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rminants of Farmland Pric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농지실거래가격을 활용한 필지 단위 농지가격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Farmland Price Determinants in Parcel-level Using Real Transaction Price of Farmland)

  • 전무경;이향미;김윤식;김태영
    • 농촌계획
    • /
    • 제28권2호
    • /
    • pp.41-50
    • /
    • 2022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affect farmland pric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farmland over the past decade, and to use thi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price stabilization. To this end, the farmland price model are constructed at the parcel level in the case area (Namwon-si, Jinju-si). The analysis method is based on the Hedonic price function, and the OLS and the quantile regression are used for the parcel level model.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parcel level farmland price model in the case area, the larger the parcel area, the lower the farmland price, and the higher the farmland price outside the agricultural promotion are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ri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special purpose areas, 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showed some differences across the cities. The farmland price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itable for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farmland prices, and are expected to be highly util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flexible variable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시공간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농지가격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armland Price Using Spatio-temporal Autoregressive Model)

  • 이경옥;이향미;김윤식;김태영
    • 농촌계획
    • /
    • 제30권2호
    • /
    • pp.1-11
    • /
    • 2024
  • Farmland transaction price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olitics, society, and the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ultiple factors that affect the farmland transaction price due to changes i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farmland by farmland unit from 2016 to 2020. There are several previous studies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farmland transaction prices by considering spatial dependency. However, in the case of land transactions where the time and space of the transaction affect simultaneously, if only spatial dependence is consider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reflect spatial dependence that occurs over time.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builds a spatio-temporal autoregressive model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spatial and temporal dependencies using farmland transactions in Jinju City as an examp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spatio-temporal dependence in farmland transactions within the previous 30 days. This means that if the previous farmland transaction was carried out at a high price, it has a spatio-temporal spillover effect that indirectly affects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other nearby farmland transactions. The study also found that various location attributes and socioeconomic attribut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armland transaction prices. The spatio-temporal autoregressive model of farmland prices construc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farmland prices in the farmland transaction market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be useful in drawing policy implications for stabilizing farmland prices

중국의 농지유동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hina's Farmland Transfer)

  • 이은화;김한호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1호
    • /
    • pp.23-40
    • /
    • 2018
  •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삼농(三?)'문제(농민, 농업, 농촌)를 국가 최우선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삼농'문제 해결책의 하나인 농지유동은 최근 10여 년간 급속히 성장하였다. 특히 농지유동을 추진함에 따라 농촌경제가 발전하였으며 동시에 농가 생활수준도 크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전포방식 위주의 농지유동유형은 농가의 농지유출 의욕을 저해하여 궁극적으로 대규모 농지유동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농가의 농지유동유형 영향요인과 농지유동가격 결정요인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았다. 첫째, 농가들이 입고방법으로 농지를 유출하도록 지도해야 하고; 둘째, 계약기간을 장기화해야 하며; 셋째, 작물별 농지유동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고; 넷째, 농지유출 농가에 대해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기후변수가 강원도의 농업에 미친 경제적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conomic Relevance of Climate Variables in the Agriculture of Gangwon-do)

  • 정준호;김광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2-205
    • /
    • 2012
  • 본 연구는 기후변수가 논과 밭이라는 경작유형별로 경지면적과 토지가치에 미친 경제적 효과를 강원도의 농업을 사례로 추정하였다. 기후, 지리 및 토양, 사회 경제적 변수들에 대한 패널자료를 1992-2010년 동안 강원도 11개 시군에 대해 구축하고 리카디언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온변수가 논과 밭의 토지가치와 경작면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지구온난화에서 강수량변수보다는 기온변수가 더욱더 중요하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경작지의 토지가치와 경작면적의 결정요인은 논과 밭의 경작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한 개별공시지가 현실화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완산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s of Realization Rate of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 Using One-Way ANOVA - focused on case of Wansan-gu, Jeonju-si -)

  • 민웅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1호
    • /
    • pp.87-105
    • /
    • 2020
  • 정부에서는 공시가격 신뢰성 제고 방안 추진과 현실화율을 높여 공시가격의 정확성·객관성·투명성을 제고해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공시지가에 현 시가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여 개별공시지가 현실화율은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의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RTMS)에 신고된 실거래가격과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의 개별공시지가를 수집하여 개별공시지가 현실화율을 산정하고,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SPSS 25.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개별공시지가 현실화율로 하고 독립변수는 개별공시지가 토지특성조사 항목 중 6개의 토지특성 항목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 실시 후 Scheffe 방식으로 사후검정 하였다. 분석결과, 주거지역, 상업지역 및 농지와 공공용지, 그리고 주상용, 주거용, 임야에서 지가현실화율 평균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상업지역은 주거지역과 녹지지역에 비해 같은 토지이용상황으로 조사되는 토지 유형이라도 가격대가 상승할수록 개별공시지가에 시세가 덜 반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