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fe Index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1초

베이비붐세대의 디지털라이프 지수 (Digital Life Index of Babyboom Generation)

  • 권순재;김미령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1호
    • /
    • pp.161-184
    • /
    • 2014
  • Our study measures the Digital Life Index (DLI) of baby boomers by considering the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in their everyday life. The study was conducted by implementing the following three-step approach: (1) development of survey questions and data collection; (2) build Digital Life Index (DLI) model and lastly; (3)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Digital Life Index (DLI). In the first stage in order to develop the survey questions to measure the digital index, two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it was done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s which enabled this investigation through FGI analysis involving real professionals.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by commissioning a specialized external firm. In this survey, a total of 400 data was colle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data sample.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s was used to develop the digital index. Firstly, the appropriate factors were extracted by conducting factor analysis. This factor analysis validates and verifies the factors which are appropriate in measuring Digital Life Index (DLI). The derived factors are broadly divided into five main factors. The first factor describes the possession, purchase and use of digital device (x1). Meanwhile, the second factor describes the digital device's software (x2) and the third factor describes the participation in utilizing digital device (x3). The fourth factor describes the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 in human personal relationship (x4) and lastly, the fifth factor describes the effect of digital device in everyday life and work environment (x5). Secondly, the digital index model was developed. The variables to represent the Digital Life Index (DLI) are ${\chi}1t,{\chi}2t,{\chi}3t,{\chi}4t$ and ${\chi}5t$. Furthermore, as experience in using the digital index grows overtime, the growth can be represented by the "S" shape. Based on the results, Digital Life Index(DLI) is distributed with the highest point at 90.3 and the lowest point at 25.9.

Distribution of ICT and Analysis of the Digital Components of the Quality of Life

  • PANZABEKOVA, Aksanat;KIREYEVA, Anel A.;SATYBADIN, Azimkhan A.;S.SABYR, Nursymbat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12호
    • /
    • pp.67-77
    • /
    • 2020
  • Purpose: Based on the author's adapted invariant choice,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ethodology and the calculation of the integral index of the digital component of the quality of life. By analyzing the digital indexes, the study is also to discuss distribution of ICT and the digital quality of life of the population of Kazakhstan and its region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integral assessment of the indicator was used, which indicates index constructs. The study analyzed objective secondary data for the period 2017-2019, which was the database from official websites of the Committee on Statistics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Results: The study produced an integral code for assessing digital components of living standards of the population, consisting of five groups sub-indexes. Conclusions: Based on the provided analyses, we can confirm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ll the indicators of digital living standards of the population between the two leading cities: Almaty city and Nur-Sultan city. Furthermore we can deduce the differences of the examined indexes for other regions of Kazakhstan. Despite the rapid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ies, Kazakhstan still has significant digital gaps among cities indicating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peed of implementa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 technologies.

한국의 IT 산업 경쟁력과 IT 활용 수준 분석 (IT Industry Competitiveness and e-Readiness Level of Korean Economy)

  • 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35-41
    • /
    • 2009
  •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digital economy era, does a very important role not only for the country's administrative management innovation but also for the business and for the everyday life. Specifically, the e-business for the company or organization is defined as "using the Internet and IT, rescheduling of business process management activitie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nd to create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anks to the Korea's recent efforts, overall level of informatization and digitalization is able to receive high praise. But the e-business readiness (e-readiness) level is still expected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paper, I try to analyze the informatization level of Korea's by the EIU's e-business readiness index and IT industry competitiveness index, to prepare a full-scale e-business era of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any preparation that could do to improve the situation from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 PDF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의 영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PMC 학술지의 인용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Measuring Impact of Scholarly Digital Archives : Analyses on Citation Indicators of PMC Journals)

  • 신은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3호
    • /
    • pp.51-70
    • /
    • 2005
  •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은 학계에 이미 전파된 연구성과를 디지털 형태로 보존하여 연구자로 하여금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는 정보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생명과학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인 PMC가 실제 생명과학 분야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 등장을 계기로 영향력지표, 즉시성지수, 반감기 등 세 인용지수의 추이가 변화하지는 않았다. 반면에 주제별로 학술지의 인용지수를 산출하여 학술지의 순위를 평가한 결과에서는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의 등장 이후 학술지의 인용지수 순위가 향상되는 경우가 하락하는 경우보다 많았다.

