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mage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3초

Digital Imaging Fiber-Optic Trans-illumination을 이용한 초기 법랑질 우식병소의 조기 진단 (EARLY DETECTION OF INITIAL DENTAL CARIES USING A $DIFOTI^{TM}$)

  • 염혜웅;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7-597
    • /
    • 2004
  • 치아 우식증의 발생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지난 20년간 활발히 진행되어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치아 우식증의 원천적인 예방을 이루기 위해서는 보다 새로운 실험 장비와 기구를 이용한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미국의 인디아나 치과대학을 중심으로 초기 법랑질 우식증에 관한 재조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치과계의 지속적인 대민 교육과 홍보 및 불소화사업 등의 우식 예방에 대한 노력과 구강 보건에 대한 대중의 인식 향상을 통해 치아 우식증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치아 우식증이 기존의 교합면보다 인접면에서 더 많이 발견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치아 우식증의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새로운 진단 장비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이미 성능의 우수성이 실험실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인접면 우식증의 진단에 있어 새로 개발된 $DIFOTI^{TM}$ 시스템의 효능을 기존의 방법인 시진 및 교익방사선사진과 비교 평가하고, 임상 적용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차후 $DIFOTI^{TM}$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개선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치아 우식증의 예방 및 불소를 이용한 초기 우식증 재광화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를 마련하고자하였다. 학동기 연령에 있는 유치 탈락 시기에 근접한 것으로 기대되는 2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 검진 2회, 구치부 교익 방사선 필름 판독 2회 그리고 전치부 및 구치부 $DIFOTI^{TM}$ 이미지 판독 2회를 실시하고 각 방법에 대한 신뢰도 평가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 검진시 검사자간 신뢰도는 교합면에서 평균 0.8470으로 가장 높았으며, 근심면 평균 0.6430, 원심면 평균 0.5727, 설면 평균 0.2807 그리고 협면 평균 0.2339순으로 나타났다. 구치부에 국한시킨 경우 교합면에서는 평균 0.8577이었으며, 원심면 평균 0.8211, 설면 평균 0.7728, 협면 평균 0.7152, 근심면 평균 0.6782 순으로 나타났다. 2. 구치부 교익 방사선 사진 판독 결과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는 교합면 평균 0.8346, 근심면 평균 0.8675, 원심면 평균 0.8482 순으로 나타났다. 3. $DIFOTI^{TM}$ 이미지 판독 결과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는 교합면 평균 0.8437, 협면 평균 8379, 근심면 평균 0.8223, 설면 평균 0.7766, 원심면 평균 0.6781 순으로 나타났다. 4. 치아 우식증 진단율을 비교한 결과 교합면, 협면, 설면에서는 $DIFOTI^{TM}$ 이미지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근심면과 원심면에서는 방사선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 PDF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디지털 진단 분석을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vertical dimension loss using digital diagnostic analysis: A clinical report)

  • 최예원;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김형섭;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87-496
    • /
    • 2021
  • 완전 구강 회복이란 구강 내 잔존치아와 결손치아를 수복하여 구강의 건강, 기능 및 아름다움을 개선하고 구강악계의 다른 조직과 조화되도록 회복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다수 치아가 상실될 경우 환자의 교합평면은 점차 붕괴되어 가며 수직고경이 감소될 수 있다. 감소된 수직고경은 악관절 및 저작근에 잠재적인 병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이 요구된다. 본 증례 환자는 68세 여환으로, 현재 사용 중인 가철성 국소의치가 파절되어 식사가 불가능한 상태로 보철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과 마모 치아의 심미적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직 고경의 상실을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였다. 디지털 분석 단계에서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교합면을 설정하고 여러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CBCT 영상을 사용하여 악안면계 해부학적 구조물과 치아의 위치를 정렬하여 환자의 상태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가상으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가상으로 정렬한 가상 페이스보우를 실물 교합기로 옮겨와서 한번 더 진단 분석하였다. 평가 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가 이상 없이 적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68세의 여성 환자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으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임플란트에 대합되는 상악 구치의 주변골 변화에 대한 임상연구 (Bone changes around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opposing the implants in mandible: a clinical study)

