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stolic heart failur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9초

The medical management of mitral stenosis in a Bull Terrier

  • Kun Ho Song;Aleksandra Domanjko Petric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5-79
    • /
    • 2023
  • An eight-year-old, 28-kg male bull terrier who showed signs of lethargy and cough was referred for further evaluation of congestive heart failure. On presentation,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 systolic murmur at the left apex of the heart. Moreover, chest radiograph evaluation confirmed the mild alveolar and interstitial patterns in the caudal lung lobes and a grossly enlarged left atrium and left ventricle. Electrocardiography showed atrial fibrillation with a wide QRS complex, and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revealed marked enlargement of the left atrium with abnormal morphology of the mitral valve. The thickened, hammer-like appearance and abnormal diastolic motion of the mitral valve leaflets were characterized by decreased leaflet separation and doming of the valve. The diagnosis was mitral stenosi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atrial fibrillation. The owner declined interventional valvuloplasty. Medical treatment included furosemide, pimobendan and diltiazem. Regular health check-ups have shown that vitality and clinical signs have improved considerably, and the dog have remained stable for 6 months after the presentation.

좌심실의 이완기장애와 심장외막지방두께와의 연관성 연구 (Association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Dysfunction and Epicardial Adipose Tissue)

  • 김선화;강세식;김정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511-519
    • /
    • 2016
  • 좌심실 이완기능 장애는 심근허혈이나 좌심실비대 등과 같은 심근질환이 잇는 환자에서 대부분 관찰되지만 심장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도 흔하게 관찰된다. 정상 심박출(수축기능)상태에서 좌심실의 이완기 장애 평가는 심부전의 진행과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심장외막지방조직은 생리활성분자를 생성하는 대사활동기관으로 심혈관질환에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으며 이는 심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이후 심장의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본 연구목적은 심장외막지방의 두께를 측정하여 정상의 수축기 기능인 상태에서 확장기(이완기) 기능장애의 평가와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하였다. 연구결과 심장외막지방두께와 이완기 장애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심장외막지방두께 측정단면 EAT2에서 측정된 값과 이완기 장애평가방법 E'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장외막지방두께변화는 좌심실의 이완기능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예측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말기 심부전 환자에서 심장이식의 교량으로서 좌심실 축소술 - 중례보고 - (Partial Left Ventriculectomy as a Bridge to Cardiac Transplantation in a Patient of End-Stage Heart Failure -Case Report-)

  • 전양빈;이창하;이재웅;박철현;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72-674
    • /
    • 2002
  • 확장성 심근병증과 말기 심부전으로 진단된 40세 남자환자가 1997년 7월 좌심실 축소술(partial left ventriculectomy)을 시행하고 18개월 후 1999년 1월 심장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좌심실 축소술 시행후 3개월에 시행한 심초음파 소견상 좌심실 구출율은 26%에서 42.6%로 증가하였고, 확장기 좌심실크기는 71 mm에서 45mm로 감소하여 심초음파로 측정한 심박출량 및 심박출지수는 각각 3.95 L/min, 2.28 L/min/m$^2$이었다. 술 후 11개월뒤 심초음파상 좌심실 크기가 56/51 mm(확장기/수축기 직경)로 증가하고 좌심실 구출율은 17%로 감소하여 약물을 더 증량하고 18개월째에 공여심장이 제공되어 심장이식을 시행하였다. 1, 3, 6개월만에 3회 시행한 심근 조직검사상 ISHLT(International Society of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분류상 la로 판정됐고 현재까지 거부반응으로 인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았다. 말기 심부전을 동반한 확장성 심근병증 환자에서 심장 이식을 기다리는 동안 좌심실 축소술이 성공적인 교량역할을 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Sudden Death and Ventricular Arrhythmias in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 Jae Hyung Cho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2권4호
    • /
    • pp.251-264
    • /
    • 2022
  •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HFpEF) accounts for approximately half of all heart failure (HF) cases. The prevalence of HFpEF is increasing due to an aging population with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HFpEF remains a challenging clinical entity due to a lack of effective treatment options. Traditional HF medications have not been shown to reduce mortality of patients with HFpEF, and an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s not indicated due to normal ejection fraction. Sudden death is the most common mode of death in patients with HFpEF;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sudden death are not fully elucidated. Although ventricular arrhythmias are responsible for the majority of sudden deaths in general, their contribution to sudden deaths in HFpEF patients is likely less significant. The mechanisms of ventricular arrhythmias in HFpEF are 1) reduced conduction velocity due to ventricular hypertrophy, 2) delayed repolarization due to potassium current down-regulation, 3) calcium leakage due to altered 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 and 4) increased ventricular fibrosis caused by systemic inflammation. Hypertension and subsequent ventricular hypertrophy reduce the conduction velocity in HFpEF hearts via heterogeneous distribution of connexin 43. Delayed repolarization caused by potassium current down-regulation in HFpEF hearts provides a window for early afterdepolarization to trigger ventricular arrhythmias. Altered excitation-contraction coupling in HFpEF can cause calcium to leak and trigger delayed afterdepolarization. Increased systemic inflammation and subsequent ventricular fibrosis provide substrates for re-entry.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investigate the detailed mechanisms of ventricular arrhythmias in HFpEF.

