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restoration

검색결과 869건 처리시간 0.024초

Ovate Pontic을 이용한 상악 전치부 심미수복 (The Use of Ovate Pontics in the Maxillary Anterior Esthetic Zone: A Clinical Report)

  • 최미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23-29
    • /
    • 2009
  • 1933년 Dewey와 Zugsmith가 처음 ovate pontic을 소개한 이후 1990년대 말부터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Ovate pontic은 심미적이고 위생적인 자연치의 emergence profile을 더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가 상실된 경우 발치 시기부터 ovate pontic의 형태를 가진 레진 임시수복물을 제작해 줌으로서 치간유두를 보존시켜 치간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심미적이고 발음의 이상이 없는 최종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상실부위에서 치간유두의 상실을 최소화하고 자연치와 유사한 emergence profile을 지닌 보철물을 제작하기위해 ovate pontic을 이용하여 처치한 치험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정신지체장애아의 Mineral trioxide aggregate를 이용한 즉일 근관 충전 (ONE VISIT CANAL FILLING BY USING MINERAL TRIOXIDE IN A MENTALLY RETARDED CHILD : A CASE REPORT)

  • 강지예;김종수;김승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9-102
    • /
    • 2011
  • A-12year-old boy visited the clinic with chief complaint of anterior maxillary trauma. He was diagnosed with first degree mental retardation and cerebral disorders. By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intrus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found. The intrusion was not severe, teeth were luxated with a slight force and the prognosis was followed. After the first year, external root resorption was seen radiographically. Due to difficult behavior management, one visit root canal filling with OrthoMTA(BioMTA, Korea) which is known to generate of cementum and periodontal ligament was planned along with general anesthesia. OrthoMTA was filled from the apex to 1-2mm below cervical area and composite resin used for crown restoration. 6 months after, further resorption, discoloration and mobility was not found. This case is currently checked yearly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Locator® sy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using Locator® System on Edentulous Patient)

  • 이상엽;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4호
    • /
    • pp.351-359
    • /
    • 2008
  • 임플란트의 도입으로 악골이 흡수된 무치악 환자의 보철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가 가능해졌다. 특히 하악 무치악 환자의 경우 2개의 임플란트에 의해 유지를 얻는 피개의치가 일반적인 총의치의 대안으로 자리잡았으며 첫 번째로 고려되어야 할 치료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증례는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로서 상악에는 일반적인 총의치, 하악에는 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Locator^{(R)}$ Attachment를 사용하여 수복한 임상과정 및 결과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ARCUS digma I, II system을 활용한 전악수복 증례 (Application of ARCUS digma I, II systems for full mouth reconstruction: a case report)

  • 박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45-350
    • /
    • 2016
  • 전악 재건이 필요한 환자의 진단 과정에서, 환자 고유의 하악 운동을 재현해 내기 위해 환자의 시상과로각과 전방 유도각을 교합기 상에 인기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번 증례에서는 전악 수복이 필요한 환자에게서 ARCUS digma I system을 이용하여 환자 고유의 과로각 채득 후, 기능적으로 알맞은 전치 유도각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합 거상이 적용된 임시치아로 적응하도록 하였다. 그 후 ARCUS digma II system을 활용하여 교합기상에 최종 마운팅하여 보철물을 장착함으로써 심미적이면서도 환자의 고유 과로각에 알맞은 기능적 임상결과를 얻었을 뿐 아니라, 두 시스템간의 비교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복합레진의 색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olor in composite resin)

  • 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4호
    • /
    • pp.271-279
    • /
    • 2011
  • 임상에서 복합 레진을 이용하여 자연치를 재현하는 과정은 매우 어려우며 이를 위해서는 색과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복합 레진은 자연치와 화학적 조성과 미세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광학적 특성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색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색을 측정하는 장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자연치의 색에 대한 분석을 살펴보고, shade tab의 정확도에 대한 평가, 복합 레진의 중합 전후의 색 변화, 수분과 물에 의한 영향, 미백제의 의한 영향 및 투명도, 유백광 성질(opalescence), 형광성(fluorescenc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대주 혹은 지대주 나사 파절이 발생한 임플란트 보철물에서 효과적인 수리 방법 (Repairment of abutment and abutment screw fracture in implant prosthesis: A case report)

  • 김제훈;유진주;김만용;윤준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7-41
    • /
    • 2019
  • 치과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수복에 효과적이고 예측 가능한 치료 방법이다. 하지만 임플란트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합병증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기계적 합병증은 발생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임플란트의 수명이 길어질수록 더 많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임플란트의 가장 흔한 기계적 합병증인 지대주 파절과 지대주 나사 파절의 증례에서 파손된 부위만 재제작하여 파손되지 않은 구성요소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하악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환자에서 중립대 인상을 통한 총의치 수복 증례 (The neutral zone approach for restoration of patient with severe mandibular ridge resorption: A case report)

  • 남궁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5
    • /
    • 2023
  • 심하게 위축된 하악 치조제의 경우, 총의치의 통상적인 기능인상 과정을 통해서는 의치의 적절한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중립대 인상기법을 사용하는 방식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중립 영역은 근육 신경계의 정상적인 구강 기능 동안 입 바깥쪽으로 향하는 혀의 압력과 안쪽으로 향하는 뺨과 입술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영역으로 정의됩니다. 중립 영역 인상을 통해 만들어진 총의치는 유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구치 부위에 적절한 혀 공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공치아 주변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줄어들고 적절한 안면 지지대를 통해 미관이 개선됩니다.

