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spora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지구화 시기 주체 구성의 물적 토대 복원을 위한 시론 -포스트식민주의 이론화 과정에 대한 리뷰를 중심으로 (Situating the Subject within the Global Material Conditions -A Critical Review on the Theorization of Postcolonial Ideas)

  • 김수미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0권
    • /
    • pp.66-94
    • /
    • 2015
  • 포스트식민주의는 근자의 글로벌 사회 문화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자원으로 자리잡아 왔다. 문화가 갖는 보편성이나 초월적 진정성을 부정하는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은 근본주의적 가정을 벗어나 주체와 정체성이 재개념화되는 길을 열어 주며, 지리적 경계를 가로질러 부유하는 디아스포라의 혼종적 문화 경험을 통해 기존의 지배적인 문화적 상상과 사회관계에 대한 담론 질서를 전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그려 내기도 한다. 그러나 전 세계 문화의 차이와 다양성을 강조하는 포스트식민주의 서사는 변화와 재조정 과정에 있으나 여전히 강고하게 자리 잡고 있는 중심부와 주변부 국가들 간 불평등한 권력 관계 속에서 특정한 지역민들과 이주민들이 새로운 형태의 피착취 집단으로 구성되고 있는 현실을 제대로 조명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이 전개되고 전유되어 온 과정에 대한 비판적 리뷰를 통해 지금 시기 글로벌 수준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정의의 문제들을 보다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 PDF

고대 이스라엘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Ancient Israelite Food Culture)

  • 채영철;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4-247
    • /
    • 2013
  • 본 연구는 약 3440년 전인 B.C 1446-1406년에 기록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는 구약성경의 Pentateuch시대의 음식문화를 통해 사라졌던 나라가 2천 년 만에 어떻게 다시 살아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모세5경 시대의 음식문화의 특징은 식품재료에 있어 먹을 수 있는 정한 음식과 먹을 수 없는 부정한 음식으로 엄격하게 구분하며 피는 절대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으로 분류하여 오늘날까지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사에 있어서는 burnt offering, grain offering, peace offering, sin offering, guilt offering 5가지, 절기에 있어서는 Passover, Festival of Unleavened bread, Festival of First-fruits, Festival of Harvest, Festival of Trumpets, Day of Atonement, Festival of Shelters 7절기가 각각 의의와 제사 방법까지 엄격하게 구분 되어 있었다. 관습과 전통으로만 이어지는 일반적인 음식문화와 달리 음식문화가 율법에 의해 식품위생법처럼 이미 오래 전부터 문자로 규정 하고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율법은 지켰을 때 얻을 수 있는 결과와 지키지 않았을 때 처하게 될 결과까지 명확하고 엄격하게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흑인 스트리트 스타일이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 (Influence of Black Street Style on the Contemporary Fashion)

  • 이영재;구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44-558
    • /
    • 1997
  • Black street style has made unique fashion in popular music such as Jazz, Soul, Rhythm Il Blues. Reggae, and Rap, and it is counterculture and subculture against white. Furthermore, the black street style has played a starr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white culture as well as black culture, which emerged in direct opposition to the dominant cultures practised by a fraction of fellow countrymen within the black diaspor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social chronology of the black street style and the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influences of the black street style on white culture. The seeds of black's style were sown in the late forties, developing throughout the fifties with the arrival of black immigrants from the west Indies and its examples were zooties, hip cats 8l hipsters, modernists. Rude boy & two-tone was anti·fashion style in sixties and then rastafarians continued in seventies costume is used to convey an essential symbolic class and ethnic message. The latest black's street fashion is hip-hop dress, which is pluralistic and electric, and funk is also erratic. During its ten-year reign as an international style, it has undergone numerous shifts because it is decline of racism B-boy & flygirls toraggamuffins & bhangra style to acid Jazz. These have played a crucial part in influencing the gigh fashion and avant-grade fashion designers' work. Today's street fashion has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culture without a racism in global village. Moreover, pop music stars take an effect on the street style continuously. With the opening of a new century, the study of the street style will overcast popular fashio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ashion design.

  • PDF

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추세와 특징에 관한 분석: UCDP 자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in Armed Conflict in Post-Cold War Era: on the basis of UCDP)

