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ctor size effec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3초

Analysis of calcium phosphate nanoclusters using the TOF-MEIS

  • Jung, Kang-Won;Park, Jimin;Yang, Ki Dong;Nam, Ki Tae;Moon, DaeWo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8.2-228.2
    • /
    • 2015
  • We have developed a TOF-MEIS system using 70~100 keV He+. A TOF-MEIS system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minimize the ion beam damage effect by utilizing a pulsed ion beam with a pulse width < 1 ns and a TOF delay-line-detector with an 120 mm diameter and a time resolution of 180 ps. The TOF-MEIS is an useful tool for interfacial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nano and bio systems. Our recent applications are reported. We investigated the effect with Polyaspartic Acid (pAsp) and Osteocalcin on the initial bone growth of calcium hydroxyl appatite on a carboxyl terminated surface. When pAsp is not added to the self-assembled monolayers of Ca 2mM with Phosphate 1.2 mM, the growth procedure of calcium hydroxyl appatite cannot be monitored due to its rapid growth. When pAsp is added to the SAMs, the initial grow stage of the Ca-P can be monitored so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ir nucleus size can be analyzed. Firstly discovered the existence of 1-nm-sized abnormal calcium-rich clusters (Ca/P ~ 3) comprised of three calcium ions and one phosphate ion. First-principles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clusters can be stabilized through the passivation of the non-collagenous-protein mimicking carboxyl-ligands, and it progressively changes their compositional ratio toward that of a bulk phase (Ca/P~1.67) with a concurrent increase in their size to ~2 nm. Moreover, we found that the stoichiometry of the clusters and their growth behavior can be directed by the surrounding proteins, such as osteocalcin.

  • PDF

치과구내용 X선발생기의 조사통 직경 변화에 따른 선량변화 (Dose Change according to Diameter Change of the Cone for Dental X-ray Apparatus)

  • 안성민;오정환;최정현;신귀순;김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66-270
    • /
    • 2010
  •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법에 의하면 치과 구내촬영용 X선발생기의 경우 조사통의 조사야 크기는 촬영면에서의 최대지름이 7 cm이하가 되게 기준 되어있다. 하지만 실제 두개부에 붙여서 촬영하는 근접촬영이기 때문에 X선 조사면적을 벗어날 염려가 없으며, 구내촬영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디지털 디텍터의 크기도 $3\times4cm^2$의 크기이기 때문에 훨씬 큰 편이며, 근거리 촬영에 따른 환자의 피부선량도 무시할 수 가 없다. 이에 조사통의 지름을 0.5 cm간격으로 줄이며, 환자선량, 해상력 및 화질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조사통 직경이 5 cm가 되어도 사용에 따른 큰 불편이 없으면서 환자선량 감소 및 사진의 대조도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어 정책적으로 검토해볼 사항이라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선형가속기의 소조사면에 대한 빔 자료 측정에서 검출기의 선량 특성 분석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Detectors in Measurement of Beam Data for Small Fields of Linear Accelerator)

