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 Growing Stages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DNA repair gene,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MPG) in Balb/c mice without external damage

  • Kim, Nam-Keun;Lee, Sook-Hwan;Ko, Jung-Jae;Roy, Rabindra;Lee, Hey-Kyung;Kwak, In-Pyung;Cha, Kwang-Yul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2권1호
    • /
    • pp.31-34
    • /
    • 1998
  • The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MPG), a ubiquitous DNA repair enzyme, removes N-methylpurine and other damaged purines induced in DNA. Tissue-specific mRNA levels of the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MPG) were investigated in Balb/c mice of four different growing stages; newborn, 1, 4 and 8-weeks postpartum. MPG expressions in the newborn and the 8-week-old mice were the highest in thymus and testis, respectively. The tested tissues of the newborn mice had consistently higher MPG mRNA level than 8-week-old adults except in testis and thymus. The MPG mRNA level in testis was the lowest in the newborn mice, but it attained the highest in the 8-week-old mice. The levels of MPG mRNA among the different tissues in the newborn and the 8-week-old mice were more than 9.0 and 19.0-fold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f MPG expression was dependent on the growing stage and had tissue-specificity.

  • PDF

발달단계가 다른 참외 태좌부의 알콜발효에 미치는 무산소처리효과 (Effect of Anoxia Treatment on the Placental Alcohol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 (Cucumis meio)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

  • 서동환;최홍집;최성국;정진;황영수;김동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72-576
    • /
    • 1997
  • 발달단계가 다른 참외 태좌부의 알콜발효에 미치는 무산소처리효과를 검정하였다. 참외의 발달단계별 a-cetaldehyde 및 ethanol 수준을 검정한 결과, 비대 후기 (stage 3)의 과실에서 가장 낮았다. 무산소 처리기간동안 태좌부 중의 ethanol은 꾸준히 증가 하였으며, acetaldehyde 함량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그러나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은 무산소 처리 1일 까지 급격히 증가한 다음 서서히 감소하였고, pyruvate decarboxylase 활성은 저온 처리기간 중 증가하였다. 완숙기과실의 경우 두 효소의 활성은 증가하지 않았으나, 발효산물의 축적은 관찰되어, 완숙기 과실의 알콜발효는 효소활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 PDF

벼 관수에 따른 생육단계별 피해 및 고위절 분얼 이삭에 의한 수량보상력 (Flooding Injury of Rice Plant according to Growing Stages and Yield Compensating Ability by Uppernode Tillering)

  • 강양순;양의석;이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5-200
    • /
    • 1988
  • 벼를 보통기에 동일하게 이앙하여 추앙후 20일, 유전형성기, 감수분열기 및 출수기의 생육시기별로 포장상태에서 3일간씩 관수처리한 경우와 품종, 이앙기 및 재배조건이 다양한 농가포장에서 태풍 'Thelma 호'('87년 7월 16~18일)에 의해 3일간 관수된 경우에 생육단계별 피해상태와 피해주의 고립분얼이삭의 발생에 의한 수량 보상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이앙된 벼의 생육시기별 관수처리에서는 생육이 진전될수록 관수된 수온이 높아져 피해가 컸으나 고온기에 여러 생육단계를 갖는 농가포장이 일시에 관수되면 어린 생육단계일수록 피해가 컸다. 2. 생식생장 관수 피해수의 수량보상은 고립절분얼이삭에 의존하였고 고립절분얼이삭이 9월 15일 출수되어 등숙적산온도가 69$0^{\circ}C$, 등숙일조시간이 210시간이 확보되었을 때 쌀 230kg/10a을 보상하였다.0a을 보상하였다.

  • PDF

Morphological Assessment of Ovulated and In Vitro Immature Canine Oocytes and Biological Availability according to the Size at Different Reproductive Stages

  • Hossein Mohammad-Shamim;Kim Min-Kyu;Jang Goo;Fibrianto Yuda-Heru;Oh Huyn-Joo;Kim Hye-Jin;Kim Joung-Joo;Kang Sung-Keun;Lee Byeong-Chu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99-105
    • /
    • 2006
  • The growing oocytes become progressively capable of resuming meiosis, and full meiotic competence appear when they are about 80% of the size of fully grown oocytes. As hormonal influences vary at different stages of reproductive cycle, the size of oocytes may vary according to the reproductive stag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ameter between the ovulated and freshly collected immature canine oocytes. The ovulated oocytes were collected 72 hr after ovulation by oviductal tube flushing by laparo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Immature oocytes were collected by ovarian slicing method. Diameter of all oocytes was measured directly using epiflurescence microscope with a calibrated micro-eyepiece micrometer at ${\times}200$ magnification. The thickness of zona pellucida and diameter of cytoplasm were measured separately and recorded. A total of 2209 zona intact oocytes were collected, among them 628 from anestrus, 675 from follicular, 838 from luteal and 68 by fallopian tubes flushing methods. The average number of oocytes was 104.7, 168.8, 119.7 and 11.3 for anestrus, follicular, luteal and fallopian tubes flushing methods, respectively. The average diameters of the ooplasm and oocyte were significantly varied in different reproductive stages as well as with ovulated oocytes (P<0.05). The average diameter of ooplasm and oocyte was 115.6 and 127.7, 143.0 and 162.0, 134.6 and 150.6, 159.6 and 185.6 for anestrus, follicular, luteal and ovulated oocytes, respectively. Highest number of oocytes with larger diameter could be collected from the follicular and luteal stages. In conclusion, the follicular and luteal ovaries are the best sources of oocytes for canine IVM.

