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arch dimensio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임상가를 위한 특집 4 - 성인에서 미니스크류 보강형 비수술적 구개확장장치와 연속호선에 의한 악궁확장 효과 비교 (Change of arch dimension using two different expansion modalities in adults-MARPE and continuous archwire: a pilot study)

  • 구윤진;최태현;장지성;이기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6호
    • /
    • pp.330-336
    • /
    • 2013
  • Considering the high prevalence, transverse control in adult patients presenting relatively narrow maxillary width is a challenging issue. This study compared the pattern of arch expansion induced by either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der (MARPE) or continuous archwire engaged on self-ligating brackets. Age-matched adults groups(N=15 each) were treated with respective appliance. In both groups, all intercanine, interpremolar, and intermolar widths increased, and significantly greater change was noted in the intermolar region. Buccal tipping was minimal in both groups. Subsequent arch length increase, lingual tipping of incisors and distal tipping of molars were also found in both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RPE induced generally more arch expansion, particularly in the intermolar width, indicating that the adults showing buccal crossbite of the molars may have to undergo expansion via MARPE prior to arch alignment using continuous archwire.

수종 인상재의 침지 소독이 경석고 모형의 크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MENSIONAL STABILITY OF IMPRESSION MATERIALS FOLLOWING IMMERSION DISINFECTION)

  • 송기용;양재호;이선형;정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06-515
    • /
    • 1999
  • Dental practice can produce and spread some infectious diseases from patients to dentist, dental assistant, and dental labors. One possible method for preventing these cross-contamination is to immerse dental impression in chemical disinfectants. So for many investigators studied on the dimensional changes of dental impressions and on the surface qualities of stone casts made from impression following immersion in disinfectants. This study was proposed to evaluate some popular impression disinfectant combination from the point of dimensional stability. Impression was taken from dental arch-shaped metal model. Irreversible hydrocolloid and 3 elastomers(polyvinyl siloxane, polysulfide, polyether) were immersed in 3 disinfectants (2% glutaraldehyde, 1% povidone-iodine, 0.5% sodium hypochlorite) for 10 minutes and measured both cross-arch and anterior-posterior distance under stereo microscope to evaluate dimensional chang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imensional changes of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cross-arch and anterior-posterior distance when immersed in 2% glutaraldehyde solution and in anterior-posterior distance when immersed in 0.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from control group (p<0.05). 2. Dimensional changes of polyvinyl siloxane and polysulfide impress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p>0.05). 3. Dimensional changes of polyether impress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cross-arch distance when immersed in 0.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and in anterior-posterior distance when immersed in 1% povidone-iodine solution from control group (p<0.05). 4. In all cases, dimensional changes were less than 0.1% from the original dimension and concluded clinically acceptable.

  • PDF

과개교합과 치열궁부조화 및 수직고경 감소를 가진 환자의 전악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deep bite, inter-dental arch discrepancy and loss of vertical dimension: a case report)

  • 송한솔;이예진;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57-170
    • /
    • 2021
  • 구치부 지지 상실과 같은 치아 결손은 불안정한 교합 관계를 야기하고 중심위나 습관적 폐구위에서 하악의 전방 활주 시 전치부에 과도한 하중을 초래하기 쉬워 교합평면이 붕괴되며 교합수직고경의 감소와 악관절 기능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치열궁 크기의 부조화는 전치부와 구치부에서 수직수평적인 관계의 부조화를 유발하며 이로써 나타나는 전치부의 과개교합과 구치부의 가위교합은 불안정한 교합접촉과 충분하지 못한 교합접촉면적을 야기한다. 본 증례는 이와 같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환자로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교합수직고경 증가 및 새롭게 설정한 교합평면에 대한 적응을 평가하였고, 교차 모형부착을 이용하여 최종보철물에 반영하여 수복하였다. 그 결과 안정적인 교합과 조화로운 수직수평피개 및 교합평면을 형성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편측성 안면 신경마비 환자에서 3D printing gothic arch tracer와 POP bow system을 이용한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implant fixed prostheses using POP bow system and 3D printing gothic arch tracer in a patient with unilateral facial nerve palsy)

