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ummed Soybean Oi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스크류 프레스의 대두유(大豆油) 착유(搾油) 성능(性能)과 착유유(搾油油)의 연료(燃料) 성질(性質) (Performance of a Screw Press to Extract Soybean Oil and Quality of the Oil as a Fuel)

  • 서상룡;에프 디 해리스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0권2호
    • /
    • pp.47-54
    • /
    • 1985
  • Performance of a screw press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with soybeans of various temperatures in order to find out a proper temperature of soybean to extract the oil by the mechanical method. Crude oil extracted by the screw press was chemically analyzed to determine a level of processing the oil for the oil to be used as a fuel for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The crude oil was degummed and dried by a plant type laboratory experimental setup to decide whether the processes are effective to improve quality of the oil as a fuel. The degummed oil and the degummed and dried oil were also chemically analyzed and were compared with the crude oil and the commercially degummed and dried soybean oi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extraction of soybean oil by a screw press, heating soybeans is effective to increase oil production and to decrease energy consumption of the press. A proper temperature of soybean to extract the oil by the press was determined as about $50^{\circ}C$. 2. Soybean oil production and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f the press are about 83 ml and 58 Wh per 1 kg of soybeans heated to about $50^{\circ}C$, respectively. 3. The quality of crude oil produced by the press is similar to that of the commercially degummed and dried oil. The crude oil does not need to be degummed or dried for use as an engine fuel.

  • PDF

볶은 대두로부터 착유한 대두유의 산화 안정성 및 향기 기호도 (The Oxidation Stability and Flavor Acceptability of Oil from Roasted Soybean)

  • 임무혁;최종동;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25-430
    • /
    • 1995
  • 대두의 볶음 처리와 정제 처리가 대두유의 산화 안정성과 향기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45^{\circ}C$, 형광하에서 저장하면서 측정한 과산화물가는 볶은 대두에서 착유한 원유(原油)(crude oil from roasted soybean, CORS)보다 볶지 않은 대두에서 착유한 원유(原油)(crude oil from unroasted soybean, COUS)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Rancimat법에 의한 유도 시간은 COUS가 44.9시간, CORS는 88.7시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제 단계별 시료들의 과산화물가 변화에 의한 산화 안정성은 원유(原油)>탈검유>탈산유>탈취유>탈색유의 순서인 반면, Rancimat법에 의한 유도 시간을 지표로 하였을 때는 원유(原油)>탈검유>탈취유>탈산유>탈색유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제 과정별 시료들의 유도 시간-갈변도와 유도시간-phosphorous의 함량간에는 고도의 유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도 시간-tocopherols 함량간에는 유의 상관이 없었다. 볶은 후 착유한 원유(原油), 참기름과 시판 대두유의 향기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참기름이 9.269로 나타났고, CORS는 8.269였지만 이 두 시료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 PDF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식용유지 정제용 흡착제 개발 (Development of Adsorbents for Edible Oil Refining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 최은수;길복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6-401
    • /
    • 2010
  • 본 연구는 농산부산물인 왕겨, 보리외피, 대두외피에 적당한 열처리 및 활성화 처리를 하여 다양한 크기의 다공성 표면을 가진 회화재 및 활성탄 형태의 흡착제를 제조하여 식용유지의 불순물인 유리지방산과 색소 성분인 lutein에 대한 흡착 효과를 살펴보았다. 회화재 형태의 흡착제인 왕겨 회화재(RHA), 보리외피 회화재(BHA), 대두외피 회화재(SHA)는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리지방산 흡착 효과도 증가하여 대두 유의 산가가 감소하였는데 SHA와 BHA의 유리지방산 흡착효과가 컸고 RHA와 실리카의 효과는 작았다. SHA와 BHA는 5% 처리시 탈검 대두유의 산가를 82~86% 감소시킨데 비해 RHA는 29%, 실리카는 19% 감소시켰다. 회화재 형태의 흡착제 처리와 달리 활성탄 형태의 흡착제인 왕겨 활성탄(RHC), 보리외피 활성탄(BHC), 대두외피 활성탄(SHC)은 처리 농도를 증가시켜도 유리지방산 흡착 효과가 증가하지 않았다. RHC는 5% 처리시 탈검 대두유의 산가를 16%, BHC와 SHC는 8~10% 감소시켰으나, 상업용 활성탄은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흡착제 종류별 lutein 제거 효과에서는 회화재 형태의 흡착제의 경우 7~8%의 미미한 감소를 보인 반면, 활성탄 형태의 흡착제의 경우 5% 처리 농도에서 RHC는 56%로 가장 큰 흡착 효과를 보였고, BHC는 41%, SHC는 52%, 상업용 활성탄은 49%의 lutein 함량 감소를 나타냈다. 따라서 lutein에 대한 흡착 효과는 회화재 형태의 흡착제보다 활성탄 형태의 흡착제가 훨씬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회화재 형태의 흡착제들은 비표면적과 전체 세공 부피는 작으나 세공의 크기가 큰 중간 세공이나 거대 세공으로 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런 특성이 유지 중에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 흡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색소 성분인 lutein은 회화재 형태의 흡착제 처리에서는 거의 감소 효과가 없고 활성탄 형태의 흡착제에서 감소 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아 미세 세공에 흡착되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흡착제를 이용하여 식용유지를 정제할 때는 회화재 형태와 활성탄 형태의 흡착제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유리지방산과 lutein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HPLC를 이용한 대두유 인지질의 분석 (Analyses of Phospholipids in Soybean Oils by HPLC)

