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olition wast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6초

BIM과 RFID 기술을 활용한 건설 폐기물 관리 방안 (Building waste management plan using BIM and RFID technology)

  • 단신;안이슬;함남혁;김재준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6-3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ovel system for on-site management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onstruction waste has always been one of largest waste in the world and has long lacked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Although various countries have planned the disposal of waste at the political level, the real-time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s has not been mentioned. Especially in China,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lso generates a large amount of waste, and China is not prepared for a larg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In order to alleviate the huge impact of construction waste on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a waste management method that combine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Through this research, b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manage the generation and discharge of construction waste, and record the amount and information of waste generation, also improve the management method of construction waste.

폐기물 재활용성 향상을 위한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시공성 평가 및 사례적용 (Constructability Analysis in Aged-Housing Remodeling Demolition Work for Maximizing Waste Recycling)

  • 채승현;김기현;차희성;김경래;한주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22
    • /
    • 2010
  • 노후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공사 수행 현황을 살펴보면, 공동주택의 신축공사와는 달리 철거공사라는 새로운 공종이 추가 된다. 이러한 철거공사는 리모델링 공사를 구성하는 다양한 공종 중에서 공사 기간을 좌우하는 주요 공종에 해당하나, 실제 공사수행 방법은 기존의 일반 건축공사 철거형태와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폐자재의 재활용 등을 통한 자원의 낭비 및 환경파괴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리모델링 공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생산성만을 강조한 기존철거공사의 수행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리모델링 공사의 특성을 반영한 철거공사의 프로세스 정립이 필요하며, 더불어 정립된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위 작업의 시공성을 평가하여 향후개선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정립한 리모델링 공사의 철거 프로세스 및 단위작업(이하 '신규방식'이라함)과 기존 일반 건축공사의 철거공사 수행 방식(이하 '기존방식'이라함)의 비교를 통한 신규방식의 시공성 측면의 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면담을 통한 철거공사의 시공성을 측정할 수 있는 주요요인을 도출한 후, 이를 근간으로 공가(空家)상태인 시영아파트의 두개 동에 신규방식과 기존방식의 비교실험을 통한 시공성의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Effect of crushed waste glass as partial replacement of natural fine aggregate on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ement concrete

  • Ajmal, Paktiawal;Mehtab, Alam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51-277
    • /
    • 2022
  • Disposal of industrial waste in cities where municipal authorities permitting higher floor area ratio coupled with increasing living standards, a lot of demolition waste is being generated. Its disposal is a challenge particularly in megacities where no landfills are available. The ever-increasing cost of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also necessitates consuming demolition wastes in a useful manner to save fresh natural raw materials. In the present work, the crushed waste glass is used in high-strength concrete as a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The control concrete of grade M60 was proportioned following BIS 10262-2009. The crushed waste glass has been used as a partial replacement with varying percentages of 10, 20, 30, and 40% by weight of fine aggregate. Experimental tests were carried on the fresh and hardened state of the concrete. The effect of crushed waste glass on the workability of the concrete has been investigated. Non-destructive tests, acid attack tests, compressive strength, split tensile strength,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control concrete and concrete containing crushed waste glass after 7, 28, and 270 days of normal curing. The results show that for the same w/c ratio, the workability of concrete increases with increasing replaced crushed waste glass content. However, the de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after 28 days of normal curing and further after 28 days of acid attacks, up to 30% replacement level of fine aggregate by the crushed waste glass is insignificant.

건설폐기물의 물량 자동화 산정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utomatic Quantific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 김창학;김효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43-746
    • /
    • 2007
  •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경제성장과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라 기존주택의 재건축과 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중 건설폐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정부나 민간에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정확히 예측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노력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폐기물의 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한 기준의 미비로 인해 많은 사회적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 방법으로는 원단위 할용, CAD도면의 활용, 3D object의 활용과 같이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듈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개별 모듈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 PDF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벽식구조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A Process Model of Eco-friendly Demolition Work for Wall Type Aged Housing Remodeling)

