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rida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18초

프로이트와 데리다의 애도이론 -"나는 애도한다 따라서 나는 존재한다." (Freud's and Derrida's Theories of Mourning: "I Mourn Therefore I Am")

  • 왕철
    • 영어영문학
    • /
    • 제58권4호
    • /
    • pp.783-807
    • /
    • 2012
  •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Freud's "work of mourning" which mostly appears in his memorable essay "Mourning and Melancholia" and Derrida's theory of mourning which appears in various works such as MEMOIRES for Paul de Man, The Work of Mourning, and others. Freud maintains that the mourner begins to sever emotional ties to the lost object through a labor of memory and eventually completes the work of mourning. It is a "testing of reality" that motivates the mourner to begin to relinquish emotional attachment to the lost object. Derrida, however, challenges Freudian work of mourning by saying that true mourning lies in "respecting the Otherness of the Other." Derrida suggests that Freud's "normal work of mourning" is "unjust betrayal" of the lost object because it "kills" and "devours" the other and thereby makes it part of the self. So he proposes that work of mourning has "to fail in order to succeed": "success fails" and "failure succeeds." There is an enormous, even epistemological, chasm between Freud who states that mourning, "however painful it may be, comes to a spontaneous end" and Derrida who states that "mourning is interminable. Inconsolable. Irreconcilable." and "I mourn Therefore I am." The former is the voice of "testing of reality" and common sense whereas the latter is that of utopian ethical vision. Yet neither seems to get the upper hand and they are kind of forced to maintain an ongoing dialogue with each other, for true mourning seems to lie somewhere in between.

한국영화 검열과 등급분류 제도 변천사에 담긴 비윤리성 탐구 (A Study on Immorality in the Transition of Film Censorship and Rating System in Korea)

  • 정수진
    • 트랜스-
    • /
    • 제2권
    • /
    • pp.39-58
    • /
    • 2017
  • 본 소논문은 자크 데리다의 법과 윤리에 대한 철학들을 바탕으로 정부 검열 시스템에 담긴 한국 영화 정책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군사독재 시대 이후 우리나라의 영화 정책은 독재 정권의 프로파간디를 널리 알리고, 사회 통합과 안정을 내세우며 국가적 목표에 부합한 작품을 보호하는 데에 중점을 맞춰왔다. 그리하여 모든 영화 관련 정책은 정부의 엄격한 통제와 감시 안에 존재했다. 그러한 정책은 단순히 영화 선택의 자유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영역까지 침범한다. 자크 데리다는 정의와 폭력과 법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제기를 해왔다. 데리다의 주장들은 윤리적 고찰과 연결되어 있다. 이 소노문은 데리다의 관점에서 한국 정부의 영화 검열 정책에 담긴 폭력성을 짚어보고 윤리적 검열정책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노자의 미학적 관점으로 본 전통공간의 해체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ace Analyzed by Aesthetic Idea of Lao-tzu)

  • 이종희;김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56-64
    • /
    • 2012
  • This paper has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deconstructive concept through connecting Lao-tzu's theory, the main discourse of East and West, with Derrida's deconstructionism theory. Derrida's philosophical term of differance(diff$\acute{e}$rance) is similar to Tao of Lao-tzu. It is because Derrida emphasized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trying the strategy of overcoming dichotomous thinking by this term. Tao of Lao-tzu also has the relative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concluded by one sole meaning. Like this, Derrida and Lao-tzu are against traditional and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has set Derrida's deconstruction theory and Lao-tzu's thinking as the common viewpoint of this world. And through the phrase of Tao Te Ching which means deconstructive Tao, deconstructive space design vocabulary was derived as mixed no-boundary, shape of no-shape,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The de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ace by case study analysis of Lao-tzu's deconstructive space desig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ot a specific or detailed shape but an unlimited possibility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something else, moving and changing endlessly and has a borderless beauty. Second, it is nothing itself but creates various shapes, as if it exists without shape. Third, it is a relative and unlimited space and pursuits a free form as a non-conceptional shape without any system or value.

