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brary

검색결과 1,237건 처리시간 0.028초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시민성 프로그래밍: 미국의 미래 도서관 수상 도서관을 중심으로 (Digital Citizenship Library Programming in Award-Winning Libraries of the Future: A case review of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 홀리스터 조나단;이지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9-392
    • /
    • 2023
  • 디지털 시민성은 온라인의 타인과 정보 및 미디어와 상호작용함에 있어 변화하는 기술을 효과적이고 윤리적으로 사용하는데 관련된 지식과 기술의 집합체를 포함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기술에 대한 접근과 활용교육을 제공해 온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을 디지털 시민성 관점에서 분석하여 잠재적인 트렌드와 모범실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난 11년동안 미국 ALA가 수여한 미래의 도서관 상을 수상한 공공도서관 7곳을 유의 추출하여 각 도서관 웹사이트에 공개된 2개월 동안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Ribble과 Park(2019)의 디지털시민성 9개 요소를 기준으로 5세 이상부터 노인층까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337개 프로그램 제목과 설명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시민성 요소 중 컴퓨터와 기술 이용 관련 디지털 접근과 디지털 유창성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석 결과와 사례 제시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디지털 시민성의 나머지 7가지 요소들을 현행 프로그램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하고, 모든 연령층 이용자를 위한 포용적이고 접근성 높은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공동체 협력을 통해 자원과 전문성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자료실 구축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인터넷 콘텐츠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Digital Material Center in Public Library in Comparison with Internet Contents)

  • 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3-172
    • /
    • 2002
  • 이 글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자료실 구축사업의 진행과정에서 노출되고 있는 몇 가지 쟁점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와 함께, 인터넷 정보와는 차별성이 있는 디지털 자료실의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 구축사업의 전개과정에 대해 각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 관리자들과 실무자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살펴본 다음, 인터넷과 디지털 자료실의 콘텐츠를 비교\ulcorner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이 PC 방 수준을 벗어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 PDF

디지털정보센터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the Digital Information Center)

  • 김석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27권2호
    • /
    • pp.95-121
    • /
    • 1996
  • 본고는 디지털도서관의 이론적 배경자 국내외의 구축현황을 고찰한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이 출현하게 된 배경으로서, 도서관 패러다임의 변화와 디지털도서관의 개념을 기술하였고, 디지털도서관의 필요성, 디지털도서관시스템 구축 원칙, 디지털도서관 관련 기술을 설명하였다. 해외의 디지털도서관 구축 사례는 미국, 영국, 그리고 일본의 경우를 소개하였으며, 국내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과학기술원, LG 상남도서관의 사례를 설명하였다.

  • PDF

북한 PUST 디지털도서관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Model for PUST in North Korea)

  • 이종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3-158
    • /
    • 2008
  • 본 연구는 남북합작으로 건립하는 PUST에 설치될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모델 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해 디지털도서관의 문제와 PUST 디지털도서관의 이슈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저작권법하의 공정사용 미흡 등으로 현 단계에서 디지털도서관만 운영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남북의 언어와 지적기반의 차이 등으로 홈페이지 접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 의 검색 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디지털도서관과 하이브리드 도서관을 병행 운영할 것과, 디지털도서관 관련 하여 유니코드를 통한 홈페이지의 이중화 NCHAR 데이터타입 설정을 통한 다국어 저장, 전거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시니어의 도서관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시니어 이용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Seniors' Use of Library Digital Information: Focusing on senior user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최재은;이정효;황영은;문진서;안민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79-20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가 (1) 도서관 디지털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태도, (2) 도서관에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는 요인, (3)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시니어 이용자 2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담을 수행한 결과, 시니어의 과반은 도서관 디지털화에 우호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시니어의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으로는 '사서'와 '시력 및 글자 크기'가 가장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요인은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게 하는 요인이면서 동시에 이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요인이기도 하였다. 그 밖에 디지털 정보 이용 요인으로는 '자료의 특성', '편리성'이 있고, 비이용 요인으로는 '태도 및 심리적 요인', '책의 물성' 등이, 방해 요인으로는 '홈페이지 사용성 문제'가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도서관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gital Libraries)