Pseudonormal or Restrictive Filling Pattern of Left Ventricle Predicts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Presenting as Acute Heart Failure

  • Lee, Jae-Geun;Beom, Jong Wook;Choi, Joon Hyouk;Kim, Song-Yi;Kim, Ki-Seok;Joo, Seung-Jae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 /
    • 제26권4호
    • /
    • pp.217-225
    • /
    • 2018
  • BACKGROUND: In patients with acute heart failure (AHF), diastolic dysfunction, especially pseudonormal (PN) or restrictive filling pattern (RFP) of left ventricle (LV), is considered to be implicated in a poor prognosis. However, prognostic significance of diastolic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IHD) has been rarely investigated in Korea. METHODS: We enrolled 138 patients with IHD presenting as AHF and sinus rhythm during echocardiographic study. Diastolic dysfunction of LV was graded as ${\geq}2$ (group 1) or 1 (group 2) according to usual algorithm using E/A ratio and deceleration time of mitral inflow, E'/A' ratio of tissue Doppler echocardiography and left atrial size. RESULTS: Patients in group 1 showed higher 2-year mortality rate ($36.2%{\pm}6.7%$) than those in group 2 ($13.6%{\pm}4.5%$; p = 0.008). Two-year mortality rate of patient with LV ejection fraction (LVEF) < 40% ($26.8%{\pm}6.0%$) was not different from those with LVEF 40%-49% ($28.0%{\pm}8.0%$) or ${\geq}50%$ ($13.7%{\pm}7.4%$; p = 0.442). On univariate analysis, PN or RFP of LV, higher stage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and higher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functional class were poor prognostic factors, but LVEF or older age ${\geq}75$ years did not predict 2-year mortality. On multivariate analysis, PN or RFP of LV (hazard ratio [HR], 2.5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9-5.84; p = 0.031), higher stage of CKD (HR, 1.57; 95% CI, 1.14-2.17; p = 0.006) and higher NYHA functional class (HR, 1.81; 95% CI, 1.11-2.94; p = 0.017) were stil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2-year mortality. CONCLUSIONS: PN or RFP of LV was a more useful prognostic factor for long-term mortality than LVEF in patients with IHD presenting as AHF.

심장보조를 위한 흉부대동맥 근성형술 개발(예비 동물실험) (Development of Descending Thoracic Aortomyoplasty for Cardiac Bioassist)

  • 오중환;박승일;김은기;김영호;류기홍;이상헌;원주호;서재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6호
    • /
    • pp.469-475
    • /
    • 2000
  • Background: Thoracic aortomyoplasty is one of the surgical treatment for heart failure and has advantages over artificial heart or intraaortic balloon pumps. It uses autogenous skeletal muscles and solves problems such as energy source. However its use in clinical settings has been limited. This preliminary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surgical technique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ute descending thoracic aortomyoplsty. Material and Method: Thirteen adult Mongrel dogs were used. The left latissimus dorsi muscle was wrapped around the descending aorta under general anesthesis. Swan-Ganz and microtipped Millar catheter were used for the hemodynamics and endocaridial viability ratio. Data were collected with myostimulator on and off in normal hearts and the ischemic hearts. Result: In normal hearts, the mean aortic diastolic pressure increased from 72$\pm$15mmHg at baseline to 78$\pm$13mmHg with stimulator on. Coronary perfusion pressure increased from 61$\pm$11mmHg to 65$\pm$9mmHg. Diastolic time increased from 0.288$\pm$0.003 msec to 0.290$\pm$0.003msec. Systolic time decreased from 0.164$\pm$0.002msec to 0.160$\pm$0.002 msec. Endocardial viability ratio increased from 1.21$\pm$0.22 to 1.40$\pm$0.18. In ischemic hearts, mean aortic diastolic pressure incrased from 56$\pm$21mmHg at baseline to 61$\pm$15mmHg with stimulator on. Coronary perfusion pressure increased from 48$\pm$17mmHg to 52$\pm$15mmHg. Diastolic time increased from 0.290$\pm$0.003 msec to 0.313$\pm$0.004msec. Systolic time decreased from 0.180$\pm$0.002 msec to 0.177$\pm$0.003 msec. Endovascular viability ratio increased from 0.9$\pm$0.31 to 1.1$\pm$0.31. The limited number of cases ruled out the statistic significance. Conclusion: Descending thoracic aortomyoplasty is a simple operation designed to use patient's own skeletal muscles. It trends to increase diastolic augmentation and coronary perfusion pressure. Modification of surgical technique and stimulator protocol would maximize the effect to assist the heart.

