는 공간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기 위해 전주시의 건물, 수자원시설, 교통시설물을 대상으로 국가공간정보 구축규정과 국제표준 CityGML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모델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지역인 전주시를 대상으로 구축 범위별 세밀도 (LOD)를 정의하고 세밀도 별 데이터 수집, 분석 그리고 구축을 통해 공간정보 기반의 디지털 트윈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도시 단위의 공간정보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구축결과를 도시 표준모델로 모델화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트윈 구축을 추진하는 정부와 지자체에서 세부적인 구축방안, 표준정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컨테이너 항만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을 위한 데이터 요인화 연구 (A Data Factorization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Digital Twin Technology to Container Ports)

  • 남정우;김율성;신영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2-56
    • /
    • 2022
  • 2016년 세계경제포럼인 다보스포럼에서 발표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전 세계의 산업트렌드는 점점 빠르고 지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중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이나 시스템, 환경 등을 실제 가상 세계에 동일하게 구현하고, 이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분석 등을 진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 및 시행착오를 감소시키는 획기적인 기술로 전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항만 역시 항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항만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항만 디지털 트윈 구체화를 위한 측정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컨테이너 항만 적용을 위한 측정 가능한 데이터 조사하고 이를 요인화하여 항만 디지털 트윈에 필요한 측정 가능한 데이터 수집에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컨테이너 항만 적용을 위한 데이터 요인은 크레인 데이터, 운영적 데이터, 물리적 데이터, 운송적 데이터로 분류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구성, 요인과의 상관관계,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산업-서비스 분류체계 개발 (An Industry-Service Classification Development of Metaverse Platform)

  • 윤승모;임춘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3-258
    • /
    • 2021
  • 4차 산업혁명과 기술의 발달로 VR&AR 시장의 기술력이 발전하고, COVID-19로 인한 물리적 공간의 제약이 없는 디지털 환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기업들은 집합 금지 제한 및 규정에 대한 솔루션을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메타버스, VR (Virtual Reality), AR(Argumented Reality), Digital Twin 등 시장이 확장되고 있는 상황에서 메타버스에 대한 명확한 정의 또는 분류체계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VR&AR, Digital Twin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에 대해 이해하고 선행연구,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활용 산업을 정의하고 사례 분석을 통한 산업별 서비스를 도출하여 메타버스 산업-서비스 분류체계 및 Matrix를 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 of AI-based Integrated Smart Fire Safety (ISFS) System in Public Facility

  • Myung Sik Lee;Pill Sun Seo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25-234
    • /
    • 2023
  • Even at this poin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we are still facing many problems in the safety sector that cannot prevent the occurrence or spread of human casualties. When you are in an unexpected emergency, it is often difficult to respond only with human physical ability. Human casualties continue to occur at construction sites, manufacturing plants, and multi-use facilities used by many people in everyday life. If you encounter a situation where normal judgment is impossibl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t a life site where there are still many safety blind spots,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existing manual guidance method. New variable guidance technology, which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win, can make it possible to prevent casualties by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needed to deriv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in real time beyond identifying what safety accidents occurred in unexpected crisis situations. When a simple control method that divides and monitors several CCTVs is digitally converted and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3D digital twin control technology, intelligence augmentation (IA) effect can be achieved that strengthens the safety decision-making ability required in real time. With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Disaster Enterprise Punishment Act, the importance of distributing a smart location guidance system that urgently solves the decision-making delay that occurs in safety accidents at various industrial sites and strengthens the real-time decision-making ability of field workers and managers is highlighted. The smart location guidance system that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win consists of AIoT HW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NW equipment, and intelligent SW platform. The intelligent SW platform consists of Builder that supports digital twin modeling, Watch that meets real-time control based on synchronization between real objects and digital twin models, and Simulator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various safety management scenarios using intelligent agents. The smart location guidance system provides on-site monitoring using IoT equipment, CCTV-linked intelligent image analysis, intelligent operating procedures that support workflow modeling to immediately reflect the needs of the site, situational location guidance, and digital twin virtual fencing access control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fixed passive guidance methods, analyzes global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to overcome them, identifi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properties required to switch to intelligent variable smart location guidance methods,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AI-based public facility smart fire safety integrated system (ISFS).

Research Status and Trend of Digital Twin: Visual Knowledge Mapping Analysis

  • Chen, Qiuying;Lee, Sang-J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84-97
    • /
    • 2021
  • Digital twins are one of the promising digital technologies used to facilitate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it needs to continually be developed remain relevant in industry and academia. Consolidation of research is required to create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topic and to ensure that future research is built upon a solid foundation. Based on a bibliometric review and a thematic analysis of 217 publications on digital twins from the past two decades, this paper creates and analyzes a visual knowledge map and proposes areas for further research.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development trends and research trends of digital twins,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 digital twins within the core collection database of Web of Science. Through our research, we have shown that the current situation, trends, and hotspots of digital twin research were analyzed via CiteSpac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esearch on digital twins is rapidly growing in popularity, that the output of the research depends largely on the core group of authors conducting it, and that digital twins warrant cross-domain and cross-disciplinary research pat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