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hydrogenase

검색결과 2,843건 처리시간 0.033초

Acinetobacter sp. Strain JC1 DSM 3803에 존재하는 일산화탄소 산화효소의 구성적 발현 (Constitutive Expression of Carbon Monoxide Dehydrogenase in Acinetobacter sp. Strain JC1 DSM 3803)

  • 노영태;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4-217
    • /
    • 1993
  • Carbon monoxide dehydrogenase (CO-DH) was found to be present in Acinetobacter sp. strain JC1 grown on CO and also on methylotrophic and heterotrophic substrates, except for pyruvate and nutrient broth. The amounts of CO-DH in cells grown on methylamine, glucose, galactose, and succinate were comparable to that of the CO-grown cells. CO-DH activity, however, was onot deteted by the dye-linked assay method in cell extracts prepared from cells grown on organic substrates, except on ethanol and succinate. THe activity was detected when the CO-DH was stained by activity using CO as a substrate. CO-DHs in cells grown on different substrates were found to be identical in immunological properties.

  • PDF

정자기장이 효소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ATIC MAGNETIC FIELDS ON MOLECULAR AND CELLULAR ACTIVITIES)

  • 박제구;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29-941
    • /
    • 1997
  • 가장 바람직한 교정력은 환자에게 불편감을 주지 않고 치조골 상실과 치근흡수와 같은 조직의 손상없이 가장 빨리 치아를 이동시키는 힘이다. 최적의 교정력을 얻기 위하여 그 동안 많은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자석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Sm-Co 자석의 정자기장이 효소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적혈구 침강속도가 측정되었으며, 철이온과 관련된 효소 (Catalase, NO synthase)와 철이온과 무관한 효소 (Lactic dehydrogenase)의 활성과 세포내 합성은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조골세포 $MC_{3}T_3-E_1$의 성장과 증식은 Crystal violet 염색법과 ${^3}H$-thymidine incorporation에 의한 DNA합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의 적혈구는 표면자기장이 1,400 G (gauss)인 자석에, 효소와 조골세포는 7,000 G의 정자기장에 노출시키고, 정자기장에 노출시키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적혈구 침강속도는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Catalase와 Lactic dehydrogenase의 활성은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NO synthase와 Lactic dehydrogenase의 세포내 합성은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세포배양된 조골세포 $MC_{3}T_3-E_1$의 성장과 증식은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정자기장은 효소와 세포 활성에 대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탈수소효소(脫水素酵素), 탈질균(脫窒菌) 및 황산환원균(黃酸還元菌)의 정량(定量)을 통(通)한 온산공단(溫山工團)과 마니산(摩尼山) 산림토양(山林土壤)의 동태(動態) 조사(調査) (Investigation on Forest Soil Dynamics at Onsan Industrial Estate and Mt. Mani by the Assay of Dehydrogenase Activity, Denitrifying and Sulfur-Reducing Bacteria)

  • 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106-112
    • /
    • 1998
  • 본 연구는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탈질소, 황 환원에 관여하는 세균류 및 탈수소효소 활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궁극적으로는 산림 토양생태계의 동태를 평가하는 도구로 탈수소효소를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오염지역으로 여겨지는 온산공단 주변과 해안의 청정지역인 강화도 마니산에서 각각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을 산정, 총 4개 임분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마니산 토양은 온산공단 주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기물, 질소, 유효인산 등의 함량이 높아 미생물의 활동에 유리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탈질균이나 황산환원균은 지역간 차이가 없었던 반면, 탈수소효소의 활성은 지역이나 시기에 따른 변화를 뚜렷이 나타내어 두 종류의 미생물 정량기법에 비하여 훨씬 민감하게 나타났다. 또한, 탈수소효소는 미생물의 활성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유기물함량(r=0.53. p=0.004), 전질소(r=0.41. p=0.008)나 C/Ava. P 비율(r=-0.52. p=0.001) 등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슷한 토성을 지녀야 비교가 가능하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지적을 감안하여 수행한다면, 토양생태계의 동태를 파악하는 지표로서 탈수소효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흰쥐에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숙취해소 효과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 유양희;이현미;정창식;이민재;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508-1512
    • /
    • 2016
  •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은 MIX-200군에서 EtOH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MIX는 높은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IX는 에탄올 대사 효소들의 활성 증가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감소시키는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무화과(Fig) 효소를 첨가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알코올 대사활성 함유 치즈의 제조 (Production of cheese containing alcohol metabolism using Lactobacillus with fig enzyme)

