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estible Organic Matte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4초

유기질비료 시용과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능력 추정 (Estimation of Productivity and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of Whole Crop Wheat and Triticale by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and Legumes-Mixed Sowing)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17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월동 사료작물로 재배되는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에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단,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조사료 확보 및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hairy vetch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5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총체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처리구가 6.04~6.58톤/ha으로 무비구의 5.19톤/ha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수량은 forage pea(0.60톤/ha)와 hairy vetch 혼파구(0.56톤/ha)가 무비구(0.37톤/ha)와 유기질비료 시용구(0.43톤/ha)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평균 조단백질과 TDN 함량 및 RFV는 콩과작물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밀을 유기 한우 암소 450kg에 70% 급여 시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연간 약 ha 당 각각 3.4~3.5두로 유기질비료구(평균 2.9두) 및 무비구(평균 2.9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 트리트케일의 2년 평균 연간 건물수량도 시험구는 6.24~6.40톤/ha의 범위로 무비구의 5.12톤/ha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시험구(각각 0.48~0.56과 4.03~4.12톤/ha)가 무비구(0.38과 3.3톤/ha)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평균 조단백질 함량도 콩과작물 혼파구와 액상우분뇨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트리트케일로 유기한우 암소를 사육할 때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ha 당 연간 평균 3.3~3.4두를 사육할 수 있어 무처리구의 ha 당 평균 2.5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밀 혹은 트리트케일의 건물생산성은 유기질 비료보다는 액상우분뇨가 훨씬 효과적이고 액상우분뇨 50%시용과 함께 콩과 작물인 hairy vetch 혹은 forage pea 등을 혼파로 재배하는 것이 단파의 경우보다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어 유기 한우 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가축분뇨시용이 하계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Livestock Manure on Productivity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Summer Forage Crops)

  • 조익환;황보순;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1-434
    • /
    • 2008
  • 본 실험은 가축분뇨에 의한 유기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옥수수와 수수교잡종을 재배 시 가축분뇨의 종료와 시용수준을 달리하여 적절한 사료작물의 선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 수준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옥수수와 수수$\times$수수교잡종의 건물수량, 조단백질(CP) 수량 및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무비구가 ha 당 각각 8.4, 0.33 및 5.1 톤 그리고 8.6, 0.46 및 4.7 톤/ha으로 모든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낮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고(p<0.05),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가 ha 당 15.9, 0.77 및 10.6 톤 그리고 14.6, 0.78 및 8.0톤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옥수수의 경우, 발효우분과 액상 우분뇨를 $100{\sim}150%$ 시용한 구는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이 ha당 각각 $9.8{\sim}11.0$, $0.5{\sim}0.6$$7.0{\sim}7.4$톤 그리고 $10.2{\sim}12.3$, $0.53{\sim}0.67$$6.9{\sim}8.8$톤으로 무비구및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10.7, 0.44 및 6.8톤/ha) 보다 높았다. 수수 교잡종은 액상우분뇨 $100{\sim}150%$ 시용구가 ha 당 각각 $12.6{\sim}13.3$ $0.65{\sim}0.74$$6.8{\sim}7.1$톤으로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다음으로 발효우분 150% 시용수준에서 ha 당 각각 12.4, 0.66 및 6.5톤을 나타내었고 발효우분 100% 시용구(11.1, 0.62 및 5.8톤/ha)와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11.0, 0.54 및 5.3톤/ha) 순으로 낮아졌다(p>0.05). 유기 한우 암소 육성우 약 450kg을 일일 증체 400g 목표로 하여 옥수수를 유기 사료 자원으로 70% 급여할 시에 필요로 하는 조단백질과 TDN 함�c을 감안할 때,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는 ha 당 각각 연간 4.9와 8.4두(평균 6.7두)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다음으로 액상우분뇨 150% 시용구(평균 5.6두) > 발효우분 150% 시용구(평균 4.8두) > 액상우분뇨 100% 시용구(평균 4.4두) > 발효우분 100% 시용구(평균 4.3두) >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평균 4.1두) >무비구(평균 3.1두) 순으로 낮아졌다. 한편 수수교잡종의 경우에는 질소, 인산 및 칼리를 시용한 처리구가 ha 당 각각 연간 5.0과 6.3두(평균 5.7두)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았지만 액상우분뇨 $100{\sim}150%$ 시용구의 ha 당 각각 연간 평균 $4.8{\sim}5.2$두와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다음으로는 발효우분 150% 시용구(평균 4.7두) > 발효우분 100% 시용구(평균 4.3두)> 인산과 칼리를 시용한 구(평균 3.8두) > 무비구(평균 3.4두) 순으로 유기가축 사육능력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작물 재배토양에 인산과 칼리 등 화학비료 대신 가축분뇨의 시용은 사초의 건물 및 가소화양분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유기가축 사육능력도 증대하여, 가축분뇨재활용을 통한 유기조사료의 생산은 환경오염 감소와 자원순환형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 조익환;황보순;이성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9-432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인산칼리 시비구,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시용에 사료용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가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를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청보리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9.8%)와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 혼파구(8.6~9.7%)가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보리를 급여시 유기 한우 암소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l.7~1.8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액상우분뇨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당 각각 6.9~7.1, 0.5~0.6 및 4.3~4.4톤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시비구가 10.8%로 모든 처리구보다 높았다(p<0.05). 호밀을 급여한 유기한우 암소의 연간 ha당 사육두수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평균 1.9두를 사육할 수 있다. 단위당 생산수량 및 유기가축 사육능력측면에서 청보리 및 호밀에 대한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에 준하는 생산성적을 나타내었다. 가축분뇨 시용구내에서 청보리는 헤어리베치와 혼파 시에, 호밀은 사료용완두와 혼파 시에 더 많은 생산수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축분뇨 시용구내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조단백질수량과 가소화양분총량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유기가축사양 시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 되는 수입유기곡류를 대체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파종시기가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품종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utumn Seeding Date on the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Varieties)