  • 정성윤;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01-214
    • /
    • 2024
  •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하는 환자가 불수의적인 안면근육의 움직임과 안모의 비대칭적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 교합수직고경의 결정과 중심위 기록, 그리고 교합평면의 정보 전달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증례에서는 편측성 안면 신경마비의 증상을 갖고 오랜 기간 무치악 상태였던 환자를 위해, 3D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된 개인맞춤형의 고딕아치 묘기장치와 조립식의 교합평면 인기장치인 POP bow system을 이용하여 CAD-CAM 임시보철물을 제작하고 안정적인 악간관계를 도모하였다. 이후, 적절한 교합수직고경과 재현성 있는 중심위 및 올바른 3차원적 교합평면의 전달을 통해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시행하여 환자에게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구강건강을 회복해 주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교모 환자에서 안면 스캔을 활용하여 교합 평면을 재설정한 전악 보철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reorientation of occlusal plane using facial scan: a case report)

  • 김은경;오세은;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4-71
    • /
    • 2024
  • 전악 보철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이 적절한지 평가하는 것이며, 필요시 교합 고경 거상을 통해 회복해 주어야 한다. 수직 교합 고경이 낮으면 저작력이 감소되며 심미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저작근의 과수축이나 과두의 후방 변위가 일어난다. 본 증례는 수차례에 걸쳐 전악에 이르는 보철 수복 치료를 받은 후 부적절한 수직 교합 고경으로 인해 발음 및 심미에 불만족스러워 하는 환자에게 수직 교합 고경 거상을 동반해 전악 보철 수복 치료를 했다. 디지털 진단 장비를 활용해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교합 평면, 보철물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했다. 3D 안면 스캔으로 얼굴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고 교합 평면을 설정한 다음 이에 맞추어 디지털로 진단 왁스업 했다. 전치부 기준 약 5 mm의 수직 교합 고경 거상을 결정하였으며 기존 식립된 양측 상하악 구치부의 임플란트의 상부 보철과 상악 4전치를 제외한 모든 잔존 치아를 수복하였다. 치료 순서는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먼저 제작하여 안정적인 교합 접촉을 형성한 뒤 자연치의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적응된 임시 수복물을 반영하여 동일한 순서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전악 보철 치료에서 안면 스캔을 이용해 환자의 facial landmark와 조화를 이루는 교합 평면을 설정하고 디지털 진단 왁스업 과정을 통해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고, 거상된 교합 고경을 유지하기 위해 구치부 임플란트를 이용한 결과 복잡한 기공 과정을 줄이고, 치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치열궁 형태 비교 (Comparison of arch form between Koreans and Egyptians)

  • 장갑수;석경은;;김윤지;김성훈;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34-3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인 부정교합자 368명(114 Class I, 119 Class II, and 135 Class III)과 이집트인 부정교합자 94명(35 Class I, 32 Class II and 27 Class III)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 형태를 tapered, ovoid, squared의 3가지로 분류하여 두 인종 간 분포 특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이집트인은 한국인보다 대구치 간 폭경과 견치 간 폭경이 유의성 있게 좁았으며 ($p$ < 0.001), 대구치 간 장경과 견치 간 장경이 더 짧았다 ($p$ < 0.001). 이집트인에서는 3가지의 치열궁 형태가 동등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p$ = 0.46), 한국인에서는 square arch form (46.7%)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tapered arch form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18.8%). 본 연구의 결과는 기성품의 초탄성 호선을 선택할 때 인종 간의 차이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쌍생아의 치열궁크기에 관한 유전학적 연구 (A GENETIC SRTUDY ON THE DIMENSION OF DENTAL ARCHES IN TWINS)

  • 김남일;양정강;김만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9권1호
    • /
    • pp.43-48
    • /
    • 197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genetics of the dimensions of dental arches in twins. Thirty-four pairs of Korean twins, of which twenty-three were monozygotic and eleven dizygotic,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wins ranged in age from 6 years to 12 years with mixed dent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in mean interpair diffenences of monozygotic twins. 2) Mean interpair differences of monozygotic twins were lesser than these of dizygotic twins. 3) Highly significiant zygotic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ean interpair differences of the width of upper and lower dental arch. This sugges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mponent of hereditary variability.

