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tination Selection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2초

상품 개발을 위한 의료관광객의 선택 의도 분석 - 인터넷 정보 원천 기반 (Behavioral Intention of Health Tourists for developing the product - Based on Internet Information)

  • 김민철;부창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85-394
    • /
    • 2013
  • 최근 의료시장이 글로벌화 되면서 인터넷 정보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정보를 갖고 의료관광 추구 편익 요인들이 관광 브랜드 자산 요인을 통하여 의료관광지 선택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가진 연구 모형을 갖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 및 미용 추구가 인지 및 품질 매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서비스 및 자연 추구가 인지 및 품질 매개 요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체험 추구가 인지 및 품질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인지 및 품질 매개 요인은 최종 종속 요인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가설 결과를 통하여 제주 지역 내 의료관광을 육성하는 정책자 입장에서는 기존에 제주지역이 지니고 있는 서비스와 인지도의 향상의 중요성을 감안하고, 이에 기반을 둔 의료관광 상품 개발에 기본적 근간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선행 복호 정보를 활용한 버퍼기반 연쇄적 중계 기법 (A Buffer-Aided Successive Relaying Technique with a Priori Decoding Information)

  • 이병수;정방철;반태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75-280
    • /
    • 2016
  • 본 논문은 버퍼가 장착된 복수개의 중계기가 존재하는 연쇄적 데이터 중계 네트워크에서 각 중계기가 이미 복호에 성공한 정보를 활용하여 인접 중계기로부터의 간섭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중계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버퍼기반 중계 선택기술에서는 송신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중계기와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중계기를 각각 하나씩 선택한다. 그러나 제안된 중계 기법에서는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중계기가 선택된 후 나머지 모든 중계기들은 송신단으로부터 도착한 신호의 복호를 시도하고 복호에 성공한 모든 중계기들은 자신의 버퍼에 복호된 신호를 저장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자신이 데이터를 전송했을 때, 자신의 신호가 수신단에 성공적으로 도착하면서 동시에 송신단으로부터 도착한 신호 복호에 성공하는 중계기의 수를 최대화하는 중계기가 선택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중계기 선택 방식이 기존 중계기 선택 기법에 비해 훨씬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한다.

무선 Ad Hoc 네트워크을 위한 위치정보 기반 에너지 고려 라우팅 프로토콜 (Power Aware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Ad Hoc Network)

  • 이병건;윤원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7호
    • /
    • pp.62-6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무선 ad hoc 네트워크를 위한 위치정보 기반 에너지 고려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기존의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GPSR)에서는 특정 노드에 트래픽이 부과되어 그 노드의 배터리 소모가 커지는 문제와 void 상황에 대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Power Aware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PAGPSR) 프로토콜은 목적지까지 경로 설정 시 에너지 정보와 위치기반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기존 GPSR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 홉을 설정할 때에 두 가지 사항 즉, 에너지 잔량과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다음 홉을 설정하게 되고 void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에 제안하는 Limited-Flooding 방식을 택하여 다음 홉을 설정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ns-2를 사용하였으며, 성능 분석을 통해 GPSR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수명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협력통신에서 SEP 기반의 선택적 릴레이의 BER 성능 (BER Performance of SEP-based Selection Relaying in Cooperative Communications)

  • 공형윤;최대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1호
    • /
    • pp.83-88
    • /
    • 2009
  • 선택적 릴레이는 일반적으로 신호대잡음비(SNR)를 평가하여 재전송을 결정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릴레이에서 instantaneous 노이즈를 고려하지 않게 되므로 릴레이에서 오류가 있는 신호를 재전송할 위험이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목적지에서의 심볼 검출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신된 심볼의 신뢰성을 위해 SNR 대신 새로운 심볼에러확률(SEP)를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는 제안한 SEP-based SR이 릴레이의 위치와 문턱 값에 상관없이 기존의 SNR-based SR에 비해 좋은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ooperative Relaying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Secondary Spectrum Access

  • Dai, Zeyang;Liu, Jian;Long, Kep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10호
    • /
    • pp.2455-2472
    • /
    • 2012
  • Although underlay spectrum sharing has been shown as a promising technique to promote the spectrum utilizat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CRNs), it may suffer bad secondary performance due to the strict power constraints imposed at secondary systems and the interference from primary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wo-phase based cooperative transmission protocol with the interference cancellation (IC) and best-relay selection to improve the secondary performance in underlay models under stringent power constraints while ensuring the primary quality-of-service (QoS). In the proposed protocol, IC is employed at both the secondary relays and the secondary destination, where the IC-based best-relay selection and cooperative relaying schemes are well developed to reduce the interference from primary systems. The closed-form expression of secondary outage probability is derived for the proposed protocol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ith a guaranteed primary outage probability, the proposed protocol can achieve not only lower secondary outage probability but also higher secondary diversity order than the traditional underlay case.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협력통신을 위한 도움노드 선정방법 비교연구 (Comparison Study of Helper Node Selection Schemes of Cooperative Communications at Ad Hoc Networks)

