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발육성 고관절 탈구에서의 관절 조영술 -고관절 조영술과 수술소견과의 비교- (Arthrographic Evaluation in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 Comparison Between Hip Arthrogram and Operative Findings -)

  • 김세동;이윤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63-274
    • /
    • 1998
  •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관절 조영술은 수술전에 미리 유용한 정보를 줌으로써 수술전 계획을 세우고 수술을 체계적으로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고관절 조영술은 도수정복 혹은 수술적 정복전에 필수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고관절 조영술은 비구 관절순, 원형인대의 평가에 매우 유용하였으며, 횡비구인대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었다. 3. 고관절 조영술은 단순 방사선 촬영에 비하여 중앙연각의 평가에 훨씬 유용하고 실제 병리적 소견에 합당한 정보를 주었다.

  • PDF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또는 탈구 환자의 수술후 물리치료 (A Case Study of Physical Therapy for Developmental Dysplasia or Dislocation of the Hip After Operation)

  • 박소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7-86
    • /
    • 1999
  • Developmental dysplasia or dislocation of the hip is the most pronounced form of a condition in which the femoral heads tends progressively to leave the acetabulum. In the young child the variability of findings and course suggest a spectrum of conditions in which there are a number of common features: restriction of movement, particularly of abduction in flexion; shortening; and abnormal radiology, including a sloping or dysplastic acetabulum and delay in the appearance of the upper femoral epiphysis. It is vital to make the diagnosis of a congenital dislocation as soon after birth as possible. Conservative treatment with an abduction brace before the child run begins to walk is completely adequate, but after the age of 4 even surgical repositioning is difficult and after the age of 7 it is almost impossibl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gain insight into the value of physical therapy of developmental dysplasia or dislocation after operation.

  • PDF

One-stage Hip Reconstruction for Developmental Hip Dysplasia in Children over 8 Years of Age

  • Qadir, Irfan;Ahmad, Saeed;Zaman, Atiq uz;Khan, Chirag Muhammad;Ahmad, Shahzad;Aziz, Amer
    • Hip & pelvis
    • /
    • 제30권4호
    • /
    • pp.260-26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following one-stage hip reconstruction, consisting of open reduction femoral shortening and pelvic osteotomy, for neglected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DDH).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77 hips in 65 patients (46 females and 19 males; 12 had bilateral dislocations), operated at a Ghurki Trust Teaching Hospital in Pakistan between 2013 and 2015. The average age at surgery was $11.02{\pm}3.43$ years. According to the Tonnis classification, there were 10, 14, 22, and 31 patients in grades 1, 2, 3, and 4, respectively. The pelvic procedure utilized in this study was triple osteotomy (47 hips) followed by double and Salter osteotomy (18 and 12 hips, respectively). Postoperative evalu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modified MacKay's scoring system (functional outcomes) and Severin's scoring method (radiological assessment). Results: Postoperatively, there were 38 (49.4%), 19 (24.7%), 14 (18.2%), and 6 (7.8%) hips in Severin grade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odified McKay criteria, there were 22 hips (28.6%) in excellent condition, 44 (57.1%) in good condition, 9 (11.7%) in fair condition and 2 (2.6%) in poor condition. Both patients with poor outcomes had an unstable, painful hip with evid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here, we recommend the single stage procedure of open reduction, femoral shortening and pelvic osteotomy for treatment of DDH in older children with good to excellent functional and radiological outcomes.

보행기의 발달성 고관절 탈구의 치료 (Treatment of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in Walking Age)

  • 김세동;장재혁;이동철;신덕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211-224
    • /
    • 1996
  • 1989년 1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에서 발달성 고관절 탈구로 진단된 9개월-3세 환자중 치료후 1년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16명(17례)을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단시의 연령은 16.4개월 (9-31개월)이었으며, 8례에서 보존적 치료, 4례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5례에서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여 2차로 수술을 시행하였다. 2. Severin의 radiologic grade에 의한 결과는 보존적 치료에서 우수 4례, 양호 3례, 불량 1례, 수술적 치료에서는 양호 2례, 불량 2례이었으며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여 2차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는 우수 2례, 양호 2례, 불량 1례이었다. 3 합병증으로 무혈성 괴사 3례가 관찰되었다. 4.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우수(good)인 경우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불량(poor)인 경우는 도수정복보다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 보행기 연령군의 치료방법의 선택에는 정복시 안정성의 유무, 탈구의 정도,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도수정복은 안정대가 넓고, 정복시 안정성이 있는 경우, 탈구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우수인 경우에 시행한다면 만족스러운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안정대가 좁고, 도수정복시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탈구의 정도가 심하고 고관절 조영술상 도수정복의 정도가 불량인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인 Kabuki 증후군 환아들의 임상적 표현형 및 세포유전학적 양상 (Phenotypic and Cytogenetic Delineation of Six Korean Children with Kabuki Syndrome)

  • 고정민;황정민;김현주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37-44
    • /
    • 2010
  • 목적: Kabuki 증후군은 정신 지체를 동반하는 선천성 다발성 기형 증후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6례의 Kabuki 증후군 증례가 산발적으로 보고 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이 경험한 Kabuki 증후군 환자 6명의 임상 및 유전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이를 외국 문헌들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아주대학교 병원 유전질환 전문센터에서 Kabuki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추적 중인 6명의 한국인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 및 검사 소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6명의 환자 모두가 특징적인 얼굴 모습 및 발달 지연 소견을 보이고 있었고, 손끝의 태아 패드 또한 모든 환자에서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대부분의 환자가 생후 성장 지연(83.3 %) 및 근력 저하(83.3%) 소견을 보였다. 안과적인 이상 또한 흔하게 동반되었는데, 특히 사시(83.3%)가 가장 흔한 안과적 이상 소견이었다. 선천성 심장 기형은 50%의 환자에서 동반되었으며, 골격계통의 증상으로는 짧거나(83.3%) 굽은(50%) 5번째 손가락, 관절의 과신전(50%) 및 고관절 탈구(16.7%) 등으로 다양하였다. Kabuki 증후군의 가족력을 가진 환자는 없었으며, 핵형 분석 및 array CGH를 포함한 세포유전학적 분석에서 Kabuki 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 론: 한국인 Kabuki 증후군 환자들이 보이는 임상 양상은 매우 광범위하며 다양한 신체 기관을 침범하고 있다. 비록 Kabuki 증후군의 임상적특징들이 비교적잘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아직질환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전적 이상은 확실히밝혀지지 않았다. 적절한 질환의 관리및 유전상담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Kabuki 증후군의 자연 경과 및 유전적 배경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