  • 황영규;김기현;김경래;한주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204-215
    • /
    • 2008
  •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사가 주공정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행 철거공사는 개략적 수준의 철거관리계획에 의한 생산성만을 강조한 철거 형태로 인해 폐자재 재활용이 되지않고 있어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가중 시키고 있으며, 철거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과 구조체의 안전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철거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친환경 철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하며 그 단계를 1) 철거관련 조사분석, 2) 철거관리 도서작성, 3) 철거관리 시공계획서작성, 4) 철거시공 및 감리, 5) 철거 후 관리의 5단계로 구분 하였으며, 특히 철거도면 작성으로 표준철거 WBS가 구축되고, 철거장비 및 공법, 폐기물 투하, 철거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마감재 철거 후 구조체의 안전점검을 실시하므로써 철거중 불가피한 보수보강이 가능하며, 철거완료 Check list 작성에 따라 리모델링 본공사의 Database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AS-I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TO-BE)를 IDEF0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a Process Model of Environment-friendly Demolition Works for Aged Housing Remodeling)

  • 황영규;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5-92
    • /
    • 2008
  •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사가 주공정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행 철거공사는 개략적 수준의 철거관리계획에 의한 생산성만을 강조한 철거 형태로 인해 폐자재 재활용이 되지 않고 있어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철거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과 구조체의 안전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철거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친환경 철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하며 그 단계를 1) 철거관련 조사분석, 2) 철거관리 도서작성, 3) 철거관리 시공계획서작성, 4) 철거시공 및 감리, 5) 철거 후 관리의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철거도면 작성으로 표준철거 WBS가 구축되고, 철거장비 및 공법, 폐기물 투하, 철거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마감재 철거 후 구조체의 안전점검을 실시하므로써 철거중 불가피한 보수보강이 가능하며, 철거완료 Check list 작성에 따라 리모델링 본 공사의 Database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AS-I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TO-BE)를 IDEF0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RC건축물 해체공사의 안전성 평가기법 및 탑재장비 등급 제안 (Technique to Evaluate Safety and Loaded Heavy Equipment Grade in RC Building during Demolition Work)

  • 박성식;이범식;김효진;손창학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2호
    • /
    • pp.195-204
    • /
    • 2011
  •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중장비를 탑재하여 해체작업을 시행할 때, 중장비와 철거잔재의 중량은 건축물을 설계할 당시에 고려하지 못한 하중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해체 현장에서는 건축물의 안전성에 대한 구조전문가의 검토 없이, 현장 관리자나 작업자의 경험에 의하여 중장비 탑재와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 중에 건축물이 붕괴하거나 중장비가 추락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해체공사 시행 과정에서 해체 대상 건축물의 구조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법과 구조부재가 부담할 수 있는 적정 장비중량에 대한 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계해체 현장에 대한 방문조사와 작업근로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해체 대상 건축물의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철거잔재 하중, 하중계수, 강도감소계수, 작업하중 등을 제안하였다. 해체 현황을 고려한 구조물의 해석과 부재(슬래브, 보)의 적절한 안전성 평가방법을 제시하였으며, RC 슬래브와 RC 보의 제원에 따라 양중 가능한 중장비의 중량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해체구조물의 안전성 평가기법과 중장비 탑재 등급은 해체대상 구조부재의 성능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적정한 장비운영을 통한 해체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국 군에서의 재활용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y on Recycling for the U. S. Army)

  • 황영헌;강석호;이상복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29
    • /
    • 1996
  • Nowadays, flooding wast is serious problem to mankind and the endeavour for solving waste problem is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al problem and natural resource problem. In Korea, there are a lot of movements related to reduction of waste, too. As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recycling is recommanded and many kinds of recycling technique are devised. In America, military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recycling area for a long time. This paper is the survey of several articles and working papers about America military's recycling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recycling of wate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s etc. These research results are very important in real field of military. It is considered our military has to prepare this recycling problem and now it's the right time. All of these can be adapted to our military, commercial companies and civilians through some modification. We suggest that our military should cope with recycling problem more deliberately.

  • PDF

건축물 해체공사비 변동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molition Costs)

  • 신동욱;조규만;이웅균;김태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99-506
    • /
    • 2018
  •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대량으로 건설된 중 고층 건물이 사회적, 구조적으로 노후됨에 따라 해체공사가 대거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해체공사비 예측을 위한 이론적 접근이나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건축물 해체공사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그룹의 자문을 바탕으로 14개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공사, 구조물 해체, 폐기물처리, 전체공정별 중요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체공사비의 변동은 해체현장의 환경적 요인들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체공사 발주단계에서 개략공사비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