<인생나눔교실> 사업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project)

  • 이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79-8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인생나눔교실> 사업 평가를 시행하기 위해 본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설계하고 이를 사업평가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AHP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설정하였고, 개발한 평가지표를 토대로 현장 평가를 진행하여 <인생나눔교실> 사업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 영향과 사업 내용의 적정성 지표가 20개의 지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17년 5개 지역주관처의 현장평가를 실시한 결과, 탁월 및 우수 등급이 4개 기관, 보통 등급이 1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생나눔교실>의 사업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평가를 체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아직 피평가자의 수용성과 효용성에 대해서는 평가지표에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매년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의 가중치를 재설정하여 평가모형을 지속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공공서비스 지표 (The Improvement Index of Smart Public Services to Adv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 김미연;변성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3-53
    • /
    • 2018
  • 최근 개방된 공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 노령화, 재난재해, 복지, 주택, 경제, 도시환경, 교통 등 삶의 질 향상 및 생활지원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확산과 일상생활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과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수명은 늘어나고 여러 사회적 여건 변화와 저출산 고령화 문제로 고령계층이 비대해지는 사회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접근이 쉽지 않은 노약자는 모바일폰을 통해 제공되는 공공서비스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매우 낮고 휴대기기를 다루는데 미숙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고령층의 상태조건을 재분류하고 고령자를 위해 제공되는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기존 인터페이스 설계의 핵심항목 위계를 정리하여 노인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공공서비스 설계의 개선지표를 도출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EQ-5D Index 이용 성인 암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patients with cancer using EQ-5D Index -Focused on the Korea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종규;권이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281-291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지난 5개 년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근거로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 대장암 및 폐암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삶의 질을 EQ-5D 측정도구로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전체 연구대상자 26,260명 중에서 암 유병은 201명으로 조사대상자의 약 0.8%이다. 암 환자의 삶의 질은 연령이 낮을수록(p<0.0001), 전문직 종사자일수록(p<0.0001), 고학력일수록(p=0.0002) 높았고, 또한 아파트 거주자(p<0.0001)와 미혼자(p<0.0001)의 암 환자 삶의 질이 높았다. 특히 우리나라 의료보장 형태변수에 따른 암 환자의 삶의 질 측정은 국내 최초로 시도한 연구이다.

병원간호사의 행복지수, 전문직관,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etter Life Index,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s to Leave among Hospital Nurses)

  • 남문희;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417-427
    • /
    • 2012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행복지수, 전문직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비교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2012년 7월1일부터 7월20일까지 부산,경남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8곳을 임의 표출하여 총 70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수집하였으며 최종 677부를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행복지수, 전문직관, 이직의도의 정도와 차이를 파악하였고,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행복지수와 관련된 항목의 평균은 3.03(5점척도), 전문직관의 평균평점은 3.09로 중간정도였으나 이직의도는 평균평점 3.35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전문직관과 이직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이직의도는 행복지수와 전문직관과의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이직의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전문직관과 행복지수, 종합병원, 평균급여 201-250만원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행복지수와 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좀 더 심층적인 변인들을 포함하여 다차원적인 관점의 추후 연구가 요구되며,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적용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문화예술이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Cultural Arts on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index of Seoul citizens)

  • 배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89-96
    • /
    • 2018
  • 현대사회에서는 경제성장이 중시되던 과거에 비해 삶의 질 향상과 행복을 위한 노력이 중시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문화를 통한 국민행복실현을 이루고자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정된 설문조사나 문헌조사와는 달리 문화예술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수요(향유)와 공급 측면으로 나눈 후, 종속변수로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과 인구구조변화의 통제 하에 시간적 범위를 10년 이상 설정한 후 정량적으로 패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가 클수록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에 양(+)의 영향을 끼쳤으나 문화예술 공급은 유의미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화예술 향유에 기인한 서울시민의 행복지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급을 통한 서울시민의 행복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간을 보완하고 다양한 계층을 겨냥한 차별화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수요계층 뿐만 아니라 문화무관심집단 나아가서는 문화소외계층의 능동적 참여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감성공학을 기초한 진공청소기의 음질 인덱스 개발 (Development of Index for Sound Quality Evaluation of Vacuum Cleaner Based on Human Sensibility Engineering)

  • 구진회;이상권;전완호;김창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7호
    • /
    • pp.821-828
    • /
    • 2005
  • In our life, we have used many digital appliances. They help u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ut sometimes give us unsatisfactory result. Because they produce specific noise. Especially vacuum cleaner produce much noise that is very annoying. So we need to study what sound metrics affect human sensibility. In this paper, we develop sound quality index for vacuum cleaner using the sound quality metrics defined in psychoacoustics. First, we carry out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vacuum cleaner sound to verify what vacuum sound feels good to human. And then artificial neural network estimated the complexity and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 between subjective evaluation and sound metrics. Finally the ANN is trained repeatedly to have a good performance for sound qualify index of the vacuum cleaner. As a result, the sound quality index of vacuum cleaner has a correlation of $93.5\%$ between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ANN. So, there exist three factors that Is loudness, sharpness, roughness which affect the sound quality of vacuum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