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entia Center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5초

일 대학병원에서 5개년간 섬망의 발생 및 치료 경향의 변화 (Changing Trends in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elirium for 5 Years in a University Hospital)

  • 배재호;강원섭;백종우;김종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2호
    • /
    • pp.112-119
    • /
    • 2012
  • 연구목적 : 섬망은 의식 수준과 인지기능 변화로 인해 사고, 언어, 행동, 수면 양상 등에 갑작스러운 지장을 초래하는 장애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개년간 일 대학병원의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섬망 환자들의 특성과 치료 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섬망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섬망의 발생과 치료에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 2007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 회기동 소재의 경희대학교 병원에서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의 성별, 연령, 의뢰과, 의뢰 이유, 섬망의 원인, 섬망의 분류, 의뢰의의 오진율, 치료 방법, 처방 약물 종류 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결 과 : 5년간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 중 남성이 61.7%로 여성보다 더 많았다. 섬망 환자를 정신과로 의뢰하게 된 이유는 수면 장애가 80.8%로 가장 많았고 섬망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수술 후 섬망이 30.9%로 가장 많았다. 전체 치료 건수 중 약물 처방이 76.6%이었으며 연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약물 처방 건수 중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 빈도는 76.4%였으며 항정신병 약물중 Quetiapine의 사용 비율이 46.8%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타과 의뢰의가 섬망의 진단을 놓치게 된 이유는 환자가 이전에 치매를 진단받았을 경우가 6.8%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근 5개년간 일 종합병원에서 정신과로 의뢰되는 섬망은 수술 후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약물 처방율이 높아지는 추세였다. 환자에게 이전 치매 병력이 있을 경우 섬망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오진되기 쉬웠다. 본 연구를 통해 섬망의 임상 증상 및 원인, 의뢰 이유, 치료 경향에 대해 평가하고, 수면 주기의 변화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며, 수술 후 섬망에 대한 예방전략 수립 및 약물 치료에 따른 치료 근거를 확립하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 PDF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bration Stimulation Therapy on Neglect of Stroke Patients)

  • 전소현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5
    • /
    • 2018
  • 목적 진동자극기는 타 치료도구에 비하여 임상환경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팔 활성화훈련을 수동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음과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진동감각에 관련한 연구는 활성화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환측 상지의 손에 제공된 진동감각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무시 증상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2018년 10월 19일부터 동년 11월 7일가지 약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으며, 평일 하루에 한 번 총 18회로 (기초선 과정 4회, 중재 과정 6회, 기초선 회귀 과정 3회)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MMES-K를 사용하였으며 편측무시 검사도구로는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LBT), 알버트 검사(Albert's test),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 SCT)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기초선과 중재기의 회기 별 측정값은 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평가결과 모두 기초선 기간보다 훈련 기간에 놓친 오류의 개수가 감소하였고, 훈련 후에도이 감소는 유지되었다. 선 나누기 검사에서 평균 $4.5{\pm}1$개 누락에서 평균 $2{\pm}1.2$개 누락 그리고 평균 $0.6{\pm}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알버트 검사 결과, 평균 $22.5{\pm}1.9$개 누락에서 평균 $8{\pm}7.3$개 누락 그리고 평균 $0.3{\pm}0.5$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별 지우기 검사에서는 평균 $26{\pm}4.6$개 누락에서 평균 $21.8{\pm}1.7$개 누락 그리고 평균 $20{\pm}0$개 누락으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진동감각 자극치료가 편측무시 증상 개선에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중재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래를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 회상 요법이 노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The Music Therapy Effects to Older Person's Emotions after Reminiscence Therapy Through Songs)

  • 최애나;권환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4호
    • /
    • pp.31-3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ow the music therapy effects to older person's self-esteem feeling and a emotional mood improvement after reminiscence therapy through song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ere 10 old men and women, age of 67 to 90 with dementia, and mental and physical dysfunction, but can be self-walking and the stool was made up in social welfare center in the Yuseong-gu, Daejeon-city, The experiment of the research was done from June 18th until July 18th, week 2 each 50 minutes the total 12 times. This study was an experiment, the treatment of a same group before and after treatment. Before the first session I check the self-esteem and emotional mood. And after the final 12th session, post-therapy examination was conducted the same tests. The tools of Self-esteem test is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Jun Byung-se(1974), which was translated. Emotional state check tools developed by MoNair(1992), which was translated by Yun Jae-ryang, and it can also apply to the Korean older person has been modified by Shin yon-hee. The results of changing mood state to 3 factors are as follows: The score of anxiety-depression factor changes from 50.42($\pm$14.15) to 35.10($\pm$10.60),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e score of anger factor changes from 11.20($\pm$4.39) to 6.90($\pm$2.51),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e score of vitality factor Changes from 30.00($\pm$4.27) to 23.90($\pm$5.09), and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For this research, I selected older person's favorite songs which have a positive lyrics and bright melody. And This has significance in terms give positive effects to older person's emotion which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and better mood positively. In the clinical treatment for the elderly to improve the positive sentiment and give practical assistanc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done to the future, And I look forward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music therapy.