  • 구기래;양오남;임청환;최원식;신성수;안우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3호
    • /
    • pp.265-273
    • /
    • 2012
  • 선형가속기를 기반으로 하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와 정위적방사선수술에서는 치료계획시스템의 소조사면에 대한 신뢰할만한 선량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소조사면의 정확한 빔 자료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소조사면의 빔 자료 측정에서 조사면 가장자리에서의 급격한 선량 변화, 측면 전자비평형, 그리고 검출기의 체적 영향으로 인한 적절한 검출기 선택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형가속기의 소조사면에 대한 빔 자료 측정에 있어서 검출기의 선량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검출기는 0.01 cc 부피와 0.13 cc 부피의 이온전리함과 정위적다이오드를 사용하였으며, 빔 자료는 광자선(6 MV와 15 MV)에 대하여 조사면 크기를 $2{\times}2cm^2$에서 $5{\times}5cm^2$까지 변화시켜 각 검출기를 이용하여 깊이선량백분율, 선량출력계수, 그리고 빔측면도를 측정하였다. CC01 이온전리함과 정위적다이오드 검출기를 이용한 $PDD_{20}/PDD_{10}$$2{\times}2cm^2$ 조사면의 경우 6 MV와 15 MV에서 각각 1.02%와 0.12% 차이를 보였다. $3{\times}3cm^2$ 이상의 조사면에서는 각 검출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PDD_{20}/PDD_{10}$의 차이가 6 MV와 15 MV에서 각각 평균 1.15%와 0.71% 이였다. CC01 이온전리함과 정위적다이오드 검출기를 이용한 선량출력계수 측정 결과, $2{\times}2cm^2$ 조사면의 경우 6 MV와 15 MV에서 0.5%와 1.5%이내에서 일치하였다. $3{\times}3cm^2$ 이상의 조사면에서는 각 검출기의 차이가 0.5% 이내이였다. 3개의 깊이에서 측정된 빔측면도의 반음영은 정위적다이오드 검출기의 경우 6 MV와 15 MV에서 각각 평균 2.7 mm와 3.5 mm, CC01 이온전리함의 경우 각각 평균 3.4 mm와 4.3 mm, CC13 이온전리함의 경우 각각 평균 5.2 mm와 6.1 mm이였다. 이를 통해 깊이선량백분율과 선량출력계수 측정 시 $2{\times}2cm^2$ 조사면에서는 CC01 이온전리함과 정위적다이오드 검출기를 $3{\times}3cm^2$에서 $5{\times}5cm^2$ 조사면에서는 각 검출기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조사면에 대한 정확한 빔측면도의 반음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효체적이 작은 CC01 이온전리함과 정위적다이오드 검출기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장파장 적외선 렌즈의 비구면 및 회절면 효과 분석 (Analysis of aspheric and diffractive surface effect for long wavelength infrared lens)

  • 김현수;이동한;김현규;이국환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9-376
    • /
    • 2003
  • 장파장 적외선 영역에서, 비구면 및 회절면을 동시 또는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렌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유효초점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를 100 mm로 고정하고 반시야 각(half field angle)을 5$^{\circ}$에서 30$^{\circ}$까지 5$^{\circ}$간격으로 증가시켰을 때 수치구경 값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렌즈의 광학성능은 장점함수(merit function)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을 근거로 픽셀 크기 45 $\mu$m, 픽셀 수 320${\times}$240검출기를 기준으로 비냉각 열상장비용으로 사용 가능한 F/l.0인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포화 컬럼실험에서 이온강도 변화 및 유기물질 출현에 의한 PVP로 코팅된 은나노 입자의 거동 연구 (Transport behavior of PVP (polyvinylpyrrolidone) - AgNPs in saturated packed column: Effect of ionic strength and HA)

  • 허지용;한종훈;허남국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3-270
    • /
    • 2016
  • Recent Engineered nanoparticles were increasingly exposed to environmental system with the wide application and production of nanomaterials, concerns are increasing about their environmental risk to soil and groundwater system. In order to assess the transport behavior of silver nanoparticles (AgNPs), a saturated packed column experiments were examined.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and a DLS detector was used for concentration and size measurement of AgNPs. The column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solution chemistry had a considerable temporal deposition of AgNPs on the porous media of solid glass beads. In column experiment, comparable mobility improvement of AgNPs were observed by changing solution chemistry conditions from salts (in both NaCl and $CaCl_2$ solutions) to DI conditions, but in much lower ionic strength (IS) with $CaCl_2$. Additionally, the fitted parameters with two-site kinetic attachment model form the experimental breakthrough curves (BTCs) were associated that the retention rates of the AgNPs aggregates were enhanced with increasing IS under both NaCl and $CaCl_2$ solutions.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Xanthine Derivatives on Single and Mixed-Template Imprinted Polymers