  • 김성진;김인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9
    • /
    • 2007
  • 본 실험은 중부지방에서 헤어리 벳치 품종의 봄철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를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가을철 파종시가가 빠를수록, 봄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건물수량이 증가되었다. 건물수량은 조기예취에서 Ostsaat > Welta > Vv4712 > Penn-02 > Common > Minnie, 만기 예취에서는 Welta > Ostsaat > Penn-02 > Common > Vv4712 > Minnie의 순으로 많았다. 2. 단백질 수량은 가을철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봄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조기예취에서 조단백질 수량은 Ostsaat > Welta > Vv4712 > Common > Penn-02 > Minnie 순이었고, 만기예취에서는 Welta > Ostsaat > Common > Penn-02 > Vv4712 > Minnie 순으로 많았다. 3. TDA 수량은 조기예취에서 9월 10일 파종시기에서 1,894kg/ha로 가장 많았고, 만기예취에서는 9월 20일 파종시기에서 4,119kg/ha로 많았지만 다른 파종시기 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품종에서는 Ostsaat와 Welta의 수량이 많았다. 4. ADF 함량은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ADF 함량은 조기예취에서 Minnie가 32%로 가장 낮았고, Ostsaat가 34.1%로 가장 높았지만, 만기예취에서는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NDF 함량은 조기예취에서는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만기예취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인정되지 않았다. 품종에서는 Vv4712와 Ostsaat가 38.9%와 39.8%로 유의하게 높았다. 만기예취에서는 Ostsaat가 4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6. RFV는 조기예취와 만기예취에서 평균 157%와 132%로 모든 품종이 높은 사료가치를 나타냈다.nce, self-transcendence 점수를 보였다. 결론: 계절성과 성격 및 기질적인 부분이 서로 연관성을 보였다. 이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로서 여기에서 보인 결과들은 임상적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지털 이미지에 이르게 되었는지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자동생성주의로서 색인 이미지, 디지털 코드로서 수치 이미지의 생성, 기원, 본질 그리고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고는 논지의 정당성을 위해 다양한 매체미학자들의 주의주장 및 이론적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 분석틀을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의 근간인 기계, 기술성을 바탕으로 한 사진의 생성적 측면과 문화 안에서 변형된 프로그램에 의해 창조되는 디지털 이미지의 변형적 측면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렇게 사진과 디지털 이미지의 양자의 비교를 통해서 테크놀로지 미학 안에서 올드 미디어(사진)와 뉴 미디어(디지털 이미지)의 자리바꿈은 정당한 것이라는 사실과, 이런 역설적인 구조야말로 기계, 기술을 바탕으로 삼는 테크놀로지 매체의 숙명성이라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논문의 정당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고는 하나의 얼굴,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역사로서 확증하고, 또 사진에서 부동의 존재론과 인식론의 모습은 애초부터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지적함으로써 오늘날 제기되고 있는 '사진의 죽음,' '사진의 종말'은 쟁점의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매체미학의 역사를 간과하는 오도된 비평이라는 사실을 결론으로 도출하고자 한다.적인 상호교착(chiasme)의 논리를 잘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현대 미술의 흐름에서 시지각과 신체의 상호작용, 혹은 신체성의 개입에 대한 변화를 확언하기 위하여 지각과 신체의 위치를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후기미니멀리즘, 그 이후의 미술이라는 사적인 흐름의 큰 틀 속에서 살펴보았으며,

