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plaque index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4초

칫솔질 교육의 치면 세균막 억제 효과 (PLAQUE CONTROL EFFECT OF TOOTH BRUSHING INSTRUCTION)

  • 유은규;손미연;최성철;김광철;박용덕;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7-25
    • /
    • 2012
  • 좋은 구강 위생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치태 조절은 필수적이며, 가장 보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올바른 칫솔질이다. 그러나 아동들은 올바른 칫솔질을 시행하기 어려워 칫솔질 교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에 내원한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칫솔질 교육의 치태 조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기본 정보를 조사하고 치면 세균막 지수와 치아 및 혀 세정도, 구취 관리도를 측정하는 조사를 총 4회에 걸쳐 시행하여 칫솔질 교육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치면 세균막 지수는 감소하였고(p<0.01), 치아 및 혀 세정도는 증가하였다(p<0.01). 구취관리도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01). 이러한 결과 칫솔질 교육은 구강 내 치면 세균막 제거에 뛰어난 효과를 보여, 아동들의 좋은 구강 위생 환경의 확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칫솔질 교육 후 치면세균막 지수와 수행도의 변화 (Variation in the Index of Dental Plaque Removal and Practice Assessment after Instruction on Toothbrushing)

  • 김기은;안은숙;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0-2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권장하고 있는 회전법이 실천 용이하고 치면세균막 제거에 효과적인지 다른 칫솔질 방법과 비교해 보고, 집단칫솔질교육 후 시간흐름에 따른 효과추이를 확인하고자 임의 추출한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O'leary 지수와 PHP 지수를 구하고 칫솔질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분석은 STATA 11.0을 이용하였다. 회전법과 바스법, 와타나베법의 칫솔질 방법에 따라 O'leary 지수와 PHP 지수 및 칫솔질 수행도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1차부터 3차까지 평균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칫솔질 교육 전인 1차, 칫솔질 교육 2주 후인 2차, 칫솔질 교육 4주 후인 3차의 O'leary 지수, PHP 지수 및 칫솔질 수행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비모수 표본자료에 사용하는 Kruskal-Wallis test를 수행한 결과 O'leary 지수의 경우 칫솔질 교육 전 측정 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2차시기 측정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01). PHP 지수는 1차시기 가장 높게 나타났고, 2차시기 감소하였다가 3차시기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칫솔질 수행도 역시 PHP 지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p=0.0001). 이상의 결과로 회전법이 모든 사람에게 획일적으로 권장할 만한 방법인지 좀 더 다각적인 고찰이 필요하고, 칫솔질 교육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되므로 지속적인 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3% 쑥염 및 0.2% 인진호엑스를 함유한 치약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와 치은염 완화효과에 관한 임상실험연구 (Plaque Removal Effect & Gingival Effect by use of the Dentifrice with Di-methyl-s-curetin and NaCl)

  • 신승철;서현석;홍지숙;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3-142
    • /
    • 2001
  • The authors have studied the 8 weeks clinical examination On 32 patients of age 20s for experimental group and 34 patients of the same ages for control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plaque removal effect and gingival effect by use of the dentifrice contained with the Artemisiae Capillaris extract(dimethylesculetin) and NaCl.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ings: 1. Plaque removal effect is better at the experimental group than at the control group on 2 and 8 weeks(p<0.05). 2. There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on the calculus index and stain index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the 8 weeks experiment(p>0.05). 3. At the 8 weeks experiment, it revealed the less average scores on the PMA index for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 PDF

일반 칫솔과 씹는 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Removal Effects of Dental Plaque from General and Chewing Toothbrush)

  • 김송이;송은영;이유나;정용미;황의선;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05-5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칫솔과 씹는 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현재 출시된 씹는 칫솔이 일반 칫솔의 대용품으로 사용할만한 실용성을 갖추고 있는지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 여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신 질환이 없으며 잔존치아 16개 이상 존재하는 구강상태가 양호한 20대의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칫솔과 씹는 칫솔 사용 후 치면세균막지수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일반 칫솔과 씹는 칫솔의 사용 전 후 치면세균막 감소효과를 비교한 결과, 일반 칫솔의 경우 PHP index는 7.02에서 1.91로 감소하여 치면세균막이 72.79%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씹는 칫솔은 6.72에서 4.08로 감소하여 치면세균막이 39.29%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구강관리용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올바른 구강관리용품 선택을 위하여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흡연청소년의 치아우식경험도 및 구강위생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s Status in Smoking Adolescents)

