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arch width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different arch widths on the accuracy of three intraoral scanners

  • Kaewbuasa, Narin;Ongthiemsak, Chakre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4호
    • /
    • pp.205-21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ree intraoral scanner (IOS) systems with three different dental arch width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dental models with different intermolar widths (small, medium, and large) were attached to metal bars of different lengths (30, 40, and 50 mm). The bars were measured with a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and used as references. Three IOSs were compared: TRIOS 3 (TRI), True Definition (TD), and Dental Wings (DW). The relative length and angular deviation of both ends of the metal bars from the scan data set (n = 15)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RESULTS. Comparing among scanners in terms of trueness, the relative length deviation of DW in the small (1.28%) and medium (1.08%) arch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RI (0.46% and 0.48%) and TD (0.33% and 0.18%). The angular deviation of DW in the small (1.75°) and medium (1.83°) arches were also significantly greater than TRI (0.63° and 0.40°) and TD (0.55° and 0.89°). Comparing within scanner, the large arch of DW showed better accuracy than other arch sizes (P < .05). On the other hand, the larger arch of TD presented a greater tendency of angular deviation in terms of truenes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trueness between the arch widths of TRI group. CONCLUSION. The different widths of the dental arches can affect the accuracy of some intraoral scanners in full arch scan.

한국인 치열궁구조의 비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TIO OF THE DENIAL ARCH STRUCTURE IN KOREANS)

  • 박재억;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5-173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what proportion is the characteristics in Korean dental arches with normal occlusion. Many others have already indicated Golden proportion in normal dental arches, but have not considered any racial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So the author postulated $(\sqrt{2})^n$ relations in Koreans. The materials were consisted of 134 dental casts with normal occlusion, which have never undergone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procedures. Measurements were made on the arch dimensions using sliding caliper and data were computeriz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width between the distal surfaces of the upper centrals, had $(\sqrt{2})^3$ relation with the width between the buccal surfaces of the upper 1 st premolars in Koreans. 2. The width between the distal surfaces of the lower laterals had $(\sqrt{2})$ relation with the width between the distal surfaces of the lower canines, and had $(\sqrt{2})^2$ relation with the distal surfaces of the upper centrals. 3. The width between the distal surfaces of the lower centrals had $(\sqrt{2})^2$ relation with the width between the distal surfaces of the lower laterals, and had $(\sqrt{2})^3$ relation with the width between the distal surfaces of the upper centrals.

  • PDF

한국인청년남자의 치궁에 관한 계측 (MEASUREMENT OF THE DENTAL ARCH DIMENSION IN KOREAN YOUNG ADULTS.)

  • 김영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3권1호
    • /
    • pp.33-36
    • /
    • 1975
  • To determine the dental arch length and width in Korean yaung adults, various points (shown on Fig 1) were measured by means of Boley gauge on the 124 plaster models which obtained from 2 young men. The measurements value were as follows: A : 36.10㎜ a : 25.53㎜ B : 33.35㎜ b : 28.20㎜ C : 39.80㎜ c : 33.07㎜ D : 43.36㎜ d : 36.36㎜ E : 44.80㎜ e : 39.12㎜ F : 49.11㎜ f : 42.48㎜ G : 59.98㎜ g : 44.92㎜ H : 62.22㎜ h : 57.85㎜ I : 52.66㎜ i : 49.91㎜

  • PDF

치아 크키와 치열궁 폭경이 치아밀집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Dental Crowding to Tooth Size and Arch Width)

