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cumaro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인간 신장암 Caki세포에서 dicumarol에 의한 PMA 매개 matrix metalloproteinase-9의 발현 억제 효과 (Dicumarol Inhibits PMA-Induced MMP-9 Expression through NQO1-independent manner in Human Renal Carcinoma Caki Cells)

  • 박은정;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4-180
    • /
    • 2016
  • Dicumarol는 전동싸리 식물에서 추출한 coumarin 유도체로 vitamin K 의존적으로 항응고 작용를 한다. 그러나, dicumarol에 의한 MMP-9의 발현 및 활성화 조절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dicumarol이 인간 신장암 Caki세포에서 PMA 매개의 MMP-9의 발현과 활성화를 조절 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Dicumarol는 PMA유도 MMP-9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MMP-9의 mRNA RT-PCR 및 promoter assay를 통하여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Dicumarol에 의한 MMP-9 발현 조절에 NF-κB와 AP1 전사인자의 전사 활성 저해에 의하여 야기됨을 확인하였다. NQO1 siRNA를 이용한 knock-down 실험에서 dicumarol이 PMA유도의 MMP-9 활성 억제에 NQO1의 관련성을 확인 할 수 없었다. Dicumarol는 PMA에 의한 세포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MMP-9의 발현 및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간 대장상피세포 밀착연접 형성과정에서 NQO1 저해 효과 (Inhibition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by Dicumarol Reduces Tight Junction in Human Colonic Epithelial Cells)

  • 훙지;장펑;윤이나;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1-536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연구자 등이 보고한 NQO1 knockout (결핍) 생쥐의 점막기능 감소 및 장염유발 현상을 인간 대장상피세포에서 재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람 대장상피세포주인 HT29 세포에 NQO1 억제제인 dicumarol을 처치한 다음 밀착연접 조절인자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HT29 세포에 10 μM dicumarol을 처치하여 NQO1을 억제하면 인간 대장상피세포의 밀착연접이 유의하게 줄고 구성인자들(ZO1, occludin)의 단백질 양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생쥐 대장 내강에 dicumarol (10 μM)을 직접 처치한 결과 점막 투과율이 현저하게 증가함도 확인하였다(장벽기능 감소). 이는 인간 대장상피세포의 밀착연접 형성과정이 NQO1에 의존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dicumarol 처치는 ZO1과 occludin의 전사량을 억제하지 않았다. NOQ1 결핍 생쥐에서 ZO1과 occludin의 전사량이 크게 감소한다는 이전 보고를 감안하면, NQO1에 의한 밀착연접 단백질의 양적 조절 과정이 전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즉, NQO1에 의한 ZO1과 occludin 조절 과정에 프로테오좀 의존-단백질 변성과 같은 단백질 파괴 경로가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膜 ATPase 活性과 Ca 透過性에 관한 硏究 (Studies on the ATPase Activity and Calcium Transport of Fragmented Sarcoplasmic Reticulum)

  • Ha, Doo-B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7
    • /
    • 1977
  • 토끼의 골격근 小胞體의 ATPase 活性과 Ca 輸送에 대한 sodium azide, cAMP, G-strophanthin 및 dicumarol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Sodium azide(0.05mM)와 G-strophanthin(0.25nM)은 ATPase活性과 Ca 輸送能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아니하였다. cAMP$(1 \\times 10^-6 M \\sim 5 \\times 10^-4 M)$는 ATPase 活性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나 Ca 輸送은 억제하였다. Dicumarol(0.05mM)도 ATPase 活性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小胞體의 $8,000 \\sim 12,000 \\times G$分劃에서의 Ca 輸送을 억제하였다.

  • PDF

NQO1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 억제 (Inhibitory Effect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s)

  • 훙지;장펑;윤이나;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73-878
    • /
    • 2017
  • 본 연구는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에서 NQO1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이다.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는 배양액으로 분비하는 IL-6와 $TNF-{\alpha}$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NQO1 WT 생쥐와 NQO1 KO 생쥐에서 각각 분리한 복강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특이하게도 NQO1 KO 복강대식세포가 NQO1 WT에 비해서 더 높게 활성화되어 있었다. 또한 일반 생쥐의 복강대식세포에 NQO1 억제제(dicumarol)을 처치한 경우에도 강한 활성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Dicumarol을 처치한 RAW264.7 (대식세포주)에 서도 강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는 NQO1이 대식세포의 활성화 과정을 억제하는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dicumarol을 처치하여 NQO1의 기능을 억제시킨 다양한 대식세포에서 $I{\kappa}B$ 단백질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을 매개하는 주요 신호분자가 $NF{\kappa}B$이며 이 분자에 대한 억제자가 $I{\kappa}B$라는 사실들을 감안할 때, NQO1의 기능이 $I{\kappa}B$ 단백질변성 억제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차단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향 후 대식세포 활성화 과정을 조절하는 NQO1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 결과가 될 것이다.

Biochemical Properties of NAD(P)H-Quinone Oxidoreduct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Kim, Kyung-Soon;Suk, Hee-Won
    • BMB Reports
    • /
    • 제32권2호
    • /
    • pp.127-132
    • /
    • 1999
  • The NAD(P)H-quinone oxidoreductase (EC 1. 6. 99. 2) was purified from S. cerevisiae. The nativ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is approximately 111 kDa and is composed of five identical subunits with molecular weights of 22 kDa each. The optimum pH of the enzyme is pH 6.0 with 1,4-benzoquinone as a substrate. The apparent $k_m$ for 1,4-benzoquinone and 1,4- naphthoquinone are 1.3 mM and $14.3\;{\mu}M$, respectively. Its activity is greatly inhibited by $Cu^{2+}$ and $Hg^{2+}$ ions, nitrofurantoin, dicumarol, and Cibacron blue 3GA. The purified NAD(P)H-quinone oxidoreductase was found capable of reducing aromatic nitroso compounds as well as a variety of quinones, and can utilize either NADH or NADPH as a source of reducing equivalents. The nitroso reductase activity of the purified NAD(P)H-quinone oxidoreductase is strongly inhibited by dicumarol.