  • 이성재;양영헌;전종민;이기원;조인재;이성민;류정열;신원성;김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1-1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분해능이 높은 기능성 치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L. kitasatonis, L. amylophillus, L. mesenteroides sub. 및 무화과 효소를 이용하였다. 각각 균주의 에탄올, 내산 및 내담즙에 내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ADH 및 ALDH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10%의 무화과 효소를 첨가하였을 때의 ADH 활성도는 각각 $688.39{\pm}51.63$, $1054.98{\pm}79.12$, $825.28{\pm}61.89{\mu}mol$로 나타났으며 ALDH는 각각 $751.91{\pm}54.14$, $1209.93{\pm}87.11$, $891.09{\pm}64.16{\mu}mol$로 무화과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 amylophillus 균주를 이용하여 치즈를 제조한 뒤, 10%의 무화과 효소를 첨가하였을 때 ADH 및 ALDH 분해능이 무화과효소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보다 각각 252, 246%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무화과 효소를 첨가하였을 때, L. amylophillus을 이용한 치즈의 제품이 높은 알코올 분해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기능성 식품의 제조로써 무화과 효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렛트에 톨루엔 및 에탄올 전처치가 톨루엔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luene or Ethanol Pretreatment on Toluene Metabolism in Rats)

  • 차상은;전태원;윤종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96-305
    • /
    • 1998
  • 흰쥐에 있어서 toluene 또는 ethanol 전처치가 toluene 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 일환으로 흰쥐에 toluene 또는 ethanol을 경시별로 4주간 투여한 다음, 톨루엔을 1회 재투여한 후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간조직의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통한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체중당 간무게,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 활성 및 간조직 중 glutathione 함량 변동을 관찰한 결과, toluene 및 ethanol 전처치군 모두 가역적 간손상 정도가 관찰되었으며 톨루엔 및 에탄올 전처치군 간에 간손상 정도 차이는 볼 수 없었다. 이러한 실험동물 모델에서 toluene 및 ethanol 전처치군 모두 요 중 마뇨산 농도가 대조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toluene 대사에 관여하는 간조직의 cytochrome P-450 함량 및 benzylacohol(BAD) 또는 benzaldehyde dehydrogenase(BzAD) 활성치가 대조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요 중 마뇨산 농도와 BAD 및 BzAD 의 활성치는 톨루엔 전처치군이 에탄올 전처치군 보다 전 실험기간 동안 대체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간조직의 benzylalcohol dehydrogenase의 반응속도를 관찰한 결과 $V_{max}$치는 toluene 및 alcohol 전처치군 모두 대조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실험동물에 toluene 및 ethanol 전처치가 toluene 대사를 촉진시키며 이는 toluene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 PDF