  • 황현식;김정태;조진형;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88-496
    • /
    • 2004
  • 본 연구는 치아밀집이 과도한 치아크기에 의해 나타나는지 아니면 좁은 치열궁으로 인해 초래되는지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앵글씨 1급 구치관계를 가지면서 상악 하악 모두 7mm이상의 치아밀집을 나타내는 경우와 정상교합자를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82조(남29, 여53)의 치아밀집 석고모형과 82조(남37, 여45)의 정상교합 석고모형에서 각 치아의 치관 근원심폭경과 협측 및 설측 치열궁 폭경을 측정하고 치아밀집군과 정상교합군 간에 비교한 결과 치관근원심폭경과 치열궁 폭경 모두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아밀집의 기여요인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 치아밀집은 치열궁과 치아크기, 모두에 의해 초래됨으로 치열궁 확장 및 치아발치, 모두가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발치 및 비발치 치료 전후 악궁 폭경의 변화 (Change in arch width in extraction vs nonextraction treatment)

  • 전지윤;김수정;강승구;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20호
    • /
    • pp.65-72
    • /
    • 2007
  • 일반적으로 네 개의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교정치료는 비발치 치료에 비하여 치열궁 폭경을 더 좁게 만들어, 미소시 구각 부위에 어두운 구강 내 공간, 소위 buccal corridor를 형성함으로써 비심미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견해가 있다. 한편 발치 치료는 오히려 하악의 견치간 폭경을 증가시키며,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악궁 폭경의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이 연구는 발치 치료와 비발치 치료 시 악궁 폭경의 변화를 관찰하여 실제적으로 발치 치료가 미소 시 협측 분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전악에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여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를 받은 30명과 비발치로 치료한 30명의 치료 전후 연구 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악궁 폭경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 시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상악의 견치간 폭경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의 견치간 폭경은 유의하게 더 많이 증가하였다. 구치간 폭경 변화는 상악과 하악 치열궁 모두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발치군에서 구치간 폭경이 감소한 반면에 비발치군에서는 구치간 폭경이 증가하였다. 미소시 노출되는 악궁 폭경은 비발치군보다 발치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치열궁 폭경의 축소가 발치 치료 시 당연히 예상되는 결과가 아님을 시사한다.

상하악 전치부 치열궁 형태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하악 전치부 교합관계에 대한 예측 (The new approach to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dental arch forms - The prediction to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occlusal relationship by computer program)

  • 하만희;양훈철;김기태;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43-49
    • /
    • 2002
  • 치아의 형태 이상, 선천결손 등에 의해 손상된 상하악 전치부 치열에서는 교정치료만으로는 적절한 기능 교합관계를 설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후 상하악 전치부 치열에서 어떠한 치료가 필요할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분야와의 협진에도 보다 유리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전의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 교합자를 이용한 견치간 폭경(intercanine width), 치열궁 장경(segment depth)과 치열궁 둘레(arch perimeter)간의 상관관계를 구했으며, 이번에는 이러한 관계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작한 후 손상된 상하악 전치부 치열을 보이는 두 환자에게 이 프로그램을 치료 계획시 적용하여 보았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치료 계획시 필요한 변화량에 대한 정보와 각 변수간 변화(견치간 폭경, 치열궁 장경, 치열궁 둘레)에 따른 전치부 교합관계 변화를 보다 명확히 보여주었다. 추후 악안면 형태에 따른 전치부 치축변화와 치열궁 변화의 관계, 안정성 있는 견치간 폭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전치부에 대한 3차원 occlusogram의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기 Arch Crowding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INCIPIENT ARCH CROWDING IN CHILDREN)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5-208
    • /
    • 1983
  • Widths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olars and the mesio-distal widths of the four anterior teeth were measured on 32 lower and 33 upper dental casts of young adults aged 18-25 yerars. The casts were grouped in five categories-two where no anterior crowding existed, and three in which varying degrees of crowding were present. Subjects with a difference between arch width and anterior tooth widths greater than 4mm in the upper arch, or 10mm in the lower arch, rarely had crowding. As arch width changes very little from age 7 onwards, measurements at this age may be used as a screening mechansim for future arch crowding.