  • 박찬진;허윤혁;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4호
    • /
    • pp.301-309
    • /
    • 2015
  • 목적: 무치악 부위를 임플란트 보철로 수복하면 기능저하 상태였던 대합치는 생리적인 자극을 받게 된다. 본 연구는 하악 구치부 임플란트에 대합되는 상악치아의 골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보철물 장착시(기준점) 및 3, 6개월 후에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였다. 맞춤형 필름유지기구를 제작하여 대합치의 연속적인 방사선 사진에 대한 투사를 표준화하였다. 디지털사진에서 관심부위에 대한 그레이수치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95% 유의수준으로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대합치의 그레이수치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가하였다. 치조정부위보다 중앙부위의 변화가 더 컸으나 근심과 원심의 그레이수치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레이수치의 변화는 하중을 가하지 않았던 기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기능저하였던 치아주변의 골조직에 기능적 하중이 가해지면 골조직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악 절치의 근관계에 관한 연구 (THE CANAL SYSTEM OF MANDIBULAR INCISORS)

  • 임은미;최호영;박상진;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4호
    • /
    • pp.432-44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icate root canal system including ideal access placement, root curvature, canal configuration, incidence of isthmus in mandibular incisors for success of endodontic treatment. 200 mandibular incisors were selected. The ideal access placement was determimed as follows. The teeth there radiographed from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views using intraoral dental film. The image was divided into coronal, middle and apical third using the proximal film. Straight line acces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aciolingual canal width and placing points at midway point between the buccal and lingual wall at the junction of the middle and apical third and at the juntion of coronal and middle third of the root canal. A line was drawn connecting these two points extending through the crown of the tooth. The point at which the line crossed the external crown surface was recorded as facial, incisal, lingual. Degree of root curvature was determined by Schneider Protractor Method. Both section method and clearing method were used in this study. By section method, 100 mandibular incisors were embedded in clear resin and transeverse serial sectioned at 0.5, 1.0, 2.0, 3.0, 4.0, 5.0mm level from root apex. The resected surfaces were stained by methylene blue and examined under $\times$40 magnification with a stereomicroscope. By clearing method, 100 mandibular incisors were cleared in methysalicylate after decalcification with 10% nitric acid and evaluated under $\times$18 magnification with a stereo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29% had the center of the plotted straight-line access facial to incisal edge, whereas 71% had straight-line access at the incisal edge. When incisal wear classified as extensive, the straight-line access was plotted on the incisal edge 95.5%. When incisal wear classified as slight/none, the straight-line access was plotted on the facial 65.9%. 2. Degree of curvature of main canal was straight or almost straight, and only 10% in buccolingual direction had a degree of curvature greater than 20 degrees and 5.5% in mesiodistal direction had. 3. In section method, canal configuration analysis showed that 51% of the specimen classified as type I, 27% as type II, 12% as type III, 10% as type IV. For theses setions with two canals, the incidence of an isthmus was 36.7%, 64.3%, 79.2%, 96.3%, 97.4%, 97.6% at each level and highest in 3~5mm sections. 4. In clearing method, canal configuration analysis showed that 74% of the specimen classified as type I, 11% as type II, 6% as type III, 9% as type IV.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raditional access from lingual should be moved as far toward the incisal as possible to locate and debride the lingual canal and root canal system should be cleaned, shaped completely and obturated three dimensionally for successful endodontic treatment.

만곡된 레진 모형 근관에서 4종의 엔진 구동형 니켈-티타늄 기구의 근관 중심율 유지 능력 (The instrument-centering ability of four Nickel-Titanium instruments in simulated curved root canals)