4년생 인삼의 수확시기에 따른 ginsenoside 및 일반 화학성분의 변화 (Ginsenoside Concentration and Chemical Component as Affected by Harvestin Time of Four-Year Ginseng Root)

  • 안영남;이선영;정명근;최강주;강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16-220
    • /
    • 2002
  • 4년생 인삼의 저장근에 함유된 일반 화학성분, 유리당 및 사포닌 성분을 수확 시기별로 조사하고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하여 4년생 인삼의 최적 수확기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년생 인삼의 전 생육기간 중 조단백 함량은 지상부 출현기인 4월이 20.77%로 가장 높았고, 지상부 전개가 완료된 6월이 13.13%로 가장 낮았으며, 8월 이후에는 17% 수준으로 함량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2. 조지방 및 조섬유 함량은 조단백과 반대의 양상으로 개화기인 5월에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3. 총당은 전 생육기간 중 60-71%의 함량범위로 존재하여 전체성분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지상부 생육이 완료된 6월이 71% 수준으로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인 5월이 60%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4. 인삼 저장근의 유리당 함량은 지상부 출현기인 4월에 20.40%로 최대치를 보였으나, 개화기인 5월에는 11.89%로 전생육시기 중 최소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5. 유리당 중 가장 함량이 높은 sucrose의 변화(10.96-19.60%) 양상은 전 수확기간 중 총 유리당의 변화(11.89-20.40%) 경향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fructose의 함량 변화와는 서로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줬다. 한편 유리당 중 glucose와 maltose의 함량은 전 수확기간 중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조사포닌과 총 ginsenosides함량은 개화기인 5월에 각각 7.60% 및 4.09%로 기타 수확시기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그 외의 시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4년생 인삼에서 성분적 특성만을 고려할 경우 개화기인 5월이 가장 유리하였다 그러나 개체당 함량은 10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Morphology of Arbuscular Mycorrhizal Roots and Effects of Root Age and Soil Texture on the Mycorrhizal Infection in Panax ginseng C.A. Meyer

  • Lee, Kyung-Joon;Park, Hoon;Lee, In-S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49-156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orphology of mycorrhizal roots, and the effects of root age and soil texture on the mycorrhizal infection i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growing in Korea. Ginseng roots at ages of two to six years were collected from fields in late June. Their infection by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was studied by clearing the roots and staining fungal hyphae with trypan blue. Root infection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young roots. Young tertiary roots, in diameter of smaller than 0.8 mrn, formed during the current growing season had root hairs and were frequently and in some cases heavily infected by AMF. Hyphal coils and arbuscules were abundant, while vesicles were rarely observed. Older secondary or tertiary roots in diameter of bigger than 1.0 mm with fully differentiated primary xylem formed during the previous growing season had no root hairs, and were not infected at all. The rates of mycorrhizal infection in the young tertiary roots were not affected by the age of the ginseng plants, suggesting that fungal populations might have not much changed during the aging of the cultivated fields up to six years. The differences in the infection rates among the different ages of ginseng were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young tertiary roots in the samples. Soil texture, either sandy loam or clay loam, did not affect the rate of root infection. There were large variations in the infection rates among the different farms and locations within a farm. It strongly suggested that infection rates of the ginseng roots by AMF would be influenced by the practice of the farmers, possibly by avoiding consecutive planting, introduction of new topsoil, and the ways of handling the soil before transplanting the ginseng, such as fumigation or sterilization that might have affected indigenous inoculum sources of the AMF.