부하순환 하에서 제V급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변연누출에 대한 재접착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REBONDING IN MICROLEAKAGE OF CLASS V RESTORATIONS UNDER LOAD CYCLING)

  • 윤연희;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27-533
    • /
    • 2004
  • 저점도의 레진을 복합레진 수복물 위에 도포하는 것은 미세누출방지와 변연 완전성(integrity) 유지를 위한 한 방법이다. 하지만 장기간 관찰하면, 수복물은 저작압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저점도의 레진으로 수복물 변연부를 재접착(rebonding)하였을 때 저작압에 의한 응력에 견디면서 계속하여 수복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하순환(load cycling) 하에서 제V급 수복물의 미세변연누출에 대한 재접착제(rebonding agent)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40개의 건전한 소구치의 협면에 제V급 와동을 형성하고 제조사의 지시대로 광중합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20개씩 무작위로 나누어 표면전색을 하지 않는 I군과 표면을 산부식 후 재접착한 II군으로 설정하였다. 열순환 후 각 군에서 10개씩의 하위군(A군=No load cycling군, B군=Load cycling군)으로 나누어 이중 B군의 시편에 1 Hz의 속도로 수직력이 4-100N까지 100,000회의 부하순환을 가하였다.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 변연의 미세누출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변연에서는 재접착과 무관하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IA-IIA군, IB-IIB군)(p>0.05). 2. 치은변연의 경우는 부하순환을 하지 않은 군의 경우 재접착을 한 군(IIA군)이 재접착을 하지 않은 군(IA군)에 비해 더 적은 미세누출결과를 보였다(p<0.05). 3. 치은 변연에서 부하순환을 시행한 군의 경우에는 재접착을 한 군(IIB군)과 재접착을 하지 않은 군(IB군)과 유의차가 없는 비슷한 미세누출의 결과를 보였다(p>0.05).

  • PDF

하악 제1, 2대구치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uccess rate of single implant replacing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 정택균;팽준영;조진현;이상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52-260
    • /
    • 2013
  • 연구 목적: 치과 임플란트가 소개된 이후로 단일 치아 상실에 따른 임플란트 수복에 관한 성공적인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임상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의 다양한 부위에 따른 연구들이 있어 왔으나, 교합력이 강한 구치부 특히 하악 구치부에서 단일 임플란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하악의 제1대구치와 제2대 구치 부위에 식립된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해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9년까지 대구광역시 소재의 7개 치과의원에서, 하악 제1, 2대구치에 단일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환자 284명에게 식립된 308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악 제1대구치에 168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고, 하악 제2대구치에 140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이들 임플란트는 식립위치, 환자의 성별, 연령, 임플란트의 직경 및 길이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가, 하악 제2대구치에서는 10개의 임플란트가 실패하였다.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97.6%, 하악 제2대구치에서는 92.9%의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환자의 연령, 성별, 식립방법, 임플란트의 직경 등에 따른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하악 제1대구치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하악 제2대구치 단일 임플란트의 생존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하악 제2대구치 부위의 골질이 좋지 않고, 하악의 해부학적인 구조로 인해 하악 제2대구치 부위에 과도한 교합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복합레진, 자이오머, 컴포머의 열순환 후 압축강도와 미세경도의 변화 (CHANGES OF COMPRESSIVE STRENGTH AND MICROHARDNESS OF COMPOSITE RESIN, GIOMER AND COMPOMER AFTER THERMOCYCLING TREATMENT)

  • 윤미;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8-444
    • /
    • 2010
  • 자이오머는 불소를 유리하는 최근 개발된 광중합 레진 제재이다. 본 실험에서는 복합레진, 자이오머, 컴포머를 이용하여 $5^{\circ}C$$55^{\circ}C$에서 5000번 열순환 후 압축강도와 미세경도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1. 열순환 전.후 모두 압축강도는 복합레진이 가장 높았으며, 자이오머, 컴포머 순으로 낮아졌다. 복합레진은 자이오머, 컴포머와 통계학적으로 유의차를 보였고(p<0.05), 자이오머와 컴포머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2. 열순환 전.후 미세경도는 복합 레진, 자이오머, 컴포머 순으로 낮아졌으며,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차를 보였다(p<0.05). 3. 복합레진, 자이오머, 컴포머는 열순환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미세경도가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이오머는 컴포머보다 높은 미세경도를 보이지만, 복합레진보다 낮은 압축강도와 미세경도를 보인다. 열순환 후 미세경도가 감소하므로 임상적 사용시 물리적 성질에 대한 충분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