흰쥐에 Toluene과 Alcohol의 병행투여가 Toluene 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Ethanol with Toluene Treatment for a Short Time Period on the Toluene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 윤종국;전재현;신중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76-980
    • /
    • 1996
  • 흰쥐를 대조군과 체중 100g 당 ethanol 0.3ml를 1일 1회 4일간 복강내로 투여한 실험군, 체중 100g당 toluene 0.3ml를 1일 1회 4일간 복강내로 투여한 실험군 및 ethanol 투여 2시간 후 toluene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lcohol 투여군, toluene투여군 모두 간 microsomal aniline hydroxylase(AH) 및 aminopyrine demethylase(AD) 활성도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Toluene과 ethanol의 병 행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AH 및 AD 활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 중 benzylalcohol dehydrogenase 활성도 역시 alcohol 및 toluene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toluene과 alcoho의 병행투여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본 효소 활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간조직 중 benzaldehyde dehydrogenase 활성도는 alcohol 및 toluene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lcohol과 toluene의 병행투여군은 toluene 투여군 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간조직 중 xanthine oxidase 활성도는 alcohol과 toluene 병행 투여군이 toluene 투여군 보다 유의하게증가되었다. 이상 실험성적을 종합해 볼 때 alcohol의 전처치는 toluene 대사 효소 활성도를 억제시켜 toluene 대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염건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제조 중 ADH 및 ALDH의 활성변화 (Changes in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during the Processing of Salt-Dri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심길보;이현진;이소정;조현아;윤나영;임치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94-599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salt dri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sun drying and cold-air drying, as measured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e processed salt dried rockfish samples. The salinity of rockfish samples was within 1% following salting with 25% salt brine for 3 h. The moisture content of salt dried rockfish was found to reduce linearly from 70.12 to 39.5 g/100 g over the same time interval. The water activities of salt dried rockfish by sun and cold-air drying were 0.94 and 0.87, respectively, after three days of drying. Acid values (AV) were 10.71 and 5.96 mg KOH/g, respectively, after the three day drying period. The ADH activity in a water extract from salt dried rockfish following sun and cold-air drying for 24 h was 228.5% and 226.1% at 13.3 mg/mL, respectively, and was higher than that when drying lasted for 48 and 72 h. The ALDH activity was not affected but both ADH and ALDH activity tended to decrease as the drying time increased from 24 to 72 h. The conditions of processing for the best quality of salt dried rockfish were determined to be drying with a cold-air system for 24 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ater extracts from salt dried rockfish have valuable biological attributes owing to the metabolizing of alcohol and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drying systems for salt dried rockfish.

레몬 머틀 잎 추출물의 Hep G2 세포에서의 간 보호 효과 및 알코올대사 효소활성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ep G2 Cells and the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of Lemon-Myrtle (Backhousia citriodora) Leaf Extracts)

  • 정경임;김판길;갈상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62-12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레몬 머틀 잎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항당뇨 효과와 미백 효과, 알코올 분해능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레몬 머틀 추출물의 혈당강하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각각 7.66%와 40.29%로 에탄올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고(p<0.05),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38.26%로 나타났다. 숙취 해소능을 알아보기 위해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효소 모두 레몬 머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레몬 머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tacrine으로 유도된 Hep G2 간암 세포주에 대하여 유의적인 보호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레몬 머틀 잎은 항당뇨효과와 숙취 해소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apefruit 종자추출물이 Enterobacter pyrinus의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y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Enterobacter pyrinus)

  • 이태호;정숙정;이상열;김재원;조성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85-990
    • /
    • 1995
  • Grapefruit 종자추출물(GFSE)에는 박테리아와 곰팡이류들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성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배나무에 병반에서 분리한 Enterobacter pyrinus도 GFSE를 가하여 준 배지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대조군이 stationary phase로 접어든 배양 20시간까지 GFSE의 최종 농도가 0.01%를 함유한 배지에서 E. pyrinus는 전혀 성장하지 못하였다. 항균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GFSE를 용매추출하여 친수성 분획과 소수성 분획으로 나누었을 때 억제 효과는 소수성 분획에서 관찰되었다. GFSE가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몇가지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본 결과, hexokin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와 succinate dehydrogenase 등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eta}-galactosidase$의 인위적 기질인 ONPG의 분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GFSE는 세포막에 영향을 끼침을 관찰하였다. GFSE의 항균 성분을 분리 확인하기 위해서 HPLC $C_{18}$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를 하여 5개의 peak를 얻었으며, 이중 1개의 분획에서 강한 항균 활성을 검출하였다. 이 분획을 GC-Mass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chloro-2-methyl-benzene (o-toluene), N,N-dimethyl-benzenemethaneamine, 1-[2-(2-ethylethoxy)ethoxy]-4- (1,1,3,3-tetramethyl)-bezene 이외에 분획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개의 물질을 포함하여, 확인하지 못한 3개의 물질이 있음을 알았으며, GFSE의 항균활성을 보이는 성분은 새로운 물질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