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nostic Tool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35초

인두염 환아에서 A군 연구균 검출의 임상적 점수제의 유용성 (Usefulness of Clinical Scoring System in the Diagnosis of Group A Streptococcal Pharyngitis)

  • 김은성;정지영;차성호;이희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9권1호
    • /
    • pp.74-78
    • /
    • 2002
  • 목 적 : 소아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A군 연구균에 의한 인두염을 정확히 진단하여 항생제 투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시간이 소요되는 인두 배양 결과가 나오기 전 조기 진단을 위해 여러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는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균내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더욱 강조되어 온 내용이다. 임상적 증상을 기초로 한 점수제로 진단의 효용을 평가한 과거의 연구가 있으나 혈액 검사 소견을 첨가한 점수제 변형으로 진단적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인두통과 상기도 감염 증상으로 경희대학교병원 외래를 방문한 환아 45명에 대하여 1997년 발표된 Breese의 9가지 항목을 수정 보완하여 임상증상, 나이, 이전의 항생제 사용력, 진찰 소견에 더불어 백혈구수와 그 분율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각각 점수화하여 결과를 예측하였으며, 인두 배양 검사를 실시한 후 점수제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 45명의 환아 중 A군 연구균 배양 양성인 경우는 20명, 음성인 경우 25명이었으며, 배양 양성인 환아 중 그 점수 분포상 70 백분위수에 해당하는 30점을 기준으로 하여 배양 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민감도 35%, 특이도 96%, 양성예측도 88%, 음성예측도 65%의 결과를 얻었다. 결 론 : 각 항목별 소견상 A군 연구균 감염을 시사하는 의미있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고 혈액 소견을 첨부함으로써 1997년의 결과에 비하여 특이성을 높이고 위양성율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 비교적 감수성은 낮으나 특이성이 96%로 우리나라와 같이 균분리율이 낮은 경우에서는 이 점수제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대상 혈액배양검사 현황 파악을 위한 국내 다기관 설문조사 (A Multicenter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Pediatric Blood Cultures in Korea)

  • 이영준;이지영;공섬김;연규민;홍유라;오지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1호
    • /
    • pp.17-25
    • /
    • 2018
  • 목적: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혈액배양의 적응증과 방법, 정도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소아감염분과 전문의(소아감염)와 신생아집중치료센터를 운영하는 병원에 근무하는 신생아분과 전문의(신생아)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 소아감염의 81.1% (30/37)와 신생아의 72.2% (52/72)가 설문에 응하였다. 적응증과 무관하게 정규 검사로 혈액배양을 실시하는 경우는 소아감염의 33.3%, 신생아의 59.6%였다. 소아감염의 40%와 신생아의 65.4%가 균혈증 의심 환자에서 혈액배양을 1회 시행한다고 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피부 소독제는 포비돈-아이오딘이었고, 여러 피부 소독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순서는 기관마다 다양하였다. 배양 양성률 및 오염률을 모니터링하는 기관은 전체의 2/3 정도였으나 결과를 채혈자에게 피드백하는 곳은 적었다. 채혈 담당자에게 정기적인 교육을 하는 곳은 전체의 1/2 이하였다. 결론: 기관별로 혈액배양의 적응증과 방법이 다양하였으며 정도 관리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병원은 적었다. 소아에서 실시되는 혈액배양의 질 향상을 위해 표준 지침의 정립이 필요하며 정도 관리를 위한 기관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수족냉증 환자의 HRV 특성연구 (Study on Heart Rate Variability Characteristics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Patients)

  • 박연경;박강인;박경선;황덕상;이창훈;장준복;이진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2-101
    • /
    • 2015
  • Objectives: Heart Rate Variability (HRV) is a diagnostic tool for assessing the func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lthough studies on the HRV characteristics of the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have been done, no study has compared HRV characteristics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patients to that of normal Korean women.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mpared the HRV characteristics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patients and normal Korean women. Methods: We studied 130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patients who visited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from 01 March 2011 to 11 August 2013. We measured HRV of Each patient. Patients are divided into under 29 years old, 30~39 years old, 40~49 years old and over 50 years old with age. Patient's HRV results are compared to that of normal Korean women in each age group. Results: In each age group,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patients' LF/HF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normal Korean women. Conclusions: HRV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is similar to that of cold induced vasodilation (CIVD). So,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can be considered as abnormal condition that CIVD is continued. More studies on measuring of blood flow of cold hypersensitivity of hands and feet patients are necessary.

