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l chang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7초

볏짚을 시용(施用)한 논토양(土壤)에서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기온(氣溫)이 메탄배출(排出)의 일중변화(日中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Soil and Air Temperature on the Diel Change of Methane Emission in a Korean Paddy Soil incorporated with Rice Straw)

  • 신용광;이병열;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6-269
    • /
    • 1995
  • 볏짚을 사용한 구(볏짚 5톤+NPK:110-70-80kg/ha)와 볏짚을 사용하지 아니한 구(NPK : 110-70-80kg/ha)에서 벼의 출수기에 2시간 간격으로 메탄 배출량을 24시간 측정하고 지온(地溫)과 기온(氣溫)의 변화(變化)에 따른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고찰하였다. 1. 볏짚을 사용하지 아니한 삼요소구(三要素區)에서는 메탄배출은 지온(地溫)의 변화와 상응하게 변화하나 기온 상승이 급격한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메탄배출량이 기온상승에 부응하는 증가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볏짚을 시용한 삼요소구(三要素區)에서는 메탄 배출의 일 변화 양상이 지온의 변화와는 상관이 적고 기온이 상승하는 오전 11시~오후 5시에 매탄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온의 변화와 상관이 깊어 보였다. 3. 메탄 배출에는 지온(地溫) 외에도 기온(氣溫)과 메탄생성의 기질(基質)이 되는 유기물(有機物)의 존재(存在)가 중요함이 인정되었다.

  • PDF

Ontogenetic behavior of farm-bred Russian sturgeon (Acipenser gueldenstaedtii) prelarvae in a diel photoperiodic cycle: behavioral modifications in response to light intensity

  • Kim, Eun Jeong;Park, Chulhong;Nam, Yoon Kw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4.1-4.10
    • /
    • 2019
  • Russian sturgeon (Acipenser gueldenstaedtii) is commercially important in Korea because its caviar is highly prized. Although the early ontogeny of the species has been described, behavioral modifications in response to various light intensities or diel photoperiodicity patterns have not been studied extensivel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atchery-produced A. gueldenstaedtii prelarvae over a diel photoperiodic cycle. During a diel light cycle comprising 16 h of daylight (450 lx), 4 h of dim light (10 lx), and 4 h of darkness (< 1 lx), newly hatched A. gueldenstaedtii prelarvae exhibited negative phototaxis in daylight (day 0-day 2), and this early behavior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changes of light intensities. Rheotactic and non-rheotactic aggregation into schools was typical between days 3 and 6. Under the diel light cycle conditions described, rheotaxis was no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light intensity as much as non-rheotactic schooling behavior. Post-schooling behavior, which progressed from day 7 to day 8,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the diel light cycle. The data from the present study could be of practical value in developing a visual guide for assessing the fitness and quality of Russian sturgeon prelarvae under diel light cycle conditions in hatcheries.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 나타나는 요각류 Acartia omorii 분포에 미치는 주야$\cdot$조석$\cdot$계절효과 (Diel, Tidal and Seasonal Effects on the Distribution of Acartia omorii (Copepoda: Calanoida) in a Sandy-shore Surf Zone of Dolsan Island)

  • 박은옥;서해립;서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4-599
    • /
    • 2001
  •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서 셀매네트를 사용하여 1 m 수심의 표층, 저층 그리고 바닷가에서 주야, 조석 계절에 따른 요각류 Acartia omorii이 출현량을 조사하였다. A. omorii의 출현량은 표층과 바닷가에 비해 저층에서 많았으며, 계절별로는 겨울철에 가장 많았다. 또 연구기간 동안 A. omorii의 출현량은 항상 밀물일 때보다 썰물일 때 많이 나타났다. A. omorii의 분포양상은 주야보다 조석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 때는 강한 조류가 주야수직양상에 영향을 나타냈다. 겨울철에는 주야보다 조석주기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에 A. omorii는 소조 때 주야수직이동을 하였고, 반면에 대조 때에는 역 주야수직이동을 했다. 소조 때 분포중심은 평균해수면 아래 $50\~100cm$층에 위치했으며, 대조 때는 약간 위쪽으로 분포중심 이 이동했다.

  • PDF

In Situ Measurement of Diel Periodicity in Urea Decomposition in a Reed Zone of Lake Biwa, Japan

