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quity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디지털 격차와 삶의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세대별, 사회경제적지위, 도시-농촌 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Generation, SES, and an Urban-rural Comparison)

  • 고흥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33-641
    • /
    • 2017
  • 이 연구는 급속한 디지털 미디어 발달과 한국사회의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현상에 주목하여,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대해 세대별, 도시-농촌간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규모의 9,647개 샘플 데이터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세대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2030연령대가 디지털 활용과 삶의 만족도 등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60대 이상 연령층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디지털 활용은 모든 계층에 있어서 도시거주자들이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삶의 만족도는 하위계층과 중위 계층에서는 농촌지역이, 상위계층에서는 도시지역이 더 높이 나왔다. 이 연구는 초연결사회로 진행되어 가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디지털 형평의 문제를 사회경제적지위와 도시-농촌 간 비교를 통해 재확인하면서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어학원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Marketing of Language Schools on Brand Equity and Consumer Purchase Intent)

  • 김도훈;김종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27-436
    • /
    • 2018
  • 기업들이 온라인 마케팅 채널로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소셜을 통한 고객관계관리(소셜CRM)의 영역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사회 전반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기업들의 마케팅이 활발한 상황이지만 국내 어학 브랜드들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은 브랜드 특성에 따라 상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의 구성 요소 중 정보성, 콘텐츠 적합성, 최신성이 브랜드 자산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의 구성 요소들은 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최신성, 콘텐츠 적합성, 정보성 순이었다. 둘째,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 구매의도에서도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으며, 자녀유무에 따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학원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어학원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관한 학술적인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현 상황에서 향후 후속 연구에 이론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배당정책에 따른 유상증자 공시효과 (Effect of Dividend Policy on the New Issue Announcement Effects)

  • 이용환;윤홍근;안병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149-160
    • /
    • 2014
  • 본 연구는 유상증자 공시전 배당정책이 유상증자 공시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의 총 683건의 유상증자 자료를 유상증자 공시 이전 배당지급 기업표본과 배당미지급 기업표본으로 구분하여 사건연구를 실행한 결과, 배당지급기업의 유상증자 공시효과가 배당미지급 기업의 유상증자 공시효과에 비하여 더욱 부정적으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유상증자공시 전 배당금 지급이 유상증자공시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 이유로써, 배당금 지급으로 인한 외부자금조달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비용(out of pocket cost), 혹은 배당금 지급이 Myers and Majluf(1984)의 역선택효과를 희석시키기 위한 "허위신호"를 본 연구는 제시한다.

중소기업 디지털 마케팅을 위한 영상 콘텐츠 유형 연구 (Types of Video Content for SMEs' Digital Marketing)

  • 정회경;이성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41-446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뉴미디어를 활용하여 브랜드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중소기업 홍보에서 디지털 매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파악하고 콘텐츠 측면에서 어떤 구체적인 필요 요소를 갖는지 분석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중소기업의 디지털 매체 활용과 콘텐츠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중소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중소기업은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관여 성향을 보이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 영상 콘텐츠를 브랜드 홍보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니즈가 높았다. 특히 소비자들의 중소기업 제품 및 브랜드 경험 부족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영상 콘텐츠 제작과 활용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콘텐츠 측면에서는 소셜 인플루언서, 전문가 등을 통한 공신력있는 콘텐츠 활용이 중소기업 제품의 신뢰도 및 긍정적 이미지 구축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런 연구결과는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중소기업의 디지털 콘텐츠 전략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향후 중소기업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홍보 연구에 토대를 제공한다.

사옥신축목적 시설투자의 장기성과와 정보비대칭 현상에 대한 실증연구 (Long Term Performance of Firm with Capital Investment for New Office Construction and Information Asymmetry)

  • 이진훤;이포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3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옥신축목적의 시설투자 공시기업을 대상으로 내부관계자의 거래행태에 따른 차별적 장기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자본시장의 정보비대칭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거래소 유가증권과 코스닥시장에서 투자공시가 이루어진 기업을 대상으로 사건연구방법과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옥신축 기업의 장기주가수익률은 평균적으로 양(+)의 유의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공시 전후의 내부관계자 지분변화에 따라 차별적 장기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회귀분석결과 내부관계자지분, 소액개인투자자의 지분변화는 각각 장기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내부관계자가 경영자의 사적 의도에 대한 진위 여부 및 사옥신축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우위의 위치에 있음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연구결과로 풀이되며 지분변화요인이 사옥신축 기업에 대한 장기성과의 예측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자본시장의 투자자들에게 실무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Promote Skill Upgrading in Developing Countries? Empirical Evidence from Malaysia

  • JAUHARI, Azmafazilah;MOHAMMED, Nafis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289-306
    • /
    • 2021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and to what extent FDI impacts the relative demand for skilled labor within firms in the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The analysis uses a sizeable micro-level dataset for Malaysian manufacturing industries using the System-GMM estimators to control the estimations' endogeneity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s foreign equity share at the firm level to investigate foreign ownership effects at the firm level and the Horizontal FDI index by Smarzynska Javorcik (2004) to analyze FDI intra-industry linkages influence on the structure of labor demand for Malaysian domestic firms. Our findings indicate that foreign ownership increases the skilled demand within Malaysian manufacturing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exclusively f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SMEs). Conversely for foreign-owned firms, changes in their skilled-labor share do not associate with changes in firm-level foreign equity share. We conclude that foreign ownership per se is not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 for skill upgrading in Malaysian manufacturing firms. Furthermore, the competitive pressures caused by foreign firms' presence within the same industry - namely horizontal FDI - has a significant negative spillover effect on the level of skilled-labor share for domestic firms in the Malaysian manufacturing sector within periods of the understudies.