  • 구재훈;장훈상;장석우;조환희;배지명;민경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2호
    • /
    • pp.113-11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시판된 NRT 기구의 근관 형태 유지 능력을 기존의 3종의 기구와 비교하는 것이다. 만곡된 레진 모형 근관을 ProFile, K3, ProTaper, NRT 기구를 이용하여 형성하였고 형성 전, 후의 상을 스캔한 후 중첩시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근관 만곡도의 변화와 근관 중심축에 대한 근관의 변이 정도를 근관 중심율의 변화로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근관 변이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one-way ANOVA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기구간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s test로 사후 분석하였다. 근첨에서 1, 2 mm 상방 위치에서의 근관 중심율은 ProFile 군이 다른 군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NRT기구의 근관 중심율 변화를 측정한 결과 근첨으로부터 5 mm 상방에서는 Profile에 비해서만 큰 것으로 나타났고 6, 7 mm 상방에서는 다른 모든 군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비록 NRT기구가 근첨 부위에서는 ProFile을 제외한 다른 기구에 비해 유의차 없는 중심률 유지 능력을 보였으나 근관 입구 및 중간부위의 형성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스틸 파일로 인해 coronal flaring시 다른 기구들에 비해 더 많은 중심률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Quantitative localization of impacted mesiodens using panoramic and periapical radiographs

  • Choi, Hang-Moon;Han, Jin-Woo;Park, In-Woo;Baik, Jee-Seon;Seo, Hyun-Woo;Lee, Joo-Hyun;Park, Ho-Wo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1권2호
    • /
    • pp.63-69
    • /
    • 201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new technique for localizing impacted mesiodens using its horizontal magnification ratio on panoramic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 Location-magnification equation of a panoramic equipment was obtained from horizontal magnification ratio of a metal ball which was located variable positions from the center of image layer at interval of 2 mm. Panoramic radiographs were obtained from a skull phantom with a metal ball which was a substitute for impacted mesiodens and was embedded 10mm(Group 1), 15mm(Group 2), and 20mm(Group 3) posterior to the central incisor. Each group obtained 7 panoramic radiographs at variable positions and one periapical radiograph. Three methods were used to estimate the actual width of the incisors and the balls which were used to calculate the magnification ratio. The methods included using the actual incisor width and the calculated ball width (Method 1), using the actual incisor width and the ball widths measured on periapical radiograph (Method 2), and using the incisor and the ball widths measured on periapical radiograph (Method 3). The location of the metal ball was calculated by using the location-magnification equation. Results : The smallest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actual distance was $0.1{\pm}0.7 \;mm$ in Group 1/ Method 3. The largest difference was $-4.2{\pm}1.6 \;mm$ in Group 3/Method 2. In all groups, method 3 was the most accurate. Conclusion : Quantitative localization of impacted mesiodens is possible by using panoramic radiograph.

반복주조된 치과용 합금의 피착면 처리방법에 따른 접착성 수지와의 접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 STUDY ON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INS TO SUEEXSSIVELY RECAST ALLOYS FOR REISN-BONDED RESTORATIONS)

  • 정금태;양재호;이선형;정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3-76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ins to successively recast Rexillium III and Degudent-U. Recasting was done 4times successively. Specimen $A_1$, were cast by new metal, and $A_2$ by surpus of $A_1$, $A_3$ by surplus of, $A_2$ $A_4$ by surplus of $A_3$, $A_5$ by surplus of $A_4$ plus 50% new metal. The types of surface treatment for resinbonded restoration in this experiment were electrolytic etching by OXY-ETCH(Oxy dental products, Inc., Hillside, New Jersey, U.S,A.), aluminum oxide blasting, anodic oxidation by EZ-OXISOR( Towagiken Co., Kyoto, Japan), electrotinplating by Kura Ace(Kuralay Co., Kyoto, Japan). Three kinds of cementing resin used in this study were Comspan(K.P. Cauil Co, Milford Delaware, U.S.A.), Super Bond C&B(Sun-Medical Co. Ltd., Kyoto,Japan), Panavia EX(Kuralay Co., Ltd., Osaka, Japan). 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1125) and all the specimen were observed with SEM(JEOL, JSM-T2000) and mode of bond failure were record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electrolytic etched group, tensile bond strength was decreassed when recast alloy was used, and tensile bond strength of Compan and panavia 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2. In remaining group treated by aluminum oxide blasting, EZ-OXIOR, Kura Ace, tensile bond strength were not changed when recast alloy were used, and tensile bond strength of SuperBond(C&B and Panavia 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3. IN SEM evaluation, electrolytic etched group and electrotinplated group exhibited different image when recast alloy was used, and remaining groups treated by aluminum oxide blasting, EZ-OXISOR exhibited the same. 4. IN observation of bond failure, electrolytic etched group exhibited adhesive failure and remaing groups treated by aluminium oxid blasting, EZ-OXISOR, Kura Ace exhibited adhesive and cohesive failure.