  • 이철기
    • 국제지역연구
    • /
    • 제18권3호
    • /
    • pp.269-291
    • /
    • 2014
  • 이 연구 목적은 객관적 자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탈냉전 후 무력갈등의 추세와 특징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국제적으로 가장 신뢰성과 객관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웁살라대학의 웁살라갈등자료 프로그램(UCDP)의 자료들을 근거로 진행했다. UCDP의 '무력갈등' 개념은 적어도 한 당사자가 국가의 정부인 양 당사자 간에 정부나 영토를 둘러싸고 경쟁하는 비양립성을 지니며, 당사자들의 무력사용에 의한 전투관련 사망자수가 단일 년도 안에 최소 25명 이상인 갈등을 의미한다. 양극체제의 붕괴와 냉전체제의 해체는 국제사회의 무력갈등에도 구조적 개념적으로 큰 변화의 계기가 되었다. 무력갈등의 추세 분석은 무력갈등의 강도, 형태 그리고 대륙별로 지역 차원에서 분류했다. 탈냉전 시기 무력갈등은 냉전 시기와는 다른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무력갈등의 형태면에서, 국가 간 갈등이 줄어든 반면 국내갈등이 증가했다. 둘째, 강대국들 간에 상호 무력갈등을 자제하면서 이해관계가 걸린 특정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강대국의 기득권을 서로 용인하고 있다. 셋째, 무력갈등의 종결 방식이 무력을 통한 승리 보다는 평화적 해결이 강조되고 있다. 넷째, 국경을 경계로 한 갈등을 넘어서 여러 국가에 걸쳐 일어나거나 인접국가로 확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다섯째, 갈등 해결과정에서 UN의 역할이 켜졌다.

이찬 시의 낭만성과 비극성 (The Romance and Tragedy in Lee Chan's Poetry)

  • 유성호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127-147
    • /
    • 2010
  • Lee Chan's early poems were defined as the world of romance. His second-term poems were defined as proletarian poetry and poems written in prison when he made the romance as the core point through longing and desire for lost world. Maximizing the romance was proletarian poetry. His third-term poems were feelings of the northern countries called the spirit of Lee Chan's poems. He recognized the emotion of diaspora as the tragedy in these poems. It was remarkable time that the poet's tragedy observing and expressing the reality of colony. Afterward he wrote poems related inside withdrawal and war cooperation, finally he wrote poem after defecting to North Korea. Lee Chan showed the romance of desire in early poems and proletarian poems. Then he indicated acute scenery of the tragedy in the late 1930s' poems. In heavy situation, he moved from pro-Japanese literature to North Korean literature. However he didn't throw introspected self-reflection language to himself each his changing. But through several form of garden, he clearly showed consistent of maximizing his utopia sense. The time Lee Chan experienced was an icon which intensively indicated several features of deformed modern Korean poetic history. He was a unique poet who expressed various traces of modern Korean poetry in short time step by step. His path informed that he was a special poet who stepped the trace of many modern Korean poetry's extremes such as romantic poetry, proletarian poetry, prison poetry, pro-Japanese poetry and North Korean poetry. Likewise we can call his life as a grudge return. Because he left hometown, experienced the light and darkness of modern times and returned his hometown.

국가문화유산으로서 문학기록의 조직화 방안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Literary Archives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61호
    • /
    • pp.31-69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문학관에 분산 소장되어 있는 작가의 문학자료에 대한 기록학적 탐구와 기록관리 적용에 관한 검토를 통해 문학기록에 적합한 조직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문학 기록의 특성과 가치에 적합한 조직화를 위한 '원질서의 원칙'을 탐구했다. 다음으로 '디아스포라 아카이브'를 사례로 문학기록 조직화에 적합한 모형을 도출한 후, 국내 지역문학관에 '분산 컬렉션'의 형태로 존재하는 작가 조정래(1943~)의 문학자료를 대상으로 조직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정래 작가의 '분산 컬렉션'에 통합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ICA AtoM 기반 '기록-작가-문학관' 관련 기술정보를 연계하여 단일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개별 문학관의 소장 자료도 기록 조직화의 원칙에 따라 계층적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기존의 건별 목록에 비하여 보다 풍부한 집합적 맥락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주민 집단의 종족과 국가에 대한 인식: 자카르타의 아쩨인 공동체 사례연구 (The Ethnicity and National Identity among Transmigrant: The Acehnese Community in Jakarta)

  • 정정훈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3-170
    • /
    • 2012
  •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of the Acehnese ethnic group living in Jakarta, Indonesia. Based on analysis, this thesis examines how their ethnicity and national identity have been formed and express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als with Taman Iskandar Mud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IM), a group of Acehnese transmigrants living in Jakarta. The immigration of the Acehnese to Jakarta started in the 1950s and the number of Acehnese people living in Jakarta persently amounts to 100,000. TIM, which was organized by the first generational of immigrants, functions to group Acehnese immigrants of various generations and class. Forum Keprihatinan Untuk Aceh(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ka), an organization designed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s of TIM, undertook various activities to maintain the peace of Aceh as the representative of TIM. Through those activities, TIM and Forka were able to confirm the feeling of homogeneity among the Acehnese who were living in their hometown and also strengthen their identity within the organizations. However, the fact that TIM and Forka put their focus on humanitarian activities paradoxically shows the political limitations that they sustain. TIM and Forka take care not to make their humanitarian activities seem as if they intend to openly strengthen their Acehnese identity and deny their Indonesian one. Thes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Forka's identity are commonly found in groups that practice long-distance nationalism, as transmigrants in diaspora circumstances do. In the organization of TIM, there exists the menasah, which is a space where discussions of the ethnicity and the nation are practiced. As it is the space for local exchange, menasah reveals the identity of TIM through educational/social activities and public services. Menasah functions as the public arena where people practice ethnic identity on the basis of national integration. As a minority ethnic group living in Jakarta and its neighborhood, they are accustomed to double and selective political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cultural practices.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to the double circumstance that they are faced with, they should live extemporaneously, and this life may be the fate that minority ethnic and transmigrants should endure.

