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elict fishing gea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폐어구 발생 실태 및 체계적 관리 방향 (Current Problems of Derelict Fishing Gear and Systematic Management Directions)

  • 이정삼;김대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014-102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 minimization of ex-post damage and prevention of the generation of derelict fishing gear which lead to decreased fisheries resources and deteriorated marine ecosystem through ghost fishing and damaging spawning and growth grounds. Current problems related to derelict fishing gear in Korea are lack of reliable data on the generation amount of derelict fishing gear, absence of life-cycl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insufficient supports for derelict fishing gear collection programs and R&D investmen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fishing gear, etc. Thus, this study suggests three basic improvement directions to prevent the generation and minimize the damage of derelict fishing gear. Such improvement directions contain more detailed strategies such as establishment of fishing gear management law and life-cycle management system, strengthening entry regulations on fisheries causing serious ghost fishing problems, increased supports for R&D investment and dissemination of bio-degradable fishing nets, and promotion of voluntary agreements among competing fishermen's groups.

해양쓰레기의 전 지구적 관심과 실행 (World Interest and Activities on Marine Litter)

  • 정노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80
    • /
    • 2009
  • 2006년 UN 총회 이후, 국제사회에서 해양쓰레기에 대한 문제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UN 산하기관인 UN 환경연합/지역해 그리고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뿐만아니라 전세계 최대 해양보전민간단체인 해양보전(OC)에서도 해양쓰레기에 관한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고, 보고서를 통하여 각국정책, 기술, 실천계획등을 발표하고 있다. 해양쓰레기의 국제적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국내 해양쓰레기 정책이 국제사회에 롤 모델로서 위치를 인정받고 있다. 1999년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국내의 해양쓰레기 정책은 중앙정부, 공단 및 협회, 정부출연기관,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만들어낸 작품이기도 하다. 최근 국내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상에 제시되어 있는 해양쓰레기 전문센터의 역할과 함께 국내 해양쓰레기 관리에 있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중앙정부 주도형인 국내 해양쓰레기 정책이 민간주도 그리고 오염원인자 부담원칙이 정립되는 시기까지는 전기관 및 전국민이 해양환경에 애정어린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