  • Tachibana, Junji;Kondo, Kunio;Seike, Yasushi;Osamu, Mitamura
    • 생태와환경
    • /
    • 제38권spc호
    • /
    • pp.31-38
    • /
    • 2005
  • Diel change in urea decomposition activity of epiphytic algae on Phragmites stems and phytoplankton in a shallow littoral reed zone in the south basin of Lake Biwa was investigated with an in situ technique using $^{14}C$-labelled urea. The daily rates of urea decomposition (sum of urea carbon incorporation rate and $CO_2$ liberation rate) by epiphytic and planktonic algae were calculated as 180 ${\mu}$ mole urea surface shoot area $m^{-2}\;day^{-1}$ and 210 ${\mu}$ mole urea $m^{-3}\;day^{-1}$. The chlorophyll a specific urea decomposition rates of epiphytic and planktonic algae were 4.7 to 6.4 and 4.4 to 6.2 ${\mu}$ mole urea mg chl. $a^{-1}$ incubation $time^{-1}$ in daytime and 4.2 to 5.7 and 2.4 to 3.5 ${\mu}$ mole urea mg chl. $a^{-1}\;time^{-1}$ in nighttime, respectively. High values were obtained during 12:00 ${\sim}$ 18:00 and low values during 00:00 ${\sim}$ 06:00 for both epiphytic and planktonic algal communities. A clear diel periodicity in the urea decomposing activity of the planktonic algae was observed. The activity of the epiphytic algae, on the other hand, showed no destinctive variation during a day.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epiphytic algae are one of the significant urea decomposers in a reed zone, and that the diel patterns are quite difference between both algal communities.

Suwa호 방류수내 남조류 독소(microcystin)의 일변화 (Diel Changes of Cyanobacterial Toxins in Outflow Water of Lake Suwa)

  • 김범철;박호동;;황순진;김호섭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175-184
    • /
    • 2001
  • 방류수내 남조류 세포의 밀포와 종조성 및 독소의 계절별, 일일 변화를 일본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Suwa호의 수문에서 1998년 5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였다. Microcystis의 높은 세포밀도가 M. ichthyoblabe가 우점했던 7월과 M. viridis가 우점종으로 나타난 9월에 관찰되었다. Microcystis의 종조성과 총 세포밀도는 3종류의 microcystin의 정성${\cdot}$정량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M. ichthyoblabe가 우점했던 7월 동안에는 MC-RR과MC-LR만이 검출되었으나 M. aeruginosa의 개체수 증가와 함께 M. viridis가 우점종으로 나타난 8월부터 10월까지는 MC-YR을 포함한 3종류의 microcystin 모두 검출되었다. 방류수내 Microcystis의 세포밀포와 microcystin의 함량의 일 변화는 바람의 일 변화에 큰 영향을 받았다. 아침에 비해 오후에 바람이 강하게 부는 풍속주기의 조건에서 Microcystis의 세포밀도와 독소의 함량은 아침에 증가하고 오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수문이나 취수탑에서 방류시기의 조절은 부영양 호수에서 물을 취수하여 이용함에 있어 원수내 조류의 생물량을 저감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임을 제시한다.

  • PDF

스노우팩-융설 계산을 위한 에너지수지 알고리즘 (An Energy Budget Algorithm for a Snowpack-Snowmelt Calculation)

  • 이정훈;고경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82-89
    • /
    • 2011
  • Understanding snowmelt movement to the watershed is crucial for both climate change and hydrological studies because the snowmelt is a significant component of groundwater and surface runoff in temperature area. In this work, a new energy balance budget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for melting snow from a snowpack at the Central Sierra Snow Laboratory (CSSL) in California, US. Using two sets of experiments, artificial rain-on-snow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f diel variations, carried out in the winter of 2002 and 2003, we investigate how to calculate the amount of snowmelt from the snowpack using radiation energy and air temperature. To address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we calculate the integrated daily solar radiation energy input, and the integrated discharge of snowmelt under the snowpack and the energy required to generate such an amount of meltw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e excess (or deficit) energy input and we compare this energy to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The resulting empirical relationship is used to calculate the instantaneous snowmelt rate in the model used by Lee et al. (2008a; 2010), in addition to the net-short radiation. If for a given 10 minute interval, the energy obtained by the melt calculation is negative, then no melt is generated. The input energy from the sun is considered to be us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nowpack. Positive energy is used for melting snow for the 10-minute interval. Using this energy budget algorithm, we optimize the intrinsic permeability of the snowpack for the two sets of experiments using one-dimensional water percolation model, which are $52.5{\times}10^{-10}m^2$ and $75{\times}10^{-10}m^2$ for the artificial rain-on-snow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f diel variation, respectively.

여름철 동해 남부에 출현하는 청어(Clupea pallasii) 유어의 일섭식 변동 (Diel Feeding Activity in Summer of Juvenil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7-271
    • /
    • 2017
  • 본 연구는 여름철 동해 남부 연안에 출현하는 청어 유어 301개체의 일섭식율 변동을 조사하였다. 어류 시료는 여름철에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청어 유어의 공위율(ratio of empty stomach), 만복도(stomach fullness), 위내용물중량지수(stomach contents index, SCI), 만복도지수(stomach fullness index, IF)는 낮과 밤의 변화에 따라 뚜렷하게 변동하였다. 공위율은 밤에 높았지만, 다른 지수들은 낮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일몰 직전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낮 동안 청어 유어의 위내용물은 요각류(Copepoda)와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로 구성되어 있었고, 자정 근처에는 거의 소화되어 확인이 어려운 먹이생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물 관리와 유기물 시용이 다른 논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배출의 일변화 (Diel Change of Methane Emission through Rice Plant under Different Water Management and Organic Amendment)