  • PDF

Smile esthetics: Evaluation of long-term changes in the transverse dimension

  • Akyalcin, Sercan;Misner, Kenner;English, Jeryl D.;Alexander, Wick G.;Alexander, J. Moody;Gallerano, R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0-107
    • /
    • 2017
  • Objective: To analyze the long-term changes in maxillary arch widths and buccal corridor ratios in orthodontic patients treated with and without premolar extractions. Methods: The study included 53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the extraction (n = 28) and nonextraction (n = 25) groups. These patients had complete orthodontic records from the pretreatment (T1), posttreatment (T2), and postretention (T3) periods. Their mean retention and postretention times were 4 years 2 months and 17 years 8 months, respectively. Dental models and smiling photographs from all three periods were digitized to compare the changes in three dental arch width measurements and three buccal corridor ratios over time between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groups.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tests. Post-hoc multiple comparisons were made using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Soft-tissue extension during smiling increased with age in both groups. The maximum dental width to smile width ratio (MDW/SW) also showed a favorable increase with treatment in both groups (p < 0.05), and remained virtually stable at T3 (p > 0.05). According to the MDW/SW ratio, the mean difference in the buccal corridor space of the two groups was $2.4{\pm}0.2%$ at T3. Additionally, no significant group ${\times}$ time interaction was found for any of the buccal corridor ratios studied. Conclusions: Premolar extractions did not negatively affect transverse maxillary arch widths and buccal corridor ratios. The long-term outcome of orthodontic treatment was comparable between the study groups.

한국인에서 치아 및 악궁의 크기와 총생의 관계 (DENTAL CROWDING AND ITS RELATIONSHIP TO TOOTH SIZE AND ARCH DIMENSION IN KOREAN)

  • 이난영;홍성수;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10-521
    • /
    • 2006
  • 본 연구는 총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총생군 50명(남녀 각 25명)과 정상 교합군 40명(남녀 각 20명)에서 상하악 모형을 제작하여 이를 3D model로 변환하였으며 컴퓨터 상에서 치아의 근원심폭경과 악궁의 길이 변연길이, 견치간 폭경, 구치간 폭경을 계측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아크기 분석시 상악에서는 측절치와 제1,2소구치에서 총생군의 치아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P<0.05) 나머지 치아의 크기 및 치아크기합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하악에서는 중절치와 견치 및 제 1,2 소구치의 크기 그리고 치아크기합계에서 군간에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3. 악궁에 대한 평가시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 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작았고 견치간 폭경은 총생군에서 더 컸으며 (P<0.05), 악궁의 장경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하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는 총생군에서 더 작았으나(P<0.05), 악궁의 장경 및 구치간 폭경, 견치간 폭경에서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5. ALD와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악에서는 악궁 변연길이와$({\gamma}=-0.348)$ 구치간 폭경 $({\gamma}=-0.343)$, 소구치크기와$({\gamma}=-0.335)$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에서는 치아크기합계를$({\gamma}=-0.454)$ 비롯한 모든 치아크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석고모형 계측치와 삼차원모형 계측치를 비교한 결과 석고모형에 비해 삼차원모형 계측치가 좀더 크게 계측되었으며 (P<0.05), 오차의 범위는 0.01-0.47mm이었다. 7 검사자내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석고모형 계측시 보다 삼차원모형 계측치의 재현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총생이 존재할 때 상악에서는 큰 치아와 좁은 악궁이 복합적으로 기여하며 하악에서는 치아 크기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삼차원모형은 현재 적절하게 사용가능하지만 향후 개선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 가철성 국소 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구강 회복 증례 (Rehabilitation of posterior support and vertical dimension in a class 3 malocclusion patient: A case report)

  • 오지환;표세욱;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75-186
    • /
    • 2022
  • 상, 하악에 잔존 치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합 접촉이 가능한 대합 치아가 없어서 교두 감합위를 상실하게 되는 엇갈린 교합은 결과적으로 수직 고경의 붕괴를 초래한다. 본 증례에서는 엇갈린 교합 및 전치부 반대교합을 동반하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를 상악 가철성 국소 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구강 회복을 진행하였다. 3개월 동안 임시의치의 착용 기간을 거쳐 수직 고경 안정화 및 심미성 개선을 위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이를 최종 수복물에 반영하기 위하여 전방 유도 테이블의 제작과 수직 고경 및 교합 관계의 유지를 위한 교차 마운팅을 시행하였다. 하악 임플란트 및 상악의 지대치는 금속 도재관을 이용하여 수복하였고, 상악의 편측성 무치악 부위는 국소 의치를 제작하였다. 단계적인 치료 과정을 통해 구치부의 적절한 지지 및 전치부의 반대교합의 해소를 통한 상호보호교합의 교합관계를 형성하였으며, 환자에게 심미적, 기능적인 치과 보철물을 장착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