Development of a multiplex qRT-PCR assay for detection of African swine fever virus, classical swine fever virus and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 Chen, Yating;Shi, Kaichuang;Liu, Huixin;Yin, Yanwen;Zhao, Jing;Long, Feng;Lu, Wenjun;Si, Hongbi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6호
    • /
    • pp.87.1-87.12
    • /
    • 2021
  • Background: African swine fever virus (ASFV), classical swine fever virus (CSFV), and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are still prevalent in many regions of China. Co-infections mak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ir clinical symptoms and pathological changes. Therefore, a rapid and specific method is needed for the differential detection of these pathogens.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plex real-tim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tiplex qRT-PCR) for the simultaneous differential detection of ASFV, CSFV, and PRRSV. Methods: Three pairs of primers and TaqMan probes targeting the ASFV p72 gene, CSFV 5' untranslated region, and PRRSV ORF7 gene were designed. After optimizing the reaction conditions, includ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primer concentration, and probe concentration, multiplex qRT-PCR for simultaneous and differential detection of ASFV, CSFV, and PRRSV was developed. Subsequently, 1,143 clinical samples were detected to verify the practicality of the assay. Results: The multiplex qRT-PCR assay could specifically and simultaneously detect the ASFV, CSFV, and PRRSV with a detection limit of 1.78 × 100 copies for the ASFV, CSFV, and PRRSV, but could not amplify the other major porcine viruses, such as pseudorabies virus, porcine circovirus type 1 (PCV1), PCV2, PCV3, foot-and-mouth disease virus, porcine parvovirus, atypical porcine pestivirus, and Senecavirus A. The assay had good repeatability with coefficients of variation of intra- and inter-assay of less than 1.2%. Finally, the assay was used to detect 1,143 clinical samples to evaluate its practicality in the field. The positive rates of ASFV, CSFV, and PRRSV were 25.63%, 9.36%, and 17.50%, respectively. The co-infection rates of ASFV+CSFV, ASFV+PRRSV, CSFV+PRRSV, and ASFV+CSFV+PRRSV were 2.45%, 2.36%, 1.57%, and 0.17%,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ultiplex qRT-PCR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provide a rapid, sensitive, specific diagnostic tool for the simultaneous and differential detection of ASFV, CSFV, and PRRSV.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한의 변증 설문지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Korean Medicine)

  • 안윤영;정민정;김미연;김락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
    • /
    • 2019
  • Objectives: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characterized by a persistent pattern of inattention and/or hyperactivity impulsivity that interferes with function or development in children.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ADHD is classified by several patterns based on symptoms and signs.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objective diagnostic tool for ADHD in traditional medici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for ADHD (parents-survey style) to be used in Korean medicin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groups of experts. Methods: The types of pattern identifications of ADHD mentioned in 13 pieces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and their symptoms and signs were analyzed. The advisory committee (15 Neuropsychiatrist and 11 Pediatrist in Korean Medicine) assess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literature selection and the types of pattern identification selection and their symptoms and signs, and weighed the significance of the symptoms and signs.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for ADHD was developed using the calculated weights by evaluated significance. The translation of symptoms and signs to the Korean language was achiev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 translators. Results: 1. Four pattern identification types and their symptoms and sig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of appearance in the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and were reviewed by the advisory committee: Kidney yin deficiency and liver yang ascendant hyperactivity (腎虛肝亢), Dual deficiencies in the heart and spleen (心脾兩虛), Phlegm-fire harassing the heart (痰火擾心), and Spleen weakness and liver energy preponderance (脾虛肝旺). 2. The weights of all the symptoms and signs in the four patterns were calculated using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symptoms and signs' importance that were obtained from specialists' significance weighting. 3.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for ADHD (parents-survey style) in Korean medicine composed of 38 questions was suggested. Conclusions: Us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expert advic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for ADHD (parents-survey style) in Korean medicine was developed. Further clinical study is required to develop a final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evalu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Utility of Computed Tomography in a Differential Diagnosis for the Patients with an Initial Diagnosi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acerbation

