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 of Professionality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아이돌 휴먼브랜드의 특성이 소비자의 아이돌 휴먼브랜드 애착, 모방 욕구, 동일시 욕구와 패션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dol Human Brand's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Idol Human Brand Attachment, Desire to Imitate, Desire to Identify, and Purchase Intention)

  • 황지영;박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9-575
    • /
    • 2021
  • The popularity of K-pop, the development of diverse media and communications, and rapid globalization are increasing consumers' attachment to celebrities. These celebrities, called "Human brand", have a growing impact on consumers. However, research on idol celebrities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teenagers. Furthermore, there are limits to the studies on consumers' attachment to idol celebrities who do not advertise specific products and intention to purchase products which are not advertised but related to the idol human brand.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301 out of 400 adult women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in Kore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ol human brand,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desire to imitate the idol human brand, desire to identify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its fandom community, and th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and AMOS were used.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ol human brand which are trust, professionality, soci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positively influenced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The attachment to the idol human brand positively affected the imitation desire toward the idol human brand, and the identification desire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to identify with its fandom community. Additionally, the desire to imitate and to identify with the idol human brand and its fandom community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경비업법」제·개정에 따른 민간경비의 시대적 구분 (A Study on Period Division According to Overall Revision of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 박수현;김병태;최동재
    • 시큐리티연구
    • /
    • 제58호
    • /
    • pp.195-213
    • /
    • 2019
  • 경비업의 육성 및 발전과 그 체계적 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해 경비업의 건전한 운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76년에 만들어진 「경비업법」은 법의 제정 이후 「경비업법」이 26차례의 제·개정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경비업법」의 제·개정을 통한 민간 경비의 시대적 구분은 크게 3가지 시기로 나눠볼 수 있다. 첫 번째 정착기이다. 1976년~2001년까지 지금의 5가지 업무영역이 완성되는 시기이다. 1976년에 시설경비와 호송경비를 시작으로 1996년 신변보호, 2001년에 기계경비와 특수경비업무가 추가되면서 지금의 5가지 업무형태로 갖추게 되었다. 두 번째 성장기(양적)이다. 2002년~2013년까지 제도적인 기반 위에 양적인 발전을 이루는 시기이다. 국민의 안전의식 증가로 안전서비스의 수요를 바탕으로 각종 문화·체육·예술 행사가 증가하면서 양적인 발전이 일어났고, 더불어 개정을 통한 자본금 하양과 겸업의 가능이 영향을 미쳤다. 세 번째 성장기(질적)이다. 2013년~현재까지 양적인 성장이 둔해지고 질적인 성장을 이루는 시기이다. 양적인 성장기 이후에 성장세는 둔화하였지만, 집단민원현장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자본금의 상향으로 경비업 허가기준을 높이고, 각종 처벌규정의 제도적인 보완, 경비원 신임교육시간의 현실화와 개인 교육 허용 등으로 경비원 직업의 신뢰와 전문성을 회복하려고 하였다.

대학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관한 유형 분석 연구: 내러티브 분석 중심 (The Type and Dimension of a Faculty-Student Interaction: Narrative study focused)

  • 이봉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00-309
    • /
    • 2020
  • 본 연구는 지도교수를 중심으로 한 학생상담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생간 상호작용의 작동원리를 파악하고 유형화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내러티브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생간 상호작용 경험 속에 나타나고 있는 구조적 패턴과 기전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학과소속 지도교수로부터 년 2회 총 6회 이상 학생상담을 경험한 4학년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인터뷰와 현장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Burke(1945)가 내러티브 분석에서 사용한 행위주체, 행위동기, 행위결과를 중심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최종 도출된 상호작용 유형은 주도적 상호작용, 피상적 상호작용, 보은적 상호작용이다. 주도적 상호작용 유형은 학생이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취지향적인 자아성자의 일면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는 유형이다. 반면 피상적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교수와의 교류를 통해 자아성장의 경험이 강하게 피력되지 않고 있는 특성이 있으며, 마지막 보은적 상호작용 유형은 정서지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자아성장의 일면을 강하게 나타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세가지 상호작용 유형을 통해 교수자와 학생 모두 서로 발전시킬 수 있는 모델이 무엇이며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지도교수 중심 학생 상담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사이버 가정교사의 정보 활용능력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Standard for Cyber Teacher)

  • 김철;김정랑;박선주;마대성;정은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83-391
    • /
    • 2009
  • 사이버가정학습체제는 사교육비 절감과 지역간 학력격차 해소, 학생들의 학력수준에 맞춘 수준별 학습실현 등을 통하여 정규학교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궁극적으로는 공교육의 내실화를 목적으로 추진된 이러닝 학습체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가정교사의 직무활동을 분석하고 직무활동에 대한 사이버가정교사 정보활용능력 요소를 도출하여 사이버가정교사 정보활용능력 요소에서 사이버가정교사 정보활용능력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이버가정교사의 직무를 교수 학습, 상담 활동, 과정 운영 및 관리, 전문성 개발로 나누어 구조화 하였다. 이렇게 구조화된 사이버가정교사 직무 수행 활동은 사이버가정교사 정보 활용 능력 기준 요소를 추출하는데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하였다. 둘째, 사이버가정교사의 직무 수행 활동에 기초하여 도출된 정보 활용 능력 요소는 총 53개의 요소로 정리하였으며 교원 ICT활용능력(ISST) 요소에 기초하여 사이버가정교사 정보활용능력기준(ISSCT)을 사이버 가정교사의 정보활용능력 평가기준으로 제시하였다.