  • 이제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3-172
    • /
    • 2004
  •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가 구축해 놓은 디지털도서관의 품질을 종합적으로 검증해 보고, 향후 품질관리 및 개선을 위한 거시적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 디지털도서관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선행연구와 이용자조사에 근거하여 품질검증을 위한 평가항목을 개발하였다. 이어, 국내에서 구축한 디지털도서관의 현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영역별로 대표적인 디지털도서관을 선정하여 연구팀이 개발한 평가항목에 의거하여 품질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우리의 디지털도서관은 괄목할 양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디지털 콜렉션과 시스템 기능에 있어 품질개선을 위한 여러 과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우리 디지털도서관의 건강한 발전을 위한 품질관리와 개선 전략을 국가적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해양 전문 디지털도서관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Constructing the Maritime and Ocean Digital Library)

  • 오용식;황진용;이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5-200
    • /
    • 2016
  • 본 연구는 해양 전문 디지털도서관 건립 타당성분석 연구의 일부로써 도서관 건립의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기초적인 결과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건립의 정책적 타당성, 수요분석 및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제성 분석에는 편익/비용 비율,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을 계산하여 경제성을 분석하였으며, 조건부 가치 추정법을 활용하여 편익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해양 전문 디지털도서관의 건립에 필요한 추가적인 세금에 대한 응답자의 지불의사 금액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경제적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REMIS 기반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Preservation Metadata Based on PREMIS Focusing on Digital Data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 박옥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3-113
    • /
    • 2012
  •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수집하는 디지털정보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존을 위하여 장서관리 시스템에서 보존용 메타데이터 입력을 위한 PREMIS 기반 목록규칙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METS를 기반으로 한 목록레코드에 PREMIS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REMIS 기반 구현 구현사례를 분석함은 물론,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자원 수집 현황 및 보존현황, 담당자와의 면담 등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객체(object), 이벤트(event), 행위자(agent), 권한(rights)의 총 4개 분야로 나누어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 장서관리에서 인코딩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METS를 기반으로 한 PREMIS분석을 통해 도출된 메타데이터를 적용한 후 이에 따른 목록의 예를 제시하여 실무의 적용가능성을 높였다.

현존하는 디지털도서관의 문제점과 미래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xisting problems of digital libraries and their future environment)

  • 박일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391-421
    • /
    • 1997
  • Information scientists need not to answer whether future libraries will be a digital library or not, but to answer how they are structured and served effectively to users currently. 'The library with walls' or 'the library as place' need to be existed in the future, but 'digital library without the wall' or 'virtual library' will need to be studied continuously. This study has tried to reveal the existing problems of digital libraries and their future environment after considering the ambiguous concepts of various types of electronic libraries and their efforts for library automation, and the changed information retrieval circumstances during the last 30 to 40 years through a qualitative document study. As a result, the major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prepared. The library of the future will be a part of local and national cooperative systems, be filled with the intelligent use of old and new technologies, and be able to su n.0, pport both a place with extensive collections and convenient, easy, & free access to remote intellectual resources. Also, the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ISAR) to the future library system would easily provide users with any types of data retrieval system by anybody rather than by an expert or a specialist, so called 'A&E retrieval' in the coming 21th century. It will be highly possible that the future society changes to the information marketplace whose data may be recognized as an intangible assets.

  • PDF

하이브리드도서관을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일본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적용 사례 - (A Study on Space Organization for the Hybrid Library - An Application to the Central Library of Kyushu University -)

  • 유병장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141-163
    • /
    • 2010
  • 인터넷을 통해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방대해지고 검색엔진이 고도화되면서 웹을 사용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전자책 등 디지털 자료는 인터넷이 가능한 곳에서는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정보에 대한 수요는 더욱 더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자료의 중요성과 비중이 커짐에 따라 전통적인 종이 자료와 디지털 자료의 모두를 한 공간에서 다루는 새로운 도서관의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조사,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의 각종 통계자료 분석, 도면 및 현장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은 자료의 제공 이외에도 학습의 장소, 커뮤니티를 위한 사람들의 교류의 장소 등 사회 문화적 역할도 중요하며, 또한 디지털 자료의 비중이 커지면서 도서관 "공간"의 역할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도서관의 공간을 매체의 형태와는 관계없이 주제 중심으로 하나의 공간에 재구성하는 하이브리드도서관에서는 이용자가 동일한 지역에 체류하면서 도서관자료나 인적서비스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