  • PDF

뇌 회백질 기저핵 부위의 흡연유무에 따른 확산텐서 비등방도 측정값 차이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Fractional Anisotropy of Diffusion Tensor Images of Basal Ganglia in the Brain Gray Matter according to Smoking)

  • 곽종혁;정재범;손봉경;성순기;김성진;강동원;박찬혁;임현화;이유희;이상봉;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61-269
    • /
    • 2018
  • 흡연 유무의 남성을 대상으로 뇌 회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여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회백질 부위의 기저핵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비등방성 측정값이 낮게 관찰되었으며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한 FA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흡연이 뇌 회백질 기저핵의 모든 해부학적 미세 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신경 섬유로를 손상시키고 이와 관련된 기능적 이상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ORAL REHABILITATION IN ECTODERMAL DYSPLASIA WITH OLIGODONTIA

  • 김령;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6-643
    • /
    • 1999
  • 유전적인 외배엽 이형성증에 의해 무치증 혹은 부분적 무치증을 가진 환아들은 치조골 발육의 부족으로 나타난 감소된 수직고경으로 인해 어린 나이에서 노인과 같은 안모를 가지게 된다. 이에 어린이들은 또래의 어린이들과 잘 어울릴 수 없게 되고 소외감과 정서적 위축감을 느끼게 된다. 수직고경을 고려한 보철적 치료를 통해 적절한 기능과 심미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치과의사의 중요한 역할이라 하겠다. 이에 저자는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분적 무치증을 동반한 외배엽 이형성증을 가진 환아에서 치과치료를 통한 심미적, 기능적 결함을 개전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맹출 영구치 위에 클래스프를 위치시켜 의치유지력에 도움을 주었으며 상하악 피개의치의 장착으로 교합고경을 회복하여 저작, 발음, 심미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2. 피개의치의 이용으로 교합평면의 설정과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도모하였고, 맹출한 치아를 보존하고 남아있는 치조골의 폭과 높이를 유지할 수 있었다. 3. 치료를 통해 환아는 외모에 자신감을 가지고 치과환경에 익숙해져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4. 주기적인 내원을 통한 영구치 상태와 성장, 발육동안의 의치의 관찰로 의치의 이장, 재제작이 요구된다.

  • PDF

Cone-beam CT를 이용한 최대교두간접촉위(MIP)에서 과두 위치에 대한 방사선적 평가 (Radiographic Evaluation of Condyle Position at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Using Cone-beam CT)

  • 오상천;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11-120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측두하악관절의 시상 CT 이미지에서 최대교두감합위시 양 과두의 위치와 대칭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재료 및 방법: Cone-bem CT가 각 100명의 남/녀 그리고 증상/무증상으로 분류된 총 200명의 400개 측두하악관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3명의 독립된 평가자(치과의사)가 전방위(AP), 중앙위(MP), 후방위(PP)으로 분류된 과두 위치와 양 과두의 대칭성을 결정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전방위, 중앙위, 후방위의 평균 퍼센트(%)는 남성에서 48.5, 28.5, 23였고, 여성에서 34, 38, 28였다. 과두의 대칭성은 성별에 관계없이 대칭인 경우가 많았다. 증상과 무증상의 관점에서 보면 전방위, 중앙위, 후방위의 평균 퍼센트(%)는 무증상 그룹에서 44.5, 34, 21.5였고, 증상이 있는 그룹에서는 37, 33.5, 29.5였다. 과두의 대칭성은 무증상 그룹에서는 대칭성이 더 빈번했고, 증상 그룹에서는 비대칭이 더 많았다. 결론: 이 데이터는 Cone-bean CT에 의해서 얻어진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과두 위치의 임상 평가를 위해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