  • PDF

치과병의원에서 요구하는 치위생과 졸업생들의 직업능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occupational ability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required of the dental clinics)

  • 김정;엄준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33-64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is aimed to help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to improve their adaptive ability to the field work by letting them know the performing levels required of the job world, by renovating the knowledge-centered curriculum, and by finding out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successfully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asks in the work field. Methods : The survey tool was recompo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eceeding studies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skills, and the survey has been done to 200 dentists in Seoul and Gyunggi provice. Results : 1. As for the job-getting routs, 35.1% of them finds their jobs through the job portal sites, and 21.3% through the recommendation by professors. So we can see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ways. 2. Dental hygiene clinics think that the purpose of their cooperation with the colleges is mainly to secure human resources by requiring the colleges to give field-centered education the colleges through. 3. The clinics for dental hygienic students' field learning have a great power for hiring the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set up a good management system of the clinics for dental hygienic students' field learning in order to reinforce the students' competitive power in getting jobs. 4. The priorities in basic working abilities needed for the task performance are in the order of vocational responsibility, self-managing & develop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5.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those who graduate from dental hygiene school show the following scores by Likert measurement; good personality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2.16(${\pm}.677$), understanding power of major-related knowledge 2.19(${\pm}.723$), field adapting ability 2.31(${\pm}.748$), get-along-with ability 2.32(${\pm}.799$), interpersonal skill 2.42(${\pm}.768$), and self-development ability such as getting certificates 2.43(${\pm}.729$).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e only meaningful factor which influences on their satisfaction measurement has been identified as the professional ability related to the major.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nowledge and skill related to the major are core competencies of able human resources and closely related with the professionality of the job, and so they are very important. However, job basic abilities are also proved to be important, which reinforce the students' activeness, self-regulation, and creativeness, and help them to pursue their lasting growth in their abilities.

  • PDF

회원지원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Mebership)

  • 최수진;양복순;유향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735-744
    • /
    • 2021
  • 본 연구는 진화론적 개념 분석 방법을 이용한 회원지원 개념분석 연구이다. '회원지원', '회원복지', 'professional association', 'membership', 'member benefit'을 주요어로 입력하여 2000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CINAHL, EBSCO등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와 웹사이트를 통해 검색하였다. 기준에 부합한 12개 논문, 4개의 전문직종 협회 자료가 선정되었다. 회원지원 개념의 선행요인은 회원 차원과 협회 차원으로 구분되고, 회원 차원의 선행요인은 회원의 요구, 협회 차원의 선행요인은 전담부서 마련이었다. 회원지원 개념의 속성은 '회원 지지화', '회원 전문화', '회원 연대화'였다. 회원지원 개념의 결과요인도 회원 차원과 협회 차원으로 구분되고, 회원차원의 결과요인은 회원의 만족도 증가, 전문성 강화, 권익 향상이며, 협회 차원의 결과요인은 협회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으로 나타났다. 협회지원에 관한 본 연구의 개념분석 결과는 회원들의 목소리와 요구를 수렴하고, 적절한 회원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협회의 바람직한 회원지원 방향임을 제시하며, 회원들의 의견을 고려한 회원지원 모델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선행 문헌을 토대로 회원지원이라는 개념의 선행요인, 속성, 결과를 밝힘으로써 맥락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새로운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I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물리 탐구 실험 연수를 중심으로 -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ew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teacher - focused on computer simulation inquiry experiments in physics -)

  • 박종원;오희균;김두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53-66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Interactive Physics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수 프로그램의 목적에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 능력의 배양뿐 아니라, 물리개념의 이해와 탐구 기능의 습득, 나아가 과학적 탐구 학습 지도 능력의 향상이 포함되었다. 연수 프로그램은 15시간 동안 실시되었으며, 연수 후 설문지를 통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주요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1년 경력 이상의 많은 교사들도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2) 참여동기가 주로 내적인 동기였으며, 점수와 같은 외적인 동기는 없었다. (3) 연수의 내용 수준이 적절하였고, 연수자들이 모두 연수를 흥미로와 했다. 그러나 시간은 부족한 편이어서, 앞으로 2배 (30시간)정도로 확장할 필요가 있었다. (4) 강사의 전문성과 연수 환경에 대해서는 만족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교육방법의 개선이나 교육자가 의사소통을 원활하지 위한 개선점이 발견되었다. (5) 연수자들은 모두 연수를 만족하였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뿐 아니라, 개념이해나 탐구기능 습득, 나아가 탐구의 지도능력 함양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연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6)대부분의 교사들이 현장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싶고 활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하였다.

  • PDF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 비교 (Comparis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Efficacy of the Gifted Education Teacher by Majoring in Education for the Gif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정진철;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751-76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교수 효능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원 영재교육 전공자 44명과 영재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초등학교 영재교사 56명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전공자의 교과지식, 교수전략, 영재아 이해, 개인효능감과 결과기대감에서 영재교육 미전공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은 영재교사로서의 전문성 인식을 높여주고, 교수효능감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재교육 전공 여부 및 성별에 따른 이원변량분석 결과, 교과지식, 영재아 이해, 개인효능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재교육 전공 여부와 영재지도 경력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수전략과 개인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p<.05). 여교사와 영재지도 경력이 짧은 영재교사는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라 남교사와 영재지도 경력이 오래된 교사에 비해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이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과지식과 교수전략이 개인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로써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은 영재교사의 교과지식과 교수전략의 전문성 신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교수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