  • Wang, Dexian;Hong, Seung-Pyo;Row, Kyu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3호
    • /
    • pp.357-360
    • /
    • 2004
  • We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molecular imprinted polymers (MIPs), using single templates (pentoxifylline, caffeine and theophylline) and mixed-templates (pentoxifylline-caffeine, pentoxifylline-theophylline and caffeine-theophylline). The MIPs were prepared with methacrylic acid (MAA) as the monomer, ethylene glycol dimetharylate (EGDMA) as the crosslinker and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the initiator. The obtained polymer particles (particle size after grinding was about 25-35 ${\mu}$m) were packed into a HPLC column (3.9 mm i.d. ${\times}$ 150 mm). The selectivity and chromat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IPs were studied using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0.8 mL/min. UV detector wavelength was set at 270 nm. Different single template MIPs showed different molecular recognitions to the templates and the structurally analogues, according to the rigidity and steric hindrance of the compounds. Recognition was improved on the mixed-template MIPs as a result of the cooperation or sum effect of the templates, whereas on the pentoxifylline-theophylline imprinted polymer, the highest selectivity and affinity were obtained. Separations of the test compounds on different polymers were also investigated.

신호교차로의 정지선 검지기를 위한 수동형 적외선 검지기 알고리즘 개발(점유시간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Passive Infrared Detector Algorithm for the Stop-line Detector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 정석민;이승환;김남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25-40
    • /
    • 2003
  • 본 논문은 신호교차로의 정지선 검지기를 위한 수동형적외선 검지기의 검지알고리즘의 개발이다 신뢰성 있는 교통상황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수동형 적외선 검지기의 기존검지영역($1.8{\times}4.0m$)에 세부검지영역을 설정하여 신호교차로에서 교통상황정보(교통량, 점유시간, 비점유시간)를 수집하였다. 기존검지영역($1.8{\times}4.0m$)의 수동형 적외선 검지기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수동형 적외선 검지기를 각각 기존PIR과 제안PIR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된 알고리즘은 교통량, 점유시간, 비점유시간, 속도 및 차로변경 유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알고리즘의 평가는 교통량, 점유시간 및 비점유시간으로 한정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의 수행과정과 단계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제안 PIR의 검지영역은 $1.8{\times}4.0m$의 영역에 $1.8{\times}0.6m$ 영역 2개(검지영역 1, 검지영역 3)와 $1.8{\times}1.78m$ 영역 1개(검지영역 2)이 다. (2) 비디오 카메라 촬영자료는 모니터 상에 수동형 적외선 검지기의 검지영역과 동일하게 영역을 설정하여 비디오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3) 검지영역 1과 검지영역 3으로 점유시간, 비점유시간, 속도자료를 수집하고, 검지영역 1, 검지영역 2, 검지 영역 3의 조합으로 차로변경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성 검토 및 알고리즘 평가를 위하여 교통량, 점유시간, 비점유시간에 대한 평균절대편차(MAD), 평균절대비율오차(MAPE)를 정확도의 비교척도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알고리즘을 적용한 제안검지기의 효과는 기존검지기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통량, 점유시간 및 비점유시간은 각각 53$\%$, 40$\%$, 61$\%$의 개선효과를 보였다.

  • PDF

Preliminary Results of Thermal Effects due to Mobile Phones

  • Sik, Yoo-Done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471-473
    • /
    • 2002
  • Public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electromagnetic field (EMF) exposures from mobile phones on human body are increased. Although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EMF exposures on human have been carried out for a long time, it is not proved yet whether the EMF effect is harmful or not. Based on the scientific results by experts, EMF exposure limits have been regulated as a precautionary approach on the assumption that the EMF effect may be harmful. It is well known that absorbed EMF can be transformed into heat within biological tissues and that thermal effects are related with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distribution. However, the relativ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the energies are not well defined. Although there is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the thermal effects, most of them come from animal and in vitro studies.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analyze the EMF absorption model while the actual temperature in the human body has been rarely measured. Temperature changes on the face of a healthy male volunteer were studied. A digital mobile phone of 1.8GHz was used. A digital infrared imaging system (IRIS-5000, Medicore, Seoul, Korea) was applied to take infrared pictures of the face every minute while the volunteer talked over the mobile phone for 20 minutes. The specification of the imaging system was as follows: Temperature resolution = 0.1$^{\circ}C$; Range of temperature measurement = 17~40$^{\circ}C$; Pixel size = 0.9mm ${\times}$ 0.9mm; Frame time = 2.6s; Active temperature of detector = 77$^{\circ}$K. The result showed that temperature of the ear region was increased during the phone call and the region of the temperature increase on the face was expanded as the phone call time increased.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 rise analytically and quantitatively.