  • 신용광;이양수;고문환;엄기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40
    • /
    • 2003
  • 물관리와 유기물 시용이 상이한 벼논에서 메탄 배출을 측정하였다.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수송을 밝히려고 벼 생육기간중 분얼기, 감수분열기, 출수기, 수확기중 각 1일씩 주야로 2시간 간격으로 벼를 심은 chamber와 벼를 심지 않은 chamber에서 메탄가스 배출을 측정하였다. 상이한 생육기에서 벼 식물체를 통한 메탄 배출은 엽면적 지수, 건물중이 최대로 될 때까지는 증가하였지만 그 후로는 감소하였다. 6월 18-19일 (분얼기)에 벼 식물체가 매개한 메탄 배출은 NPK구, RSC구 (볏짚퇴비를 5월에 시응한 구). RS2구 (볏짚을 2월에 시용한 구)에서 각기 38.4%, 36.5%, 64.3%였었다. 7월 30일-31일 (감수분열기)에 벼 식물체가 매개한 메탄 배출은 NPK구, RSC구, RS2구에서 각기 70.4%, 74.3%, 74.4%였었다. 8월 20일-21일 (출수기)에 벼 식물체가 매개한 메탄 배출은 NPK구, RSC구, RS2구에서 각기 80.1%, 84.5%, 74.8%였었다. 9월 28일-29일 (수확기)에 벼 식물체가 매개한 메탄 배출은 NPK구, RSC구, RS2구에서 각기 69.9%, 65.9%, 64.4%였었다.

저서성 단각류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와 주야-조석주기 (Intraspecific Zonation of the Benthic Amphipod Pontogeneia rostrata in Relation to Diel and Tidal Cycles)

  • 유옥환;서해립;서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0-507
    • /
    • 1998
  • 돌산도 모래해안 쇄파대에서 1993년 1월 소조와 대조때 1조석주기 동안 채집한 저서성 단각류 시료를 가지고. 주야와 조석주기에 따른 Pontogeneia rostrata의 종내 대상분포를 조사했다. p. rostrata의 밀도는 대조보다는 소조때 높았다. 개체군을 성체 암$\cdot$수컷과 미성체로 나누어 보면. 미성체와 수컷의 밀도가 각각 소조와 대조때 가장 높았다. 체장빈도 자료에 따르면. 겨울철에 미성체의 사망이 큰 것 같다. 야간 표층에서 소조때는 미성체 그리고 대조때는 성체암$\cdot$수컷이 유의하게 많았다. 이것은 미성체와 성체의 수직이동 양상이 조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 진다. 대조 밀물때 평균해수면 (MSL) 위에 나타난 p. rostrata의 $90\%$ 이상이 성체였다. MSL 위에서 암컷/수컷의 비율이 감소했고. 암컷의 체장은 변동이 없었지만 수컷의 체장은 증가했다. 이것은 몸이 큰 수컷의 활발한 이동습성을 가리킨다. 이런 행동은 큰 수컷의 분포역 확장으로 이어지고, 교미와 섭식경쟁에 있어 큰 수컷에게 유리할 것으로 여겨진다. 성체가 대조 야간에 MSL 위 100cm에서 채집되기도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 p. rostrata 개체군은 대부분 MSL 아래에 머물렀다. 분포중심은 MSL 아래 50cm에서 200cm 사이였다.

  • PDF

북대서양 Rockall Trough과 Porcupine Seabight에서의 중심층 및 상부점심층성 소형어류의 수직분포와 생물학적 특성 (Vertical Distribution and Biology of Micronektonic Fishes from Meso- and Upper Bathypelagic Layers in the Rockall Trough and Porcupine Seabight, Eastern North Atlantic Ocean)

  • 고유봉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2
    • /
    • 1988
  • 북동대서양의 Rockall Trough과 Porcupine Seabight에서 중심층 및 상부점심층성 어류 마이크로넥톤 52종이 채집 동정되었다. 이들 두 해역에서의 종조성과 출현양상은 비슷하였는데, 그중 앨퉁이과, 샛비늘치과 및 Sternoptychidae에 속하는 어류가 우점하였다. 이들 3과에 속하는 생물은 주간에는 서식심도에 중복되는 경향이 많으나, 야간에는 현저한 서식지 분할현상이 보였다. 양해역에 있어서 출현종수는 500-900m에서 많고, 개체수는 야간에는 표층 (10-200m)에, 주간에는 상부중심층 (200-500m)에 많았다. 하부중심층(500-900m) 및 그보다 깊은 곳 (900-190m)에서는 주야수직이동이 별로 없었다. 몇개의 주요종에 대해서는 성비, 성숙, 수심별 서식개체크기 등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