한우 거세우의 성장단계별 CP 급여수준이 단백질 체내 이용성 및 N 배설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P Intake on Protein Utilization and N Excretion in Varying Growth Stages of Hanwoo Steers)

  • 오영균;남인식;최창원;백경훈;김정훈;김도형;설용주;김경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69-378
    • /
    • 2007
  • 평균 체중이 각각 167kg(실험 1), 355kg(실험 2) 그리고 449kg(실험 3)인 한우 거세우 12두씩을 공시하여 성장단계별로 건물섭취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CP 섭취량 증가가 단백질 균형 및 N 배설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 시험의 공시축은 CP 수준이 평균 9%. 14%, 18% DM가 되도록 ground corn grain을 corn gluten meal 일정 비율 대체 혼합한 배합사료를 섭취하였다. 사료 CP 섭취량 증가로 CP 소화율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나, 건물소화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사료 CP 섭취량 증가는 분 N 배설량 증가보다는 주로 뇨 N 배설량을 증가(P<0.05)시켰다. 유지수준 이상에서 섭취된 CP의 체축적 효율은 육성기에 약 70%, 비육기에는 46~39%로 공시축의 성장과 체중증가에 따라서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분뇨를 통한 N 배설량은 육성기에는 섭취 CP의 60%, 비육기에는 70%로 가축의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낭콩 발아중 유묘 부위별 당함량의 변화 (Variation of Sugar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Seedling during Germination in Phaseolus vulgaris)

  • 김종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82-488
    • /
    • 1996
  • 비배유종자인 두류는 발아시 자엽내 전분 energy원이 어떻게 분해 전이되어 배아부로 공급되는가를 구명하고자 자엽에 당질이 많고 종자수명이 긴 강남콩을 공시하여 발아과정중 경시적으로 유식물체를 부위별로 절취하여 건물중과 당류의 경시적 소장 및 이동을 HPLC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강남콩 종자에서 자엽 부위의 수분 함율은 6.4 ∼6.5%이나 발아 기간중 ( 1∼8일) 흡수율은 45.8∼71.2%로 증가되며 자엽 하반부가 후엽 상반부보다 1.1∼3.8% 높았다. 자엽을 제외한 근부(유아 + 유근 + 유축부)의 조직 기관에서는 더욱 많은 72.2∼93.3%로 자엽조직보다 현저한 함수율을 보였다. 2. 발아중 강남콩 종자의 주요 당류는 raffinose, sucrose, glucose, fructose이며 경시적 당류 소장이 부위별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종자가 파종 흡수되면 각 기관 조직에 raffinose가 급증하나 발아가 완료되면 유아부에서는 소진되고 자엽 하반부에서는 다소 잔존함을 알 수 있었다. 4. Sucrose는 발아초 신생 유아부와 종자의 자엽에 많이 생성되나 발아 후 유아부에서는 급감되고 자엽 조직에서는 계속 생성되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5. Glucose와 fructose는 종자의 자엽부에서는 발아 기간중 5∼l0%와 5∼l5% 범위의 적은 변화였으나 유아 및 생장부위에서는 발아 초기부터 후기까지 현저히 계속 증가됨을 인정할 수 있었다.

  • PDF

반촉성 관비재배 오이의 생육단계별 시비관리를 위한 일일시비량 및 엽병즙액의 농도 기준 설정 (Determination of Daily Amount of N and K Required in Various Growth Stages and Establishment of Diagnostic Criteria Using Petiole Sap Analysis in the Semi-Forcing Culture of Cucumber)

  • 김기덕;이재욱;조일환;김태영;우영희;남은영;문보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6-101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aily application rate and amount of N and K with fertigation during different growth stages in semi-forcing culture of cucumber plants (Cucumis sativus L. cv. Eunseongbaekdadagi). The diagnostic criteria for N and K also investigated based on petiole sap analysis. The dry weight increased slowly until 3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highest dry weights were observed at 60 days after planting, then it decreased. As the plant grew, the contents of N and K in the petiole sap and fruit of cucumber decreased. The daily uptake of N and K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growing days. The $NO_3$ concentrations in petiole sap were in the range from 3,500 to 4,500 mgㆍ$L^{-1}$ in the early growth stage, but those were in the range from 2,000 to 3,000 mgㆍ$L^{-1}$ after then. However, K concentration in petiole sap were in the rang from 5,000 to 7,000 mgㆍ$L^{-1}$ The fluctuation in petiole sap concentration of K was severe in the monthly fertigation and moderate in the daily fertigation. The fertigation by petiole sap diagnosis forced EC of soil to be low and yiel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생육단계별 포도 잎의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능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rapevine Leaves at Growth Stages)

  • 김정현;최수경;유영산;윤광서;서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72-7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포도 잎의 품종별, 재배시기별 생리활성 효과를 분석하여 포도 잎의 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포도 잎은 캠벨얼리와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으로 생육단계별로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로 분류하여 포도 잎의 생리활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생육단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섬유소의 함량은 시기가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캠벨얼리와 로자리오비앙코 품종 모두에서 전엽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전엽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가 지남에 따라 점차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포도 잎의 전자공여능은 개화기까지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총 항산화능은 성숙기를 제외하고는 생육단계별로 캠벨얼리 품종이 로자리오비앙코 품종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특히 개화기 이전의 포도 잎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며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포도 잎은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산업화하는데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