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ailed soil map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1초

HWSD와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유출해석시 토양 매개변수 특성 비교 평가 (Soil Related Parameters Assessment Comparing Runoff Analysis using Harmonized World Soil Database (HWSD) and Detailed Soil Map)

  • 최윤석;정영훈;김주훈;김경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4호
    • /
    • pp.57-66
    • /
    • 2016
  • Harmonized World Soil Database (HWSD) including the global soil information has been implemented to the runoff analysis in many watersheds of the world. However, its accuracy can be a critical issue in the modeling because of the limitation the low resolution reflec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in a watershed.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assess the effect of HWSD in modeling by comparing parameters of the rainfall-runoff model using HWSD with the detailed soil map. For this,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GRM) was employed in the Hyangseok watersh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of two soil maps in the rainfall-runoff model are able to well capture the observed runoff. However, compared with the detailed soil map, HWSD produced more uncertainty in the GRM parameters related to soil depth and hydraulic conductivity during the calibrations than the detailed soil map. Therefore, the uncertainty from the limited information on soil texture in HWSD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calibration of a rainfall-runoff model.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태백산국립공원의 사면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of Taebaeksan National Park using Detailed Soil Map)

  • 김영환;전병희;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65-72
    • /
    • 2019
  • 한국은 국토의 64%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산지재해에 취약한 지형적 특성을 가진다. 연구대상지역인 태백산국립공원 당골유역은 탐방로 대부분이 급경사지와 인접해 있어 집중호우 시 산사태와 토석류에 취약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론적 분석방법인 사면안정성 모델을 이용하여 사면재해 발생예측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모델의 매개변수는 정밀토양도의 토양분류에 따라 토질의 단위중량, 유효점착력, 흙의 내부마찰각, 유효토심, 지표경사 등을 이용하였고 1 m격자의 DEM을 바탕으로 사면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면안정성평가 분석결과 지하수/ 유효토심과의 비가 1.0에 가까워질수록 위험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립공원 하류지역의 민가와 상업시설 상당수가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ffective Precipitation using Detailed Soil Map)

  • 김경탁;최윤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
    • /
    • 2004
  • 유역의 유출량을 계산하는 유출모의를 위해서는 직접유출에 기여하는 강우량인 유효강우량을 산정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SCS CN방법을 이용하여 유효강우량을 산청하기 위해 필요한 유역의 지형자료와 토지피복도 및 토양도 중 정밀토양도의 이용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밀토양도를 SCS CN방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SCS 수문학적 토양군으로의 재분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토양도를 SCS의 수문학적 토양군으로 분류할 때 허기술과 정정화(1987)의 분류기준과 정정화 등(1995)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은 IHP 시범유역인 위천 유역과 평창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유출모의는 HEC-1을 이용하였으며 지형인자의 계산은 WMS v6.1을 사용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 정밀토양도의 분류방법에 따른 유출모의 결과의 차이는 유역에 따라서 달리 나타날 수 있으나, 정정화 등(1995)이 제시한 기준에 의해서 분류된 정밀토양도를 이용할 경우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두 지역에서 모두 실측치에 좀더 근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IS를 이용한 경지정리 토양처리 분석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oil Analysis System for Land Readjustment Using GIS)

  • 이주승;고홍석;이소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3-19
    • /
    • 2004
  • 현재까지 경지정리 조사설계를 위한 토양조사결과 처리, 토양도 제작 분석 및 그에 따른 적절한 건설기계 선정은 모두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러한 작업을 전산화하였다. 다양한 토양 분포 양상을 띠는 산간지역경지정리 조사설계 지구의 현장조사 및 실내분석 시험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기본도와 주제도를 작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대상지역의 경지정리시 사용되는 적절한 건설기계 선정방안을 제시하고 기존의 수작업 내용과 비교 검증하였다.

  • PDF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I) :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 (Application of GIS for Runoff Simulation in Ungaged Basin(I): Selection of Soil Map and Landuse Map)

  • 김경탁;심명필;선우중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63-176
    • /
    • 1999
  • GIS기법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수문지형정보는 기존 주제도의 선정, 사용된 알고리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도 및 토지이용도의 선정에 따른 유출수문곡선번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미계측 유역의 강우유출모의에 효과적인 GIS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효강우량 산정에 필요한 GIS 공간자료(개략토양도, 정밀토양도, 토지이용계획도,위성영상)를 구축하였다. 미국 토양보존국(SCS)의 유출곡선번호(runoff curve number; CN)방법의 적용을 위한 수문학적 속성의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SCS CN값 산정을 위한 GIS 공간자료의 선정에 따른 유출응답특성을 검토하였다. 실측 수문곡선과의 검증을 통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강우유출모의에서 GIS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S CN값을 산정하기 위한 GIS 공간자료로서는 정밀토양도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atistically estimated storage potential of organic carbon by its association with clay content for Korean upland subsoil