  • 신선행;김명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97-506
    • /
    • 2009
  • 흡연 청소년의 흡연형태 요인과 구강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10대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지역 소재하고 있는 S병원 건강교육원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에 참석한 일부 중 고등학교 학생 흡연자 156명(남자: 103명, 여자: 50명)과 흡연군과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짝짓기 방식으로 선정한 비흡연군 176명(남자: 64, 여자: 1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 기초구강건강관리, 흡연형태요인,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지료를 수집하였다.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DMFT index, DT index, MT index, FT index, Plaque index, Calculus index를 사용하여 치아 및 구강위생상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방문(p < 0.05), 구강건강 자각적도(p < 0.001), 구강건강관심도(p < 0.01)는 모두 흡연군보다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자기 효능감(p < 0.05),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01), 구강건강지식 모두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우식치수(p < 0.001), 치태지수(p < 0.001), 치석지수(p < 0.001)는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흡연량이 적을수록 우식치수 (p < 0.05), 치태지수(p < 0.01), 치석지수(p < 0.001)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우식치수와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 < 0.01). 6. 흡연량과 치태지수(p < 0.05), 치석지수(p < 0.05)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7. 다변량 분석결과 흡연 청소년의 우식치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5), 치태지수(p < 0.01)이었다. 즉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치태지수가 낮을수록 우식치수가 적었다.

  • PDF

The plaque-removing efficacy of a single-tufted brush on the lingual and buccal surfaces of the molars

  • Lee, Dong-Won;Moon, Ik-Sa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3호
    • /
    • pp.131-134
    • /
    • 2011
  • Purpose: To test the plaque-removal efficacy of a single-tufted toothbrush on the posterior molars compared with a flat-trimmed toothbrush. Methods: Forty-nine subjects were selected. Professional instruction and written brushing instructions were given. After thorough supra-gingival scaling and polishing, all subjects were asked to abstain from oral hygiene procedures for 24 hours prior to the first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to a treatment sequence. The modified Quigley and Hein plaque index was recorded pre- and post-tooth brushing, at 6 surfaces of the posterior molars. After a wash-out period, all the remaining plaque was removed professionally. Twenty-four hours of brushing abstinence was again performed. The plaque index was recorded pre- and post-tooth brushing after the subjects were given the second toothbrush in the cross-over sequence. Results: The percentage reductions in plaque scores achieved with the single-tufted brush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lat-trimmed brush at the maxillary buccal interproximal, marginal and mandibular lingual interproximal site. The other loca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ed that the single-tufted brush c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removal of plaque at some, but not all, sites of the posterior molars.

주관적인 구취인식도와 구강환경에 따른 구취성분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halitosis components following by subjective cognition of halitosis and oral state)

  • 신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63-275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analysis of Halitosis components following by subjective cognition of halitosis and Oral Stat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halitosis prevention and establish a device to efficiently eliminate halitosis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litosis. Methods : 80 adults were participated who visited at the Dental Clinic in Kyoung-gi do, on the period of the March to September in 2010. The obtained results, through the oral examination, halitosis check and interview, Individually, were as followings. Results : According to the ammonia level was a high relationship between sex, CPI, Tongue plaque, DMFT index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otal oral gas level was a relationship between VAS, tongue plaque, DMFT index(p<0.0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Hydrogen sulfide level and Methyl mercaptan was estimated as r=0.534(p<0.01). A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re have been selected dimethyl sulfide and Tongue plaque, Gingival index as factors affecting Bridge, Methyl mercaptan level is as factors affecting Hydrogen sulfide level. Conclusions : 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ontal disease and Ammonia gas component,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methyl mercaptan.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tal oral gas level and oral variables. Such dental caries as the prevention or early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QscanTM을 이용한 노인 구강보건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using QscanTM)

  • 김미;이수영;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5-563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using $Qscan^{TM}$.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arried out by oral health education from January 17 to March 7, 2015. The subjects were 64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had more than one remaining teeth in the anterior teeth and canines living in Hongseong-gun and assigned to 33 control group and 31 intervention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was measured only by $Qscan^{TM}$. The educational effect between two groups were evaluated using oral health behavior, gingivitis index, and plaque index. After Institutional Review Board from Namseoul N University, the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lower plaque index of percent reduc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ingival index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p<0.05),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health behavior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p<0.05). Conclusions: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motivation of $Qscan^{TM}$ was very effective in the comparison of oral health behavior,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

구강관리행동과 구강환경에 의한 구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litosis by Oral Care Behavior and the Oral Environment)

  • 정수진;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29-637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관리행태와의 연관성과 설태지수, 치석, 스케일링 전후의 구강환경에 따른 구취변화를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K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스케일링 실습을 위해 내방한 참여자 130명을 대상으로 설태지수와 구취를 조사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조사대상자에 대하여 설문조사, 설태지수와 치면세균막과 치석정도를 측정한 구강검사, 구취측정 등을 하였다. 그 결과 설태가 구취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설태지수는 흡연과 혀 닦기와 관련이 높았다. 또한 구취는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낮은 수치를 보였고 비외과적 치료인 스케일링을 통해 구취감소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나이와 설태지수가 관련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적절한 구강관리를 실천하여 치태과 설태의 양을 줄이고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받음으로써 구강건강증진은 물론 구취감소의 효과를 얻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