  • PDF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Quinone Reductase

  • 신해용;심승보;장미;박종옥;김경순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638-639
    • /
    • 2000
  • Quinone reductase was purified to electrophoretic homogeneity from bovine liver by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enzyme utilized either NADH or NADPH as the electron donor. The optimum pH of the enzyme was pH 8.5, and the activity of the enzyme was greatly inhibited by $Cu^{2+}$ and $Hg^{2+}$ ions, dicumarol and cibacron blue 3GA. The enzyme catalyzed the reduction of several quinones and other artificial electron acceptors. Furthermore, the enzyme catalyzed NAD(P)H-dependent reduction of azobenzene or 4-nitroso-N,N-dimethylaniline. The apparent $K_m$ for 1,4-benzoquinone, azobenzene, and 4-nitroso-N,N-dimethylaniline was 1.64mM, 0.524mM and 0.225mM, respectively. The reduction of azobenzene or 4-nitroso-N,N-dimethylaniline by quinone reductase was strongly inhibited by dicumarol or cibacron blue 3GA, potent inhibitors of quinone reductase.

  • PDF

포유동물 1,4-벤조퀴논 환원효소에 의한 아릴니트로소 화합물의 생변환 (Biotransformation of Arylnitroso Compound by Mammalian 1,4-Benzoquinone Reductase)

  • 김경순;신해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1-287
    • /
    • 2002
  • 소 간으로부터 퀴논 환원효소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효소는 벤조퀴논과 나프토퀴논 뿐만 아니라 페난트렌 퀴논의 환원도 촉매하였다. 소 간으로부터 정제된 퀴논 환원 효소는 아릴니트로소 화합물의 생변환을 촉매하였으며 반응 생성물은 TLC, GC, GC-MS, NMR을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이 반응은 포유동물 퀴논 환원효소의 강력한 저해제인 Cibacron blue 3GA나 dicumarol에 의하여 크게 저해되었다.

Characterization of 1,4-Benzoquinone Reductase from Bovine Liver

  • Kim, Kyungso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4호
    • /
    • pp.216-220
    • /
    • 2002
  • 1,4-Benzoquinone reductase was purified to electrophoretic homogeneity from bovine liver, and the purified enzyme found to have a molecular mass of 29 kDa, as determined by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enzyme exhibited pH optimum between 8.0 and 8.5. The apparent fm for 1,4-benzoqulnone was 1.643 mM, and the apparent Km for NADH was 1.837 mM. Various divalent cations, such as Hg$\^$2+/, Cu$\^$2+/, and Zn$\^$2+/, exhibited strong inhibitory effects. The enzyme activity was also strongly inhibited by quercetin, dicumarol, and benzoic acid. Incubation of the enzyme with N-bromosuccinimide and pyridoxal 5’-phosphate led to inhibitions of 100% and 99%, respectively.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ypto-phan and Iysine residues are Involved at or near the active sites of the enzyme.

Bioreduction of N,N-dimethyl-p-nitrosoaniline

  • Kim, Kyung-Soon;Shin, Hae-Yong
    • BMB Reports
    • /
    • 제34권3호
    • /
    • pp.225-229
    • /
    • 2001
  • Besides a variety of quinones, purified bovine liver quinone reductase catalyzed the reduction of N,N-p-nitrosoaniline to N,N-dimethyl-p-phenylenediamine. The formation of N,N-dimethyl-p-phenylenediamine was identified by TLC, GC, GC-MS and NMR. Quinone reductase can utilize either NADH or NADPH as a source of reducing equivalents. The apparent Km for 1,4-benzoquinone and N,N-dimethyl-p-nitrosoaniline was 1.64 mM and 0.22 mM, respectively The reduction of N,N-dimethyl-p-nitrosoaniline was almost entirely hampered by dicumarol or Cibacron blue 3GA, potent inhibitors of mammalian quinone reductase. During the bovine liver quinone reductase-catalyzed reduction of N,N-dimethyl-p-nitrosoaniline, benzoquinonediiminium ion was produced.

  • PDF

Reduction of Azobenzene by Purified Bovine Liver Quinone Reductase

  • Kim, Kyung-Soon;Shin, Hae-Yong
    • BMB Reports
    • /
    • 제33권4호
    • /
    • pp.321-325
    • /
    • 2000
  • Quinone reductas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bovine liver by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enzyme utilized either NADH or NADPH as the electron donor. The enzyme catalyzed the reduction of several quinones and other artificial electron acceptors. Furthermore, the enzyme catalyzed NAD(P)H-dependent reduction of azobenzene. The apparent Km for 1,4-benzoquinone and azobenzene was 1.64 mM and 0.524 mM, respectively. The reduction of azobenzene by quinone reductase was almost entirely inhibited by dicumarol or Cibacron blue 3GA, potent inhibitors of the mammalian quinone reductase. In the presence of 1.0${\mu}M$ Cibacron blue 3GA, azoreductase activity was lowered by 45%, and almost complete inhibition was seen above 2.0 ${\mu}M$ Cibacron blue 3G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