장애인 건강권 향유를 위한 디지털 헬스 적용 방향 고찰 (Examination of the Application Directions of Digital Health for the Enjoyment of Healthcare Right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 정희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5-13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pplication directions for South Korea's digital health policy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and examining foreign cases. The objective was to enhance the healthcare right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onsidering the potential expansion of the digital health policy. The findings indicate that digital health holds significant promise in improving mobility and accessibility for the healthcare rights of disabled individuals in Korea. However, addressing the digital gap is crucial for achieving smooth utilization. To ensure seamless use of the digital health system, it is imperative to attain digital inclusion, encompassing digital technology,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Additionally, establishing governance for digital health and expanding infrastructure for affordable access to high-quality internet are essential. Despite the study's limitations arising from relying on literature research, it is anticipated that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preemptive responses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digital health policy to enhance the healthcare right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우리나라 남자 운동선수 대상 병역 제도에 대한 합리성과 형평성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Rationality and Equity of the Military Service System Against Athletes in Korea)

  • 황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507-517
    • /
    • 2016
  • 국가에서 국민에게 부과하는 사회적 의무는 모든 국민에게 합리적이고 평등하게 부과되어야 한다. 이를 근거로 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만 18세 이상의 건강한 남성 모두에게 병역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헌법 39조 1항과 병역법 제3조 1항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것을 거부하게 되면 대한민국 헌법과 병역법에 의거 매우 강하게 처벌된다. 물론 이것은 전문적인 운동선수 또한 예외일 순 없다. 하지만 운동선수의 경우를 고려할 때, 일반 국민과의 형평성과 합리성에 대하여 한 가지 논의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헌법과 병역법을 근거로 하여 운동선수 대상의 병역제도를 분석하고, 이 가운데 발생하는 제도적 문제점에 대하여 보완할 수 있는 대책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체계적 문헌고찰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말미에 운동선수의 병역과 금전 등 이중혜택 금지, 병역비리 사후자 관리 제도 신설, 군경 스포츠 조직의 차별없는 아마추어화 등 총 3가지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운동선수가 겪고 있는 병역에 관한 고충과 비합리성 및 비효율성을 지적하고 수정 및 제안함으로써 대한민국 사회의 병역의 의무에 대한 제도적 발전과 운동선수에 대한 그 처우 개선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중국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에 대한 브랜드 가치 분석 - 타오바오(淘宝)와 진동(京东) 중심으로 - (Analyzing the Brand Values of Online Shopping Website in China - Focused on Taobao and Jingdong -)

  • 최욱;김종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293-303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온라인 쇼핑 타오바오(Taobao)와 진동(Jindong) 웹사이트에 대한 브랜드 개성, 브랜드 자산 그리고 브랜드 가치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162개의 설문은 타오바오, 159의 설문은 진동에 설문한 총 321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타오바오에 대한 브랜드 개성은 '성실', '세련', '역량', '흥미로움', 진동에 대한 브랜드 개성은 '역량', '세련' 그리고 '흥미로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쇼핑 웹사이트에 대한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자산과 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타오바오의 '성실'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이미지 그리고 인지된 품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세련'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된 품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역량'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인지도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진동의 경우 '역량'과 '세련'에 대한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흥미로움'에 대한 브랜드 개성은 인지된 품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브랜드 충성도와 인지된 품질은 타오바오의 브랜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브랜드 충성도, 이미지 그리고 인지된 품질은 진동의 브랜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두 쇼핑 웹 사이트에 대한 브랜드 개성을 이해하고 브랜드 가치 발전을 위한 브랜드 관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본다.

Overcoming the Digital Divide in Rural Areas: Focusing on the Mobile Divide

  • Lee, Jongtae;Park, Myeong-Cheol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3권2호
    • /
    • pp.33-42
    • /
    • 2011
  • Although the diffusion of mobile services appears to be occurring much more rapidly than the spread of wired services, there are risks of a new type of digital divide: the mobile divide. The mobile divide, which refers to a specific digital divide that involves the unbalanced diffusion of mobile technologies, must be concretely studied.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mobile divide with respect to disadvantaged populations. Although var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diffusion of mobile devices may reduce the digital divide, somestudies argue against the positive effect of mobile devices in addressing traditional digital devices. Low and O'Connell (2006) insisted that equity of access to mobile technolog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of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they argued that there may be socio-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mobile devices and the mobile Internet that are similar to the socio-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stationary computers and the stationary use of the Internet. Focusing on the smartphone divide, this study suggests that emphasizing utilization is an appropriate manner in which to bridge the mobile divide rather than focusing on other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and capability, thatprevious studies have used to measure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