  • PDF

유방전용감마카메라에서 유방 보형물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Effect of the Image Applying to Breast Implants in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 이주영;이태수;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1호
    • /
    • pp.33-38
    • /
    • 2018
  • There are limits to check the lesion as inserting a breast implant patients. So the application of BSGI based on Nuclear Medicine examination has increased. In this study, therefore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image applying to breast implants in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We utilized Dilon 6800 BSGI scanner and developed the phantom. The self-development phantom was a rectangular shape of $230{\times}190{\times}80mm$ size and had 5 spheres which consisted of diameters of 10, 13, 17, 22, 28 mm in central part. We injected $^{99m}TcO_4$ into the self-development phantom in the proportion of four to one and made each additional phantom filled with 0.9 % sodium chloride, silicon and paraffin. Each additional phantom was placed between detector and self-development phantom. Each image was acquired five times depending on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additional phantom.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ver.18 was applied. In the test of vari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all additional phantoms, as the phantoms which 0.9% sodium chloride, silicon and paraffin increased, the attenuation variation was higher(P<0.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enuation variation and the quality of image for type of the additional phantom. Therefore, if the effect of the image applying to breast implants in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is confirmed, the higher diagnostic value can be achieved.

99mTc-DTPA 신장 동적 검사(Renal Dynamic Scan) 시 동위원소 용량 변화와 Matrix Size 변경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수치 변화 비교 (Comparison of Activity Capacity Change and GFR Value Change According to Matrix Size during 99mTc-DTPA Renal Dynamic Scan)

  • 김현;도용호;김재일;최현준;우재룡;박찬록;하태환
    • 핵의학기술
    • /
    • 제24권1호
    • /
    • pp.27-32
    • /
    • 2020
  • 사구체 여과율은 신 기능의 평가와 신 질환의 경과 관찰에 중요한 지표다. 현재 임상에서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와 99mTc-DTPA을 이용해서 계산하는 검사가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Gates 공식이 발표된 이후, 99mTc-DTPA Renal Dynamic Scan 검사시 이를 적용해 GFR을 감마카메라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Gates 공식을 적용해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할 때 동위원소의 용량 변화, Matrix Size 변경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원에서 99mTc-DTPA Renal Dynamic Scan 검사를 받은 성인 환자 5명 (환자나이 = 62 ± 5, 남자 3명, 여자 2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99mTc-DTPA 15 mCi를 환자의 정맥에 순간 주사 후 21분간 동적 영상을 획득하였다. Activity, Matrix Size 변화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을 평가하기 위해 2-3분 구간의 양쪽 신장과 조직에 관심 영역을 설정 후 총 계수를 측정하였다. Detector와 Table 간의 거리는 30cm로 유지하였고, 동위원소의 용량 변화 평가를 위해 Pre Syringe(PR)의 용량을 15, 20, 25, 30 mCi로 설정하였고, Post Syringe(PO)의 용량을 1, 5, 10, 15 mCi로 각각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Matrix size를 32 × 32, 64 × 64, 128 × 128, 256 × 256, 512 × 512, 1024 × 1024로 변경하여 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Matrix Size에서 동위원소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사구체 여과율의 차이는 최대 52.95%에서 최소 16.67%로 점차 감소하였다. Matrix size 변화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 값은 128에서 256, 256에서 512, 512에서 1024로 변경 시 2.4%, 0.2%, 0.2%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32에서 64, 64에서 128로 변경 시 54.3 %, 39.43%로 GFR 값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사용 중인 256 Matrix, Pre syringe 15 mCi의 GFR 값을 기준으로 32 Matrix, Pre Syringe 15 mCi, Post Syringe 1 mCi 조건에서 82%로 가장 큰 차이가 발생하였고, 64 Matrix, Pre Syringe 30 mCi, Post Syringe 15 mCi의 조건에서 0.2%로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을 통해 99mTc-DTPA Renal Dynamic Scan에서 Gates 공식을 이용해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할 때, 동위원소의 용량과 Matrix Size 변화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 측정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각 병원에서 이를 적용해 GFR을 측정할 때 적절한 Parameter를 적용해서 검사의 유용성을 높아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