  • PDF

한국인(韓國人) 안면(顔面) 및 구강내(口腔內) 해부학적(解剖學的) 기준점(基準點) 측정(測定)과 垂直高經(수직고경)과의 관계(關係)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BETWEEN FACIAL AND ORAL ANATOMIC LANDMARK AND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ADULTS)

  • 박숙현;허성주;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guides of establishing vertical dimension by analyzing the facial and oral landmarks of Korean ad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 ratio of bizygomatic width to dental arch width was 3.26 : 1 in male and 3.21 : 1 in female, and the ratio of vertical dimension to dental arch length was 2.49 : 1 in male and 2.39 : 1 in female. 2. It was obtained by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that the corelative formula, vertical dimension$=23.37+0.24{\times}bizygomatic$ $width+0.29{\times}dental$ arch length.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vertical dimension acquired by means of Hayakawa's prediction($68.04{\pm}3.16mm$ in male, $64.38{\pm}3.00mm$ in female) and that of vertical dimension by this study.

  • PDF

Orthodontic treatment in a patient with Moebius syndrome: A case report

  • Lee, Sanghee;Moon, Cheol-Hy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51-460
    • /
    • 2022
  • Moebius syndrome (MBS) is a congenital neurologic disorder that causes cranio-facial abnormalities. It involves paralysis of the VI and VII cranial nerves and causes bilateral or unilateral facial paralysis, eye movement disorder, and de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The orofacial dysfunctions include microstomia, micrognathia, hypotonic mimetic and lip muscles, dental enamel hypoplasia, tongue deformity, open bite or deep overbite, maxillary hypoplasia, high arched palate, mandibular hyperplasia or features indicating mandibular hypoplasia. This case report presents a 7-year-old male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MBS at the age 2 years. The patient displayed typical clinical symptoms and was diagnosed with Class II malocclusion with a large overjet/overbite, tongue deformity and motion limitation, and lip closure incompetency. Treatment was initiated using a removable appliance for left scissor bite correction. After permanent tooth eruption, fixed appliance treatment was performed for correction of the arch width discrepancy and deep overbite. A self-ligation system and wide-width arch form wire were used during the treatment to expand the arch width. After 30 months of phase II treatment, the alignment of the dental arch and stable molar occlusion was achieved. Function and occlusion remained stable with a Class I canine and molar relationship, and a normal overjet/overbite was maintained after 9.4 years of retainer use. In MBS patients, it is important to achieve an accurate early diagnosis, and implement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pproach and long-term retention and follow-up.

한국인에서 치아 및 악궁의 크기와 총생의 관계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IN KOREAN)

  • 이난영;홍성수;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10-521
    • /
    • 2006
  • 본 연구는 총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총생군 50명(남녀 각 25명)과 정상 교합군 40명(남녀 각 20명)에서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이를 3D model로 변환하였으며 컴퓨터 상에서 치아의 근원심폭경과 악궁의 길이 변연길이,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을 계측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크기 분석시 상악에서는 측절치와 제1,2소구치에서 총생군의 치아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P<0.05) 나머지 치아의 크기 및 치아크기합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하악에서는 중절치와 견치 및 제 1,2 소구치의 크기 그리고 치아크기합계에서 군간에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3. 악궁에 대한 평가시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 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작았고 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컸으며 (P<0.05), 악궁의 장경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하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는 총생군에서 더 작았으나(P<0.05), 악궁의 장경 및 구치간 폭경, 견치간 폭경에서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5. ALD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gamma}=-0.348)$ 구치간 폭경 $({\gamma}=-0.343)$, 소구치크기와$({\gamma}=-0.335)$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에서는 치아크기합계를$({\gamma}=-0.454)$ 비롯한 모든 치아크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석고모형 계측치와 삼차원모형 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석고모형에 비해 삼차원모형 계측치가 좀더 크게 계측되었으며 (P<0.05), 오차의 범위는 0.01-0.47mm이었다. 7 검사자내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석고모형 계측시 보다 삼차원모형 계측치의 재현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총생이 존재할 때 상악에서는 큰 치아와 좁은 악궁이 복합적으로 기여하며 하악에서는 치아 크기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삼차원모형은 현재 적절하게 사용가능하지만 향후 개선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