  • Han, Kyung-Hwa;Zhang, Yong-Seon;Jung, Kang-Ho;Cho, Hee-Rae;Seo, Mi-Jin;Sonn, Yeon-Kyu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353-359
    • /
    • 2016
  • Soil organic carbon (SOC) retention has gradually gotten attention due to the need for mitigation of increased atmospheric carbon dioxide and the simultaneous increase in crop productivity. We estimated the statistical maximum value of soil organic carbon (SOC) fixed by clay content using the Korean detailed soil map database. Clay content is a major factor determining SOC of subsoil because it influences the vertical mobility and adsorption capacity of dissolved organic matter. We selected 1,912 soil data of B and C horizons from 13 soil series, Sangju, Jigog, Jungdong, Bonryang, Anryong, Banho, Baegsan, Daegog, Yeongog, Bugog, Weongog, Gopyeong, and Bancheon, mainly distributed in Korean upland. The ranges of SOC and clay content were $0-40g\;kg^{-1}$ and 0 - 60%, respectively. Soils having more than 25% clay content had much lower SOC in subsoil than topsoil, probably due to low vertical mobility of dissolved organic carb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OC storage potential of upland subsoil, performed using 90%, 95%, and 99% maximum values in cumulative SOC frequency distribution in a range of clay content, revealed that these results could be applicable to soils with 1% - 25% of clay content. The 90% SOC maximum values, closest to the inflection point, at 5%, 10%, 15%, and 25% of clay contents were $7g\;kg^{-1}$, $10g\;kg^{-1}$, $12g\;kg^{-1}$, and $13g\;kg^{-1}$, respectively. We expect tha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OC maximum values for different clay contents could contribute to quantifying the soil carbon sink capacity of Korean upland soils.

정밀토양도와 GIS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 예측 분석 (Numerical Modeling for the Detection of Debris Flow Using Detailed Soil Map and GIS)

  • 김판구;한건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43-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SINMAP 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에 대한 예측기법을 보여준다. 기존의 연구들은 토석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서 일부 토질시험 결과를 적용한 단일보정영역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대상유역의 토질 특성을 세분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정밀토양도와 토양통별 토질강도정수(c, ${\phi}$)를 이용하여 다중보정영역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과정에서 토질은 토양침식성 인자(K)를 이용하여 1) 자갈 및 자갈질 흙, 2) 모래 및 모래질 흙, 그리고 3) 실트 및 점토질의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시점을 알고 있는 경우에만 T/R의 추정이 가능한 기존의 방법 대신 고도평균값을 이용하는 T/R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방법과 제안방법을 실제 토석류가 발생한 봉화군 서벽 1리에 적용하여 산정된 T/R 값들은 거의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석류 발생지역 예측을 위한 방법론은 전국적인 토석류 발생위험 대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TENTIAL OF HYPERSPECTRAL DATA FOR THE CLASSIFICA TION OF VITD SOIL CLASSES

  • Kim Sun-Hwa;Ma Jung-Rim;Lee Kyu-Sung;Eo Yang-Dam;Lee Yong-Wo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221-224
    • /
    • 2005
  • Hyperspectral image data have great potential to depict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biophys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materials, which are not usually available with multispectral data. This study aims to test the potential of hyperspectral data for classifying five soil classes defined by the vector product interim terrain data (VITD). In this study, we try to classify surface materials of bare soil over the study area in Korea using both hyperspectral and multispectral image data. Training and test samples for classification are selected with using VITD vector map. The spectral angle mapper (SAM) method is applied to the EO-I Hyperion data and Landsat ETM+ data, that has been radiometrically corrected and geo-rectified. Higher classification accuracy is obtained with the hyperspectral data for classifying five soil classes of gravel, evaporites, inorganic silt and sand.

  • PDF

지형, 토양 및 임상정보에 기초한 도시림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formation of topography, soil and forest type)

  • 이우균;손요환;송철철;정기현;김윤경;류성렬;김현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3호
    • /
    • pp.61-76
    • /
    • 1999
  •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urban forest, a variety of informations on urban forest needs to be accurately measured and effectively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e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with reference to GIS and making it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urban forests. A detailed forest type map were constructed with the help of aerial photograph and terrestrial inventory. A geographical map in terms of slope, aspect and altitude were also prepared by Digital Elevation Model(DEM). A soil type map containing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made through soil analysis. These thematic maps which contain informations on forest type, geography and soil were digitalized with reference to GIS, and an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of user interface were developed. With the help of this urban forest management system, various spatial and attribute informations which need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ould be easily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es in relation to urban forest.

  • PDF

경지정리 토양처리 지리정보시스템개발 (Development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Soil Map of Land Readjustment)

  • 고홍석;이주승;이소열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5-29
    • /
    • 2001
  • It has been a common practice to use manually processed soil maps in planning of land readjustment.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computerized processing of soil maps. The detailed soil maps were drawn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nalyzed and compared with manually processed maps. The soil maps, in conjunction with a computer program of land readjustment design, can be applied in estimation of soil works appropriate for the given soil condition, and also in selecting the efficient construction equipments. The study results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s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an be used effectively in preparing soil maps for design of land readjus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