  • 장재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9-7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애드혹 무선 네트워크에서 채널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는 협력통신 기법에서 도움노드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송수신 노드가 RTS/CTS 제어 프레임을 서로 교환한 이후에 도움노드를 선정하는 사후선정 기법을 채용한 참고문헌 연구결과를 컴퓨터 모의실험을 사용하여 성능비교를 수행하기 위해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성능평가 척도는 시스템 처리량과 채널 액세스 지연시간을 사용하였으며, 통신노드는 모두 지정된 통신영역 내에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모델을 사용하였다. 성능비교와 장단점 분석을 통해 취합된 결과는 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도움노드 선정기법을 설계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laying Protocols and Delay Analysis for Buffer-aided Wireless Powered Cooperative Communication Networks

  • Zhan, Jun;Tang, Xiaohu;Chen, Qingch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8호
    • /
    • pp.3542-3566
    • /
    • 201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buffer-aided wireless powered cooperative communication network (WPCCN), in which the source and relay harvest the energy from a dedicated power beacon via wireless energy transfer, then the source transmits the data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relay. Both the source and relay are equipped with an energy buffer to store the harvested energy in the energy transfer stage. In addition, the relay is equipped with a data buffer and can temporarily store the received information. Considering the buffer-aided WPCCN, we propose two buffer-aided relaying protocols, which named as the buffer-aided harvest-then-transmit (HtT) protocol and the buffer-aided joint mode selection and power allocation (JMSPA) protocol, respectively. For the buffer-aided HtT protocol, the time-averaged achievable rate is obtained in closed form. For the buffer-aided JMSPA protocol, the optimal adaptive mode selection scheme and power allocation scheme, which jointly maximize the time-averaged throughput of system, are obtained by employing the Lyapunov optimization theory. Furthermore, we drive the theoretical bounds on the time-averaged achievable rate and time-averaged delay, then present the throughput-delay tradeoff achieved by the joint JMSPA protocol. Simulation results validate the throughput performance gain of the proposed buffer-aided relaying protocols and verify the theoretical analysis.

Energy-efficient Buffer-aided Optimal Relay Selection Scheme with Power Adaptation and Inter-relay Interference Cancellation

  • Xu, Xiaorong;Li, Liang;Yao, Yingbiao;Jiang, Xianyang;Hu, Sanq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1호
    • /
    • pp.5343-5364
    • /
    • 2016
  • Considering the tradeoff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outage behavior in buffer-aided relay selection, a novel energy-efficient buffer-aided optimal relay selection scheme with power adaptation and Inter-Relay Interference (IRI) cancellation is proposed. In the proposed scheme, energy consumption minimization is the objective with the consideration of relay buffer state, outage probability and relay power control, in order to eliminate IRI. The proposed scheme selects a pair of optimal relays from multiple candidate relays, denoted as optimal receive relay and optimal transmit relay respectively. Source-relay and relay-destination communications can be performed within a time-slot, which performs as Full-Duplex (FD) relaying. Markov chain model is applied to analyze the evolution of relay buffer states. System steady state outage probability and achievable diversity order are derived respectively. In addition, packet transmission delay and power reduction performance are investigated with a specific analysi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other relay selection schemes in terms of outage behavior with power adaptation and IRI cancellation in the same relay number and buffer size scenario. Compared with Buffer State relay selection method,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ransmission delay significantly with the same amount of relays. Average transmit power reduction can be implemented to relays with the increasing of relay number and buffer size, which realizes the tradeoff between energy-efficiency, outage behavior and delay performance in green cooperative communications.

백두대간권 개발을 위한 여행지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Baekdudaegan)

  • 김태동;구지현;이석준;최아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30
    • /
    • 2016
  • 백두대간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 지역을 방문하는 국민들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고 낙후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백두대간권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하여 전국의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여행지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의 요인을 분석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그룹을 구분하고 그룹별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에 따라 그룹을 구분한 결과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에 따라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할수록, 환경요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환경요소가 여행지를 선택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며, 이러한 선택속성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력 제한된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협력 다이버시티를 위한 전력인지 릴레이 선택 알고리즘 (Power-aware Relay Selection Algorithm for Cooperative Diversity in the Energy-constrained Wireless Sensor Networks)

  • 고상;박형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A호
    • /
    • pp.752-75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간단히 한국통신학회의 논문작성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합니다. (스타일-요약본문)협력 다이버시티 기법은 다중경로 페이딩 환경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다. 이 기술을 에너지 제한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요소인 네트워크 수명을 고려한 릴레이 선택과 전력 할당 방법 등이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해 노드의 잔여전력을 고려한 새로운 다중 릴레이 선택 및 전력 할당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2단계로 구분 되어 있다. 먼저 각 노드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릴레이 후보노드를 선택 한 후 각 노드의 잔여전력을 고려하여 전력을 할당함으로써 전체 송신전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네트워크수명을 극대화 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AF(Amplify and Forward) 릴레이 모델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방식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더 높은 네트워크 수명을 가지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