  • PDF

Sugarcane bagasse as exclusive roughage for dairy cows in smallholder livestock system

  • de Almeida, Gleidiana Amelia Pontes;Ferreira, Marcelo de Andrade;Silva, Janaina de Lima;Chagas, Juana Catarina Cariri;Veras, Antonia Sherlanea Chaves;de Barros, Leonardo Jose Assis;de Almeida, Gledson Luiz Ponte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379-385
    • /
    • 2018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evaluate sugarcane bagasse as roughage in lactating cow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ingestive behavior, milk production and composition,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Methods: Ten Girolando cows at initial body weight of $450{\pm}25.6kg$ and at $143.7{\pm}30.7days$ in milk were assigned in two $5{\times}5$ Latin square designs. Five 21-day experimental periods were adopted ($1^{\circ}$ to 14-day: diets adaptation period; $15^{\circ}$ to 21-day: data collection and sampling period). The diets consisted of four different levels of sugarcane bagasse (45%, 50%, 55%, and 60%) and a control diet, commonly adopted in the region, based on spineless cactus (25% sugarcane bagasse), formulated to meet 12 kg/d milk yield. Results: The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takes and DM and OM digestibilities observed for 45% and 50% bagasse inclusion were similar to control diet, while that 55% and 60% bagasse inclusion were lower. Cows fed control diet, and bagasse diets of 45%, and 50% levels had the nutritional requirements attended, that guaranteed 12 kg/d of milk yield. The crude protein intake and digestibility of cows fed 45%, 50%, and 55% of bagasse inclusion were similar to control diet.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take and digestibility differ for all bagasse diets related to control diet, while the non-fiber carbohydrates intake and digestibility for cows fed 45% of bagasse were similar for control diet. The intakes and digestibilities of nutrients decreased linearly in function of bagasse inclusion; NDF and indigestible NDF intakes did not vary. The ruminating time, feeding and rumination efficiency, microbial protein synthesis and milk yield decreased linearly with sugarcane bagasse inclusion. Conclusion: Sugarcane bagasse decreases milk production; however, its inclusion level in between 45% to 50% associated to concentrate could replace diets based on spineless cactus for crossbred dairy cow's producing 12 kg/d of milk.

경운방법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초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System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Silage Corn)

  • 김종덕;권찬호;구양회;신명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7-314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옥수수의 경운방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옥수수의 경운방법을 달리 하였을 때 토양특성, 잡초 및 사초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본 시험의 시험구 배치는 4개의 경운방법을 달리한 난괴법 배치로 T1 처리구는 관행적인 방법으로 경운과 로타리를 한 처리구이며, T2는 로타리, T3는 디스크, T4는 무경운으로 하였다. 옥수수 파종전과 수확 후 토양의 특성에서는 pH 및 토양유기물은 파종전보다 수확시에 감소하였으나 다른 것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경운방법의 비교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옥수수의 출사소요일수는 무경운이 가장 많이 소요되었다. 내도복성은 옥수수의 대지름이 굵은 디스크와 무경운이 관행과 디스크보다 높았다. 옥수수의 주요 잡초는 피 (Echinochloa crusgall), 어저귀 (Abutilon avicennae)), 바랭이 (Digitatia saguinalis) 및 비름 (Amaranthus retroflexus) 등이었으며, 경운방법간 비교에서는 무경운이 다른 처리구보다 잡초수량이 적었다. 옥수수의 건물률 및 암이삭 비율은 관행과 로타리구가 디스크와 무경운보다 높았다. 그러나 건물 및 TDN 수량은 디스크와 무경운이 관행과 로타리구보다 많았다. 따라서 미세경운인 디스크와 무경운은 내도복성과 수량을 증가키시고 잡초수량을 감소시키는 경운방법으로 적합하였다.

