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Management

검색결과 16,085건 처리시간 0.041초

Using Features as the Knowledge Carrier for Cross Company Collaboration and Change Management - A design methodology for compressing lead-time from plastic part design to mold making

  • Zengzhi, Li;Qinrong, Fu;Feng, Lu Wen;Bin, S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AD/CAM
    • /
    • 제3권1_2호
    • /
    • pp.43-50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in which the knowledge of design intents and change requests is communicated unambiguously cross collaboration partners through features. The domain of application is focused on the plastic part design for enabling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the product design and plastic mold making. The methodology takes the feature-based design approach and allows design features and knowledge to be reused in plastic injection mold design. It shortens the mold design lead-time, reduces mold design efforts, and enables unambiguous and fast design change management between product and mold designers. These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roduct development cycle time.

The New Paradigm of Management in Design Organization: The Reality of Bottom-line Effectiveness in Design Organization's Management Needs

  • Choi, Seung-P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4호
    • /
    • pp.90-97
    • /
    • 2011
  • This study identifies how management theory and philosophy work in conjunction with and support one another as both are critical to understanding leadership concepts and viewing the design organization holistically in term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This paper analyses data from an in-depth single-case study at management in interior design organization in Korea. Two new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way' to achieve the goals of the design organization has been launched. The first wa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and the second a needed new paradigm of management skills.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sign because it can (a) provide an organization with a competitive advantage, (b) improve the way an organizational structure works, and (c) increase the motivation of designers to pursue organizational interests. Moreover, the result of research creates paradigm of thinking that how leaders in the design organization need to focus on innovative and strategic system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enter global markets; a key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strategy to achieve a targeted goal.

오토 레버 인디케이터부의 프로세스 연결 설계 지식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cess-Related Design Knowledge Management for an Auto Lever Indicator)

  • 김석도;김태수;이수홍;고희병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25-928
    • /
    • 2002
  • It is well blown that the product development time in manufacturing industry is critical. A new methodology for a product design knowledge management is required to reduce design errors and to optimize a design process. In this paper, Process-Related design knowledge management and Document Template are introduced to provide a design process to prevent previous design errors and a solution for the desist errors. Also the Document Template is more convenient interface in integrating the design knowledge into a system.

  • PDF

디자인 매니지먼트 교육에서의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Research on Creative Thinking Program in Design Management Education)

  • 오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67-274
    • /
    • 2010
  • 오늘날 경제 환경과 기업 활동은 디자인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으며 디자인교육도 기술적방법과 표현력 중심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런 디자인의 교육적 환경으로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교육프로그램에도 관심과 기대가 높아가고 있다. 디자인 매니지먼트교육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기위해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활동내용을 연도별로 설명하였고, 우리나라 디자인대학과 매니지먼트의 명문교육 기관과의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외국대학의 매니지먼트 디자인 교육은 경영대학원 중심으로 철저한 실무교육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며 기본적으로 리더십교육을 강조하고 있었다.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영역은 창의적 요소와 리더십의 요소가 있으며 리더십은 개인의 리더십과 대인의 리더십이 있으며 인간관계성의 스킬이 리더십의 핵심요소가 된다. 이런 디자인의 리더십은 창의력을 조직 내에서 발생시키고 성장시켜나가는 것이므로 디자인 매니지먼트에서는 창의력개발과 리더십을 분리할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의 창의력 교육은 감성적 기법과 분석적 기법을 통합함은 물론 개인과 그룹의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으로 개발해야 한다. 이런 창의력 향상교육은 우리의 교육과 기업문화에도 활용 될 수 있는 디자인 매니지먼트 교육 프로그램이다.

공공 발주자 역량 향상을 위한 설계관리 지침서 및 절차서 개발 (Development of the Design Management Guidelines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Public Clients)

  • 신규철;박형근;이영호;곽준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43-151
    • /
    • 2011
  • 국내 발주기관에서는 발주자 중심의 설계관리 절차서의 부재로 인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설계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 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건설사업의 설계관리 업무를 위하여 공공 발주자가 각 사업수행 단계에 필요로 하는 설계관리 업무 지침서 및 절차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외 발주기관별 설계관리업무 현황을 분석하였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설계관리업무를 설계관리 지침서 및 표준 절차서를 개발하여 전문가의 검증을 받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공공발주자 역량향상을 위한 설계관리 지침 및 표준절차서'는 설계단계에 따라서 설계관리업무의 구체적인 사항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설계관리 절차서는 업무 단계별로 구분하여 개발됨으로써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검토사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지침서 및 절차서를 통하여 설계용역관리 중 발주 자가 수행해야 할 업무를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발주자와 설계 용역업체 사이의 업무 혼란을 최소화하고, 일관성 있는 업무수행이 가능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한국 주얼리 디자인권 실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Usage of Korean Design Right)

  • 장진희;고승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27-233
    • /
    • 2019
  • 주얼리 기업의 경영에 있어 4차 산업과 디자인권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우리나라 주얼리 산업에 접목함으로서 시대 흐름에 맞는 활용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 주얼리 산업 현황과 디자인권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중심으로 주얼리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4차산업과 디자인권, 경영 마인드, 경영의도에 대해 설문 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주얼리 산업에 종사중인 직업과 향후 희망 직업 모두 디자인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 우리나라 주얼리 산업은 디자인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경영 마인드와 주얼리 산업 경영의 중요요소, 경영 성공 전략으로 모두 디자인이 1순위인 반면, 기술은 마케팅, 자본, 인맥의 요인들 보다 다소 낮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대흐름에 맞는 주얼리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4차 산업 기술의 적극적인 도입과 디자인권을 함께 운용할 수 있는 융합적 경영 사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