  • PDF

데리다의 아카이브 위탁과 죽음충동의 장소 (Derrida's Archives: A Place of Consignment and Dearth Drive)

  • 윤은하
    • 기록학연구
    • /
    • 제81호
    • /
    • pp.133-157
    • /
    • 2024
  • 본 연구는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에서 드러난 아카이브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데리다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근간으로, 아카이브에서 의미가 생성, 소멸되는 과정과 이에 작용하는 무의식적 욕구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아카이브가 단순히 과거의 수동적인 기록보존소가 아닌, 현재와 미래의 기억을 끊임없이 재구성하는 능동적이고 복합적인 장소임을 밝혔다. 본 고에서는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을 근간으로 아카이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긴장과 충돌, 기억의 선택과 배제 과정을 데리다의 위탁권력과 죽음충동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데리다(Jacques Derrida)의 동물 타자 시선에서 본 현대 형상 예술 표현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 Shape Art Expression with an Animal Third Perspective of Jacques Derrida)

  • 이희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299-325
    • /
    • 2018
  • 인류는 오랜 역사에 걸쳐 타자를 만들어내고 그들을 차별, 배제해왔다. '우리'와 '타자'를 구분하는 현대사회의 대립 구조에 대해 데리다(Jacques Derrida)는 그만의 시적 사유를 통해 동물 타자를 향한 인간 존재의 깊은 성찰을 질문한다. 본 논문은 데리다의 "동물, 그러니까 나인 동물(The Animal That Therefore I Am)"을 중심으로 동물 타자의 확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오늘날 동물을 바라보는 현대인의 시선을 통해 '인간-외-동물'의 지위에 관한 메시지를 던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반려동물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인간-외-동물'의 지위에 관한 고찰을 통해 앞으로 우리 사회가 추구해 나가야 할 공생, 공진화의 길에 대한 방식을 제안하고자한다. 데리다는 샤워 후 밖으로 나온 고양이의 집요한 응시 앞에 느꼈던 '수치심'이라는 정념을 통해 동물 타자를 우리에게 불러내고 그리하여 타자의 영역에서 배제되어왔던 기존 담론의 관행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 수치심이라는 정념은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데, 여기서 데리다는 이 수치심을 통해 비로소 '인간'이 되는 경험을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에 연구자는 '인간이 되는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 속의 인간과 자연 속의 동물의 역설을 '발가벗음'의 양가성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모색은 '우리' 공동체의 바깥에 있는 자는 고통 받아도 괜찮은 집단으로 여기는 종차별주의(Speciesism)를 비판하며 인간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동물 그 자체로 보려는 시도이다. 오늘날 동물 타자의 위치를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의 이론 및 제인구달(Jane Goodall), 수잔 손택(Susan Sontag)의 철학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과 동물의 관계, 동물에서 인간으로 인간에서 동물로 향하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데리다의 동물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 논문이 새로운 텍스트로 거듭나 인간중심적 사고의 경직을 완화하고 기존의 이분법적 사유를 탈피하여 인간과 동물 사이의 수평적, 횡단적 관계 시도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히로미 후지이 건축에 나타난 중층(重層)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layered Space in the Architecture of Hiromi Fujii)

  • 배윤천;이강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6-6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layered space utilized as strategy for deconstruction in the architecture of Hiromi Fujii. Although the design of Eisenman and Fujii was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eory of Jacques Derrida, there are many different aspects of architecture. At the same time, Hiromi Fujii could construct his concept of multi-layered space to colligate the academic knowledge of Jacques Derrida, Roman Jakobson and Colin Rowe. This kind of concept for multi-layered space is a critical element to be distinct from the characters between two architects, and it is implied such as an significant concept to analyze the architecture for Hiromi Fujii. This multi-layered space contains interesting and researchable value to understand and to analyze the western architecture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Asian architec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find the meaning to establish an theoretical foundation for being under discussion to the architecture of Fujii through the concept of multi-layered space.