Preference Test on Feed and Nutrient Intakes in Male and Female Lesser Mouse Deer (Tragulus Javanicus) in Captivity

  • Darlis, N. Abdullah;Liang, J.B.;Jalaludin, S.;Ho, Y.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8호
    • /
    • pp.1292-1297
    • /
    • 1999
  • A preference test on feed and nutrient intakes were conducted on four male ($1.25{\pm}0.08kg$) and four female ($1.21{\pm}0.15kg$) lesser mouse deer (Tragulus javanicus) in captivity. Each animal was kept in individual cages placed in a well-ventilated animal hou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weeks, where the first week was for adaptation to the feeds and the second week for measurements of nutrient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The feeds offered were kangkong (Ipomoea aquatica), long bean (Vigna sinensis) and french bean (Phaseolus vulgaris) as roughages and proteinaceous feeds;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and carrot (Daucus carota) as carbohydrate-rich feeds; and commercial rabbit pellet (0.3 cm diameter and 0.5 cm long) as a complete feed. The dry matter (DM) content of each feed in the order mentioned above was 7.1, 6.1, 3.9, 18.5, 6.2 and 87.6%, respectively. Long bean had the highest protein (CP) content (29.7%), while sweet potato had the lowest (6.2%). The CP contents of other feeds were within the range of 14.2 - 25.1%. Among the feeds, carrot had the lowest energy content (3.83 kcal/g) and long bean the highest (4.67 kcal/g). When fresh weight of the feed was considered, the male mouse deer consumed sweet potato the most ($86.3{\pm}12.90g/d$), but the female had a high preference for carrot ($79.2{\pm}9.76g/d$). The other feeds were consumed in lesser amounts. However, in terms of DM of the feed, the amount of commercial pellet consumed was the highest for both male ($45.0{\pm}5.10%$) and female ($44.7{\pm}7.38%$) mouse deer, followed by sweet potato ($33.1{\pm}4.43%$ and $22.4{\pm}7.73%$ for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DM, organic matter (OM) and gross energy (GE) intakes wer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mouse deer. The male consumed higher amount of DM, OM and GE than the female. The total DM intake was $40.7{\pm}2.24g/d/kg$ $W^{0.75}$ for male and $35.9{\pm}1.72g/d/kg$ $W^{0.75}$ for female mouse deer. Percentage digestibilities of DM, OM, CP and GE were within 72.7~80.8%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mouse deer. However, male mouse deer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digestible DM, OM and GE intakes than the female. Both male and female mouse deer were in positive nitrogen balance (0.6 g N/d/kg $W^{0.75}$). The male mouse deer gained $7.6{\pm}3.45g/d$, while the female gained $4.3{\pm}2.40g/d$.

Effects of Levels of Feed Intake and Inclusion of Corn on Rumen Environment, Nutrient Digestibility, Methane Emission and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by Goats Fed Alfalfa Pellets

  • Islam, M.;Abe, H.;Terada, F.;Iwasaki, K.;Tano,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948-956
    • /
    • 2000
  • The effect of high and low level of feed intakes on nutrient digestibility, nutrient losses through methane,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by goats fed on alfalfa (Medicago sativa L.) pellets based diet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welve castrated Japanese goats were employed in two subsequent digestion and metabolism trials. The go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fered three diets. Diet 1 consisted of 100% alfalfa pellet, Diet 2 was 70% alfalfa pellet and 30% corn, and Diet 3 was 40% alfalfa pellet and 60% corn. The two intake levels were high (1.6 times) and low (0.9 times) the maintenance requirem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ON). Rumen ammonia nitrogen ($NH_3$-N) level of Diet 1 was lower (p<0.001) compared to Diets 2 and 3, but the values were always above the critical level (I50 mg/liter), The pH values of rumen liquor ranged from 6.02 to 7.30. Apparent digestibility of nutrient components did not show differences (p>0.05) between the two intake levels but inclusion of corn significantly altered the nutrient digestibility. Diet 3 had highest (p<0.001)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ether extract (EE) and nitrogen fee extract (NFE) digestibility followed by the Diet 2 and Diet 1. The crude protein (CP) digestibility values among the three diets were in a narrow range (70.1 to 70.8%). Crude fiber (CF) digestibility for Diet 3 was slight higher (p>0.05) than that for other two diets. When alfalfa was replaced by corn,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p<0.001) increases in DM, OM, EE and NFE apparent digestibility and a slight increase in the CF digestibility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energy losses as methane ($CH_4$) and heat production among the diets but energy loss through urine was higher for the Diet 1. The total energy loss as $CH_4$ and heat production were higher for the high intake level but the energy loss as $CH_4$ per gram DM intake were same (0.305 kcal/g) between the high and low intake level. Retained energy (RE) was higher for Diet 3 and Diet 2. Nitrogen (N) losses through feces and urine were higher (p<0.001) for Diet 1. Consequently, N retention was lower (p>0.05) for Diet 1 and higher in Diets 3 and 2. It is concluded that inclusion of corn with alfalfa increased the metabolizable energy (ME) and RE, and retained N through reducing the energy and N losses. The high level of intake reduced the rate of nutrient losses through feces and urine.