운동과 음악을 이용한 노래부르기가 노인의 생리적 변화,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nging Program Combined with Physical Exercise of Physiologic Changes, Perception Function and Degre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omen)

  • 정영주;민순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3권2호
    • /
    • pp.35-5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inging program combined with physical exercise on the physiologic changes, perception function and degree of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the members of elderly women's glee club in D care center for the elderly, who have been singing for more than 6 months. 30 members were allocated to study group and 30 to control group. The singing program designed for both physical therapy and music therapy was consisted of initial physical exercise, singing art songs and classical song and the finishing physical exercise. This program was performed twice a week and about forth minutes was consumed for one session. We checked the heart rate, peripheral arterial oxygen saturation, perception function and degree of depress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used a pulse oxymeter to check the heart rate to oxygen saturation and a questionnaire for the evaluation of perception function and degree of depression. We need SPSS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ed personnel complyi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frequency, two groups by t-test, data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y paired t-test,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eart rate after the progra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before program in test group(p<0.05). 2)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after the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efore the program(p<0.05). 3) Ability to match the right sign with a certain predetermined number was improved after the program. The frequency of wrong matching the sign with number before program was 30. But the frequency was decreased to 8 after the program. 4) Ability to calculate was improved after the program. The frequency of wrong calculation before the program was $1.10{\pm}1.94$. But the frequency after the program was decreased to $0.97{\pm}1.84$. 5) The degree of depression after the program($2.07{\pm}0.4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before program(p<0.001). These results show that singing program combined with physical exercise improves the oxygen delivery to peripheral circulation, stability of heart function, the perception function(calculating and matching ability) and decreases the degree of depression. In conclusion, singing program combined with physical exercise can be used for the effective measure to improve the health of elderly and prevent dementia.

  • PDF

지역사회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작업회상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n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OR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in Local Community)

  • 차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05-614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작업회상치료(ORT)를 적용한 후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상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기술 및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도인지장애 진단받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YW 보건소에 등록되어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자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임의로 할당하였고 실험군에게 1주일에 1회, 1시간씩 총 8회기 작업회상치료를 실시하였다. 작업회상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개별 인터뷰를 통해 공통으로 경험한 사건 및 활동을 확인하고,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들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종합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작업회상치료가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전 후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변화량 차이 검증은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n=9)이 대조군(n=9)에 비해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상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기술 및 우울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로써, 작업회상치료(ORT)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를 예방하고 건강 유지 및 증진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치료 방법의 하나로 적극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말초감각신경자극과 과제 지향적 훈련의 동시 적용 효과: 단일 맹검 무작위대조군실험 (The Effects of Simultaneous Application of Peripheral Nerve Sensory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to Improve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fter Stroke: Single 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선호;원경아;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7-20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해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의 동시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9명의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을 동시에 적용한 실험군은 14명, 과제지향적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은 15명으로 주5회, 회기당 30분씩, 총 4주간 진행하였다. 결과측정은 손목과 어깨근육의 자발적 근수축 비율과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잡기와 쥐기의 근력, Action Research Arm Test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로 측정하였다. 결과 : 4주간의 중재 후 짧은노쪽손목폄근, 노쪽손목굽힘근의 근 활성도와 잡기 근력, Action Research Arm Test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결론 :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의 동시적용은 과제지향적훈련만 하는 것보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ICT를 이용한 이중과제 기반의 스마트 스태킹 콘의 시제품 개발 및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 of the Prototype of the "Smart Stacking Cone" Based on Dual-task Using ICT)