초국가적 입양과 탈경계적 정체성 -제인 정 트렌카의 『피의 언어』 (Transnational Adoption and Beyond-Borders Identity: Jane Jeong Trenka's The Language of Blood)

  • 김현숙
    • 영어영문학
    • /
    • 제57권1호
    • /
    • pp.147-170
    • /
    • 2011
  • This paper elucidate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 adoption, estimates the possibility of beyond-borders identity of transnational adoptees, and tries to analyze Jane Jeong Trenka's The Language of Blood in its context. Though it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humanitarian ways of helping orphans and poor children of the world, transnational adoption, a one-way flow of children from poor Asian countries to rich white countries, has been operated under the market logic between countries. Transnational adoptees, who had been abandoned and forced to be taken away from their birth mother, and later, to fulfill the desire of white parents for a perfect family, perform an ideological labor, serving to make the heterogeneous nuclear family complete. Korean transnational adoptees, forced to transcend the borders of nation, culture, and ethnicity, experience racial conflict and alienation in white adoptive family and society. Their diaspora experience of violent dislocation creates frustration and confusion in establishing their identity as a whole being. When they return to Korea to find their birth mother and their true identity, Korean adoptees, however, are faced with other obstructing issues, such as language problem, culture conflict, and maternal nationalism. Finally, Korean transnational adoptees reject Korean nationalism discourse based on blood, and try to redefine themselves as beyond-borders subjectivities with new and fluid identities. Jane Jeong Trenka's The Language of Blood, an autobiographical novel based on her experiences as a transnational adoptee, represents a Korean adopted girl's personal, cultural, and racial conflict within her white adoptive family, and questions the image of benevolent white mother and the myth of multiculturalism. The novel further represents Jane's return to Korea to find out her true identity, and shows Jane's disappointment and alienation in her birth country due to her ignorance of language and culture. Returning to USA again, and trying to be reconciled with her American mother, Jane shows the promise of accepting her new identity capable of transcending the borders, and thus, the possibility of enlarging the category of belonging.

북아프리카 모로코의 다각적 교역을 위한 경제적 소프트 파워 진출 방안 (Advancement plan into economic soft power for multifaceted trade in Morocco, North Africa)

  • 서대성;서병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03-110
    • /
    • 2022
  • 본 논문은 모로코의 종교적 배경과 역사문화적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모로코 이민자들의 정착문제나 다양한 목적의 모로코 협력을 위한 방안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모로코는 교역에서 개방적이고, 사회 문화적 면에서는 전형적이다. 스페인과 프랑스 등 서구 유럽문화의 교류를 해왔지만 전형적인 무슬림을 유지한다. 특히 모로코가 과거 삼각교역의 중심지로써, 디아스포라와 물류 허브였고 북미로 진출하였다. 앞으로도 글로벌 다각교역의 문화확산의 교두부역할은 한다. 지금은 모로코 교역이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아프리카 지역의 개방화와 산업화의 진전으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도 접하게 된다. COVID-19이후 소프트파워가 여성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모로코에 대한 비즈니스적인 진출이나 서비스 금융 및 지역적 차원의 접근을 위한 글로벌 삼각 전략지로써, 우리는 한국의 소프트파워인 문화적 산업 및 서비스를 현지에서 수용하게 됨을 방증한다.

국내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초국적 돌봄 연구 (Transnational Care for Left-Behind Famil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Nepalese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 김경학;윤밀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4-528
    • /
    • 2017
  •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네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본국 가족원에 대한 초국적 돌봄의 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은 물질적이고 정서적인 지지와 지원, 네팔방문과 직접적 돌봄, 가족의 한국 초청을 통한 노동기회 제공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본국 가족에 대한 돌봄을 초국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초국적 돌봄 실천 양상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 이주여성을 한국 사회와 네팔 사회 사이에 '끼여 있는 존재'(being in-between)로 인식하는 초국적 시각이 요구된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돌봄은 이주여성의 형제자매 서열에 따른 역할기대, 자녀의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친정가족원의 국내 체류 여부 등에 따라 그 강도와 내용에 차이가 있다. 또한 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초국적 돌봄, 특히 정서적 지지와 출산 및 육아지원은 '일방적'인 것이 아닌 '돌봄의 호혜적 교환'(reciprocal exchange of care)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