  • PDF

B-type Natriuretic Peptide 수치와 이완기 심초음파 파라미터와의 연관성 연구 (Studies for B-type Natriuretic Peptide Values and Its Association with Diastolic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 배성조;권기상;이은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94-400
    • /
    • 2016
  •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와 심초음파는 심부전 진단과 예후를 판단하는 지표로써 수축 기능이상에 많은 연구를 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BNP 결과와 심초음파 이완 기능을 나타내는 항목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BNP 검사와 심초음파를 실시한 188명을 대상으로 BNP 결과에 따라 5그룹으로 분류하고, 심초음파의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크기, E velocity, A velocity, Deceleration time, E/A ratio, E', A', S', E/E'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그 중 심부전을 진단 받은 67명을 Relaxation abnormality (Grade I), Pseudonormalization (Grade II), Restrictive physiology (Grade III)로 등급을 분류하고 BNP 결과와 심초음파 항목을 비교한 결과 BNP 수치가 상승할수록 심초음파 항목 중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크기, E/A ratio, Deceleration time, A', S', E/E'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룹간의 비교에서 E/E' 항목이 가장 좋은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심부전 환자의 등급 분류에 따른 BNP 결과는 $623.0{\pm}459.7pg/mL$, $1013.2{\pm}1155.1pg/mL$, $1693.4{\pm}1544.0pg/mL$로 유의성이 있었으며(p<0.01), 등급이 올라갈수록 심초음파 항목 중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크기, E velocity, A velocity, E/A ratio, Deceleration time, A', E/E' 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BNP 결과가 상승할수록 심초음파 이완기 항목과 유의성이 있었고, 심초음파에서 Restrictive physiology 그룹의 BNP 결과가 가장 높았다.

단백 소실성 장병증을 동반한 교착성 심낭염 1례 (A case of constrictive pericarditis presenting with protein-losing enteropathy)

  • 홍정미;이재영;김수진;장기영;심우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8호
    • /
    • pp.898-901
    • /
    • 2006
  • 소아에서 교착성 심낭염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이에 의하여 단백 소실성 장병증이 동반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교착성 심낭염의 주요 증상의 하나로 단백 소실성 장병증을 보인 여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식회화된 심낭 고리에 의한 심부전즙 - 1예 보고 (Heart Failure by a Calcific Pericardial Ring -A case report -)

  • 홍성범;안병희;류상완;정인석;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9호
    • /
    • pp.648-651
    • /
    • 2005
  • 석회화된 수축성 심낭염은 만성 염증에 대한 비특이적 반응으로 여겨진다. 원인은 결핵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최근 결핵이 감소하면서 이러한 형태의 심낭염은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 질환의 다른 원인으로는 방사선 치료, 류마티스성 질환, 유육종증, 그리고 외상 등이 있다. 결국 수축성심낭염은 원인이 무엇이든지간에 심장 이완기의 혈액 충만이 감소함으로써 심낭 압전에 이를 수 있다. 저자들은 최근 석회화된 심낭 고리에 의해 심부전을 일으킨 수축성 심낭염 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공압식 심실보조기의 실험을 위한 돼지에서의 심부전 모델의 개발 (Establishment of the Heart Failure Model in Swine for the Experiment of the Pneumatic Ventricular Assist Device)

  • 박성식;서필원;이상훈;강봉진;문상호;김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123-130
    • /
    • 2003
  • 배경: 공압식 심실보조기의 실험을 위한 심부전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사람의 심장구조와 유사하고 저렴하며 일관되게 반복적으로 급성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본 연구진은 사람의 심장구조와 가장 유사하며 저렴한 돼지를 사용하여 관상동맥의 좌전하행지를 결찰하는 방법으로 급성심부전을 유발시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성인의 몸무게에 해당하는 5마리의 돼지를 사용하여 전신마취 후 좌측개흉술을 통하여 심장을 노출시키고 관상동맥의 좌전하행지의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근위부로 올라오면서 결찰, 재관류, 결찰의 방법으로 심부전을 유발시켰다. 각 과정의 전, 후에 좌심실확장기말기압력, 동맥압, 심박출계수를 측정하였고, 심외막 심에코도를 통하여 좌심실확장기내경, 좌심실수축기내경, 분획단축, 심구혈률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좌전하행지의 원위부부터 근위부까지 충분한 심부전이 달성될 때까지 반복하였으며 목표달성 후 심실보조기를 장착하여 구동시켰다. 결과: 5마리 중 3마리에서 안정적인 심부전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3마리 모두에서 심외막 심에코도상 심구혈률을 기준으로 관상동맥 결찰 전에 비하여 50% 정도의 심기능 저하를 유지 할 수 있었다. 또한 결찰, 재관류, 결찰의 방법을 통하여 심근에 대해 허혈성 전처치를 시행한 후 완전 결찰을 시행하였을 때 대동물의 관상동맥 결찰 시 흔히 발생하는 심실성 부정맥이나 심관기절에의한 심정지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심근허혈을 유발시킨 좌, 우심실의 심첨부에서 중간부위까지 광범위한 허혈성 손상을 입은 심근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허혈성 전처치의 개념을 관상동맥 결찰을 통한 심부전 모델에 적용하여 좌전하행지의 원위부에서부터 근위부 까지 순차적으로 결찰, 재관류, 결찰을 시도한 결과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급성 심부전 모델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