데리다의 환대의 철학과 정치신학 (Derridas Philosophie der Gastfreundschaft und seine politische Theologie)

  • 김진
    • 철학연구
    • /
    • 제95호
    • /
    • pp.59-93
    • /
    • 2011
  • 이 글에서는 자크 데리다의 '환대의 철학'이 정치신학적으로 글로벌 테러리즘을 위한 타당한 해결책이 될 수 있는가를 성찰하고자 한다. 데리다에게 9·11은 '사건'인 동시에 전 지구화 현상으로 치달았던 세계의 자가면역 증상이었다. 데리다는 이 사건이 하이데거의 '사건' 개념과 유사한 구조, 즉 고유한 것이 고유화하면서 동시에 탈고유화 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이로부터 그는 그것이 과거적 모순의 총체가 빚어낸 하나의 사건으로 끝나지 않고 더 큰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 앞에서 전율한다. 그리하여 데리다는 9·11사건과 같은 전 지구적 테리러즘의 완전하고도 절대적인 해체를 위한 가능성 조건에 대한 철학적, 정치신학적 구상을 제시한다. 데리다의 해결책은 '메시아주의가 없는 메시아적인 것'의 실현 요청이다. 이러한 요구는 유럽식 민주주의와 이슬람 연방국가들의 대결 구도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것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종교'의 귀환을 통하여 교의종교의 진리 주장으로부터 자유로운 새로운 종교적 영성의 추구를 통하여 가능할 것이다. 데리다의 새로운 종교는 아브라함적 계시 종교가 중시했던 관용 개념보다 환대 개념을 더 중시한다. 데리다가 요청하는 새로운 종교는 용서할 수 없는 것을 용서할 수 있고, 낯선 이방인을 무조건적으로 환대할 수 있는 열린 종교이다. 그것은 정치적으로 '새로운 유럽 공동체'와 '다른 곶'의 개념으로 변형된다. 그는 이 새로운 세계시민주의 공동체의 이념을 전 지구화의 자가면역 증상인 글로벌 테러리즘의 완전한 해체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지 않으면 안 될 가능성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오리엔탈리즘』 계보학의 해체론적 재해석 "Truths are illusions which we have forgotten are illusions") (진리란 그것이 환상임을 망각하고 있는 착각이다) (Deconstructing the Genealogy of Orientalism in Term of a Supplement)

  • 최수
    • 영미문화
    • /
    • 제17권2호
    • /
    • pp.29-61
    • /
    • 2017
  • Said's Orientalism criticized the European representations on the Middle-East by theorizing orientalism as a discourse. In this text, he explored and criticized the colonial forms of knowledge and language that distorted the image of the colonized. The justification of the discourse of orientalism is derived from the binary system that is originated from Plato which Derrida rejects on the ground that it always privileges one term over the other, that is, colonizer over colonized. Derrida names for this traditional heritage of Western binary system logocentrism which regards logos(the Greek term for speech or reason) as the central principle of language and philosophy, whereas mythos derives its meaning from the logos on the basis of binary oppositions. Thus according to logocentrism, the colonized is merely the defined who can have its meaning from the definers, colonizers. In this paper, utilizing Derrida's a (non)concept called supplement which means both to add on as a surplus and to make up something missing as a mere extra, I propose another alternative interpretation towards the critique of colonial representation by raising internal contradictions in the Platonic dichotomy between logos and mythos embedded in western colonialism discourse, orientalism. I attempt to show that logos(colonizer) and mythos(colonized) is inseparable in itself due to the fact that they exist as supplementary. For this purpose, I demonstrate how colonial binary system constituted and was constituted in terms of language. Through this paper I reinterpret the colonial rationality of privileging 'logos' over 'mythos' by substituting the colonial binary system with the supplement.

철학의 권리와 대화주의 -데리다와 리쾨르 철학의 교양교육 차원에서의 이해 (Right to philosophy and Dialogism)

  • 전종윤
    • 교양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339-367
    • /
    • 2014
  • 이 논문은 프랑스 현대 철학자 자크 데리다와 폴 리쾨르 철학을 통해 교양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교양교육을 보다 풍요롭게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두 철학자의 이론 가운데 특히 '철학의 권리'와 '대화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 개념들을 매개로 교양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데리다와 리쾨르 철학을 활용할 것인가를 밝히고자 한다. 먼저 데리다의 철학의 권리는 신자유주의가 강조하는 효율성과 수익성의 논리를 뛰어넘는 교양교육적 차원에서 중요한 개념이면서 동시에 소위 4Cs(Creativity,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로 불리는 핵심역량의 토대 개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인권(선언)과 비교하여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리쾨르의 대화주의는 오늘날 교양교육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융복합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