  • Park, Hyung Jun;Kim, Soo Han;Kim, Ho-Cheol;Lee, Bo Young;Lee, Sei Won;Lee, Jae Seung;Lee, Sang-Do;Seo, Joon Beom;Oh, Yeon-M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3호
    • /
    • pp.234-241
    • /
    • 2019
  • Background: The utility of computed tomography (CT)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exacerbation remains uncertain. However, due to the low cost associated with CT scan along with the impact of Koreas' health insurance system, there has been a rise in the number of CT scans in the patients with initial diagnosis of COPD exacerbations. Therefore, the utility of CT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performing CT scans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patients with an initial diagnosis of COPD exacerbation.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02 COPD patients hospitalized with an initial diagnosis of COPD exacerbation. We evaluated the change in diagnosis or treatment after performing a CT scan, and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 groups with vs. without performing CT (non-CT group vs. CT group). Results: After performing CT, the diagnosis was changed for two (3.0%) while additional diagnoses were made for 27 of the 64 patients (42.1%). However, the treatment changed for only one (1.5%), and six patients (9.3%) received supplementary medic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 in the median length of hospital stay (8 [6-13] days vs. 8 [6-12] days, p=0.786) and intensive care unit care (14 [10.1%] vs. 11 [16.7%], p=0.236) between the CT and non-CT group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remained consistent even afte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Conclusion: Utility of CT in patients with acute COPD exacerbation might not be helpful; therefore, we do not recommend chest CT scan as a routine initial diagnostic tool.

대추나무 품종 식별을 위한 ISSR 유래 SCAR 표지 개발 (Development of ISSR-Derived SCAR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Jujube Cultivars)

  • 남재익;김철우;김세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02-310
    • /
    • 2019
  • 정확하고 신속한 품종식별은 효율적인 육종과 육종가의 권리 보호를 위하여 필수적이다. 대추나무 품종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형태적 특성을 근거로 하지만, 시기적 제약과 환경의 영향으로 형태적 형질만을 이용하여 구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SR 분석으로 얻어진 단편을 복제하여 안정적인 식별을 위한 SCAR 표지를 개발하였다. 대리조와 보은대추 품종에서 특이성을 보이는 ISSR 밴드를 대상으로 정제, 복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827Dalizao550, 827Boeun750, 846Boeun700, 847Dalizao850로 명명된 4개의 클론을 확인하였다. 대추나무 품종 특이성 분석을 위한 4쌍의 SCAR 프라이머를 제작하였으며, 대추나무와 묏대추나무를 포함하는 32개체에 대하여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827Dalizao550 SCAR 표지의 PCR 결과 6개체(대리조, 산동이조, 동조, 원령 신 2호, 묏대추나무 2, 묏대추나무 4)에서 550 bp의 특이적인 밴드가 증폭되었고, 나머지 개체에서는 예기치 않은 밴드(490 bp)가 증폭되었다. 또한 847Dalizao850 SCAR 표지의 PCR 결과 대리조, 산동이조, 동조에서 850 bp의 밴드가 나타났고 예기치 않은 900 bp의 밴드가 5개체(파조, 묏대추나무 1, 묏대추나무 2, 묏대추나무 3, 묏대추나무 4)에서 증폭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새롭게 개발된 표지들은 대추나무 품종식별을 위한 빠르고 신뢰성 있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보다 다양한 품종들의 식별을 위해서는 다형성 정보의 추가와 SCAR 표지의 개발이 필요하다.

항공관측 결과를 활용한 당진시 대형사업장에서의 황산화물 배출량 평가 (Estimation of SO2 emissions in large point sources at Dangjin City using airborne measurements)