  • 임승주;원경아;김대겸;김영;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2호
    • /
    • pp.95-108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과 이중과제 수행능력의 평가 및 훈련을 위해 개발 중인 스마트 스태킹 콘을 시제품 단계까지 개발하여, 사용성을 파악하고 수정 및 보완점을 점검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스태킹 콘'의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평가 및 훈련으로부터 생성되는 피험자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험자의 수행을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 측정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일과제 평가모드', '이중과제 평가모드', '단일과제 훈련모드', '이중과제 훈련모드'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제품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과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사용성 평가 결과 개발된 시제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적절성' 영역은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응답된 영역이자 부적절 수준이 가장 저조하게 나타난 영역으로 확인되었고, '전반적 만족도' 영역은 매우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임과 동시에 부적절 수준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으로, 기기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기를 수정하여 완성한 후 실제 환자군에게 적용해봄으로써, 기기의 임상적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감각환경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의 경향: 체계적 고찰 (The Trend of Overseas Studies on the Intervention of Multisensory Environment: Systemic Review)

  • 조은희;송현은;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4-64
    • /
    • 2019
  • 목적 :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효과를 연구한 국외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용 시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Cochrane, Google scholar을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multi-sensory environment', 'snoezelen'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국외논문을 선정하였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지적장애, 정신분열증, 임산부를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3주에서 10개월로, 주 2~3회기의 중재가 대부분이였고, 회기별 중재시간은 30~60분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으로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삶의 질과 같은 사회적 요인, 인지적, 신체적인 영역에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중재로 사용된 다감각환경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외의 후각과 미각, 전정감각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었다. 결론 : 앞으로 국내에서는 다감각환경 중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대상군 특히, 아동에게 적용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도시 일부 노인들의 저작능력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인지기능 (Association between masticatory ability,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신해은;장익준;조민정;송근배;최연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159-166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sticatory ability,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function in an elderly popul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A total of 308 subjects, aged 65 years and over, were recruited from the senior citizen center in Daegu, South Korea and provided consent for inclusion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was used to assess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Masticatory ability was evaluated through chewing tests, patient-perceived masticatory function and, measurement of relative occlusal forces on molar teeth using the T-Scan $III^{(R)}$ system.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s, t-tests, and one-way ANOVA in SPSS version 23.0 for window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SPSS AMOS version 22.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molar teeth occlusal force. Ability of food chewing score and patient-perceived masticatory function could affec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0.05). Higher occlusal forces on molar teeth, compared to anterior tee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er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dividual's oral health condition could affect molar teeth occlusal forces and may be related to a risk of developing dementia.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lementing nation-wide policies to improve oral health, such as masticatory func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Gintonin influences the morphology and motility of adult brain neurons via LPA receptors

  • Kim, Do-Geun;Kim, Hyeon-Joong;Choi, Sun-Hye;Nam, Sung Min;Kim, Hyoung-Chun;Rhim, Hyewhon;Cho, Ik-Hyun;Rhee, Man Hee;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401-407
    • /
    • 2021
  • Background: Gintonin is an exogenous ginseng-derived G-protein-coupled lysophosphatidic acid (LPA) receptor ligand. LPA induces in vitro morphological changes and migration through neuronal LPA1 receptor. Recently, we reported that systemic administration of gintonin increases blood-brain barrier (BBB) permeability via the paracellular pathway and its binding to brain neuron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influences of gintonin on in vivo neuron morphology and migration in the brain.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the effects of gintonin on in vitro migration and morphology using primary hippocampal neural precursor cells (hNPC) and in vivo effects of gintonin on adult brain neurons using real time microscopic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and locational changes induced by gintonin treatment. Results: We found that treating hNPCs with gintonin induced morphological changes with a cell rounding following cell aggregation and return to individual neurons with time relapses. However, the in vitro effects of gintonin on hNPCs were blocked by the LPA1/3 receptor antagonist, Ki16425, and Rho kinase inhibitor, Y27632. We also examined the in vivo effects of gintonin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and migration of neurons in adult mouse brains using anti-NeuN and -neurofilament H antibodies. We found that acut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gintonin induced morphological and migrational changes in brain neurons. Gintonin induced some migrations of neurons with shortened neurofilament H in the cortex. The in vivo effects of gintonin were also blocked by Ki16425. Conclusion: The present report raises the possibility that gintonin could enter the brain and exert its influences on the migration and morphology of adult mouse brain neurons and possibly explains the therapeutic effects of neurological diseases behind the gintonin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