Study on Supplementing Effects or Feeding Systems of Molasses and Urea on Methane and Microbial Nitrogen Production in the Rumen and Growth Performances of Bulls Fed a Straw Diet

  • Huque, K.S.;Chowdhury, 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35-46
    • /
    • 1997
  • An experiment with growing bull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a straw (S) with 15% molasses and 3% urea as an intimate mix (UMS) on its dry matter (DM) intake and digestibility (DMD) and reduction of methane ($CH_4$) production from fermentation in vitro of the straw. In the next experiment, the feeding of the UMS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feeding of molasses and urea in meals (DS) or in lick blocks (DSUMB) as supplements to straw. The UMS feeding increased daily intake of straw DM ($89.5 g{\cdot}kgW^{-0.75}$, p < 0.01) and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333 g, p < 0.001) and nitrogen (N) balances ($508mg{\cdot}kgW^{-0.75}{\cdot}d^{-1}$, p < 0.01) of the bulls than the feeding of 'S' ($65g{\cdot}kgW^{-0.75}$, 55 g and $8.0mg{\cdot}kgW^{-0.75}{\cdot}d^{-1}$, respectively). It also increased the digestibility of DM ($594g{\cdot}kg^{-1}$, p < 0.05), organic matter (OM, $641g{\cdot}kg^{-1}$, p < 0.05), CP ($619g{\cdot}kg^{-1}$, p < 0.001) and acid detergent fibre (ADF, 773, p < 0.05). The $CH_4$ emitted per g of DOM apparently fermented in the rumen (DOMR) was 91.0 ml in the 'S' and reduced (p < 0.05) to 61.6 ml in the UMS. The feeding of the UMS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DS or DSUMB also gave a higher straw intake (1.77% of live weight, LW, p <0.01) and ADF digestibility ($516g{\cdot}kg^{-1}$, p < 0.05) than the other diets (1.52% or 1.55% LW and 472 or $490g{\cdot}kg^{-1}$, respectively) in association with the increased microbial N yield in the rumen (14.1, 5.62 or $17.0g{\cdot}kg^{-1}$ DOMR, respectively, p < 0.05), daily LW gains (233, 125 or 93 g, respectively, p < 0.05) and feed conversion ratios of the diets (26.0, 56.1, or 57.6 g feed/g LW gain, p > 0.05, respectively). It can be concluded that molasses and urea feeding as an intimate mix with straw (UMS) increased its digestion and intake in association with a reduced methane emissions in the rumen.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ir feeding in meals or in lick blocks as supplements to straw the UMS gave the highest straw in take and digestion and live weight gains of growing bulls concurring the finding that the UMS system may be the best way of molasses and urea feeding to ruminants fed straws.

Levels of Supplementation for Grazing Beef Heifers

  • Cabral, Carla Heloisa Avelino;Paulino, Mario Fonseca;Detmann, Edenio;de Campos Valadares Filho, Sebastiao;de Barros, Livia Vieira;Valente, Eriton Egidio Lisboa;de Oliveira Bauer, Maristela;Cabral, Carlos Eduardo Avelin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6호
    • /
    • pp.806-81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viding different levels of a supplement on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e performance of heifers on pasture during the rainy-dry transition and dry season in Brazil or tropical area. Thirty crossbred heifers with predominance of Zebu breed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experimental design. Treatments consisted of a mineral supplement and 0.5, 1.0, 1.5, or 2.0 kg/animal/d of a protein supplement containing 300 g crude protein (CP)/kg of dry matter (DM). In the rainy-dry transition season there was quadratic effect of the protein supplementation (p<0.10) on daily weight gain (DWG). A linear relationship (p<0.10) was found between increasing supplement intake and intakes of DM,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ether extract (EE), non fibrous carbohydrates (NFC)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efficients of apparent digestibility of CP, EE, and NFC increased linearly (p<0.10) with increasing supplement levels, but there was no effect on the DM apparent digestibility (p>0.10); the microbial efficiency (g CPmic/kg TDN) and the relationship of microbial nitrogen flow with nitrogen intake (g/g nitrogen intake) were negative linear profiles. In the dry season, the descriptive pattern least squares means showed a trend of stabilization of DWG from the supply of 0.98 kg of protein supplement; the intakes of DM, OM, CP, EE, NFC, and TDN showed increasing linear relationship (p<0.10) with protein supplement levels; the means of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s of the different dietary fractions presented a linear-response-plateau (LRP); the microbial nitrogen flow (g/d) showed positive linear profile (p<0.10) for supplementation levels.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improves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grazing heifers and that 1.0 kg/d of supplement per animal gives the maximum increment of weight 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