  • 윤석후;민병성;여영근;엘에이호라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68
    • /
    • 1987
  • 헥산으로 추출한 대두유의 탈취유와 클로로포름-메타놀로 추출한 대두원유내에 존재하는 인지질의 정성정량 분석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헥산으로 추출한 대두원유, 탈검유, 정제유, 탈색유 및 탈취유의 인함량은 각각 510, 120, 5, 1.4. 1ppm이었으며 클로로포름-메타놀로 추출한 대두원유의 인함량은 800ppm이었다. 원유내에서 확인된 인지질은 포스파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타놀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틀,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산이었으며, 탈취유에서는 포스파티딜세린과 포스파티딜에타놀아민만이 검출되었다. 이 분석방법을 사용하면 대두유내의 모든 인지질을 30분이내에 개별적으로 분리하고, 0.1ppm수준까지 정량분석할수 있다.

  • PDF

Effect of lipid source and emulsifier on productiv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broilers

  • Tenorio, Karine Isabela;Eyng, Cinthia;Duarte, Cristiane Regina do Amaral;Nunes, Ricardo Vianna;Broch, Jomara;Nilton, Rohloff Junior;Kohler, Tania Luiza;Cirilo, Edinan Hagdo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호
    • /
    • pp.54-6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placement of degummed soybean oil (DSO) by acid soybean oil (ASO) in diets with or without the inclusion of emulsifier on broiler performance, relative organ weight, lipase activity, intestinal morphometry, and nutrient digestibility. Methods: A total of 704 1-day-old male broiler chicks were allotted to a 2×2 completely randomized factorial design (with or without emulsifier × two lipid sources [ASO and DSO]), with eight replicates and 22 birds each. The metabolizable energy level in diets with emulsifier was reduced by 40 kcal/kg from 1 to 21 d and 50 kcal/kg from 22 to 49 d. Results: Broilers fed diets containing ASO without emulsifier had higher (p = 0.005) weight gain than DSO-fed animals and with the inclusion of emulsifier had worse (p = 0.018) feed conversion ratio (FCR). Birds fed diets with emulsifier worsened FCR regardless of lipid source from 1 to 21 days (p = 0.006) and from 1 to 49 days (p = 0.0002). There was an increase (p = 0.026) in the relative pancreas weight, at 14 days, in birds fed diets containing ASO. Lipase activity and morphometry of the duodenum and jejunum, at 14 and 21 days, were not affected (p>0.05). The dietary inclusion of emulsifier improved the digestible energy (p = 0.053) in the presence of ASO. For the digestibility coefficients (gross energy, crude protein, and mineral matter), no interference was observed (p>0.05). Conclusion: The inclusion of emulsifier to energy-restricted diet with ASO maintained broiler performance in the first week, but worsened FCR in subsequent phases. The ASO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lipid source to DSO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rp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broilers. The combination of ASO and emulsifier increased the digestible energy content by 6.2%.

대두유의 탈취과정에서 생성되는 trans 지방산의 정량 (Effect of Deodorizing Conditions on Formation of trans-Fatty Acids of Soybean Oil)

  • 박철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2
    • /
    • 1998
  • Trans 지방산의 생성은 탈취온도 $240^{\circ}C$에서 2시간 탈취시부터, $250^{\circ}C$에서 1시간 탈취시부터 생성되었으며, 검출된 함량은 각각 0.70%, 2.15%이었다 한편 이들 trans 지방산을 GC-MS 의하여 동진한 결과 $C_{18:2}\;{\Delta}9-cis,\;{\Delta}12-trans,\;C_{18:2}\;{\Delta}9-trans,\;{\Delta}12-cis,\;C_{18:2}\;{\Delta}9-cis,\;{\Delta}12-cis,\;{\Delta}15-trans,{\;},C_{18:3}\;{\Delta}9-trans,\;{\Delta}12-cis,\;{\Delta}15-cis,\;C_{18:3}\;{\Delta}9-cis,\;{\Delta}12-trans,\;{\Delta}15-cis$로 추정하였다. Trans 지방산의 생성 억제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첨가된 citric acid및 catechin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trans 지방산의 생성 억제에는 효과가 없었다. 탈취된 대두유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값, 과산화물값 등을 측정한 결과 $240^{\circ}C$에서 2시간 이하 또는 $250^{\circ}C$에서 1시간 이하의 탈취조건에서 가장 좋은 대두유의 성상을 나타냈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면 $240^{\circ}C$에서 2시간 또는 $250^{\circ}C$에서 1시간의 탈취조건에서 trans 지방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 조건에서 탈취된 대두유의 품질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