  • 김용표;김세웅;김종호;이태형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7-117
    • /
    • 2020
  • 충청남도 대형사업장에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많다. 2019년 봄과 가을에 항공관측을 수행하여 충청남도 대형사업장 상공에서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황산화물(SO2) 배출량을 산정하였다(하향식 배출량). 이를 사업장에서 제시한 배출량 자료(상향식 배출량)와 비교한 결과, 항공관측에 바탕을 둔 배출량이 더 많았다. 항공관측에 바탕을 둔 배출량은 석탄화력발전소는 1502.1 kg/hr, 제철소는 2805.5 kg/hr였다. 이는 사업장에서 밝힌 2019년 연평균 배출량보다 각각 2.5배와 2.0배 큰 값이다. 이와 같은 차이가 나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관측에 바탕을 둔 하향식 배출량과 활동도에 바탕을 둔 기존의 상향식 배출량을 산정함에 있어서 보다 면밀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 하향식 배출량의 개선을 위해서는 관측 불확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불확도를 높이는 요소의 하나는 지상에서 항공기가 운행될 수 있는 최저 고도까지 관측을 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불확도를 줄이는 방법은 지상에서 관측을 수행하며, 더 나아가서는 지상과 항공기 관측 최저 고도 사이에서 드론 등의 방법을 통해 관측을 수행하는 것이다. 바람장 역시 관측 및 외삽과 내삽을 이용하여 평면 분포를 구하면 평면에 대한 적분을 이용하여 평면 전체의 플럭스를 구할 수 있어 불확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향식 배출량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는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굴뚝의 배출량 자료 정확도 개선과 함께,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배출구의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Effects of acute heat stress on salivary metabolites in growing pigs: an analysis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based metabolomics profiling

  • Kim, Byeonghyeon;Kim, Hye Ran;Kim, Ki Hyun;Ji, Sang Yun;Kim, Minji;Lee, Yookyung;Lee, Sung Dae;Jeong, Jin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319-331
    • /
    • 2021
  • Heat stress (HS) causes adverse impacts on pig production and health. A potential biomarker of HS is required to predict its occurrence and thereby better manage pigs under HS. Information about the saliva metabolome in heat-stressed pigs is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HS on the saliva metabolome and identify metabolites that could be used as potential biomarkers. Growing pigs (n = 6, 3 boars, and 3 gilts) were raised in a thermal neutral (TN; 25℃) environment for a 5-d adaptation period (CON). After adaptation, the pigs were first exposed to HS (30℃; HS30) and then exposed to higher HS (33℃; HS33) for 24 h. Saliva was collected after adaptation, first HS, and second HS, respectively, for metabolomic analysis using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Four metabolites had significantly variable importance in the projection (VIP > 1; p < 0.05) different levels in TN compared to HS groups from all genders (boars and gilts). However, sex-specific characteristics affected metabolites (glutamate and leucine) by showing the opposite results, indicating that HS was less severe in females than in males. A decrease in creatine levels in males and an increase in creatine phosphate levels in females would have contributed to a protective effect from protein degradation by muscle damage. The results showed that HS led to an alteration in metabolites related to energy and protein. Protection from muscle damage may be attributed to the alteration in protein-related metabolites. However, energy-related metabolites showed opposing results according to sex-specif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hormone levels and subcutaneous fat layer. This study had shown that saliva samples could be used as a noninvasive method to evaluate heat-stressed pigs. And the results in this study could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tool as a noninvasive biomarker for managing heat-stressed pigs.

다면적 인성검사 II 재구성판으로 살펴본 주요우울장애 자살 시도자의 심리적 특성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tructured Form)

  • 최지현;박은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MMPI-2-RF를 통해 주요우울장애 환자군 중 자살 시도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입원 및 외래 환자 중 한국판 K-MINI-Plus 5.0을 통해 DSM-IV의 주요우울장애 진단적 준거를 충족시키는 자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C-SSRS를 사용하여 자살 시도군(n=43)과 비시도군(n=64)으로 분류하였고 ANOVA를 통해 두 집단 간 MMPI-2-RF 척도 점수에서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우울 증상의 심각도와 공존질환의 이환 여부가 자살 시도 여부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이를 공변인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ANC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자살 시도군이 비시도군에 비해 효능감 결여(NFC), 대인관계 수동성(IPP), 자살/죽음 사고(SUI)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5). 다만 자살/죽음 사고(SUI) 척도의 경우 우울 증상과 공존질환의 이환 여부를 통제한 이후에는 두 집단 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p<0.10).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MPI-2-RF가 중등도 이상의 증상 심각도를 지닌 주요우울장애 집단에서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될 위험이 있는 환자를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