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 Day

검색결과 1,247건 처리시간 0.032초

인공산성(人工酸性)비의 철수(撤水) 및 분무(噴霧)가 배추, 무, 콩에 미치는 영향(影響) (Response of Chinese Cabbage, Radish and Soybean Exposed to Sprinkle and Mist of Simulated Acid Rain)

  • 박선도;이석순;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5-340
    • /
    • 1996
  • 인공산성비가 배추, 무, 콩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저 인공산성비(pH 2.7)와 자연비(pH 6.0)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살수(撒水)와 분무(噴霧) 처리하였다. 배추와 무는 30회, 콩은 62회 처리하였으며, 가시적 피해증상과 피해율, 엽록소 함량, 수량 및 수량관련특성, 식물체 무기양분 함량,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산성비에 의한 가시적 피해증상은 배추는 담갈색 혹은 적갈색 반점이 생기고, 잎은 윤기가 없었다. 무는 잎 가장자리가 다소 위축되고, 담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잎에 윤기가 없었다. 콩은 담갈색과 적갈색의 반점이 생기면서 잎의 가장자리가 위축되었다. 2. 인공산성비에 의한 피해정도는 3작물 모두 인공산성비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살수(撒水)보다 분무(噴霧)에서 다소 더 컸다. 3. 엽록소 함량은 인공산성비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인공산성비의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인공산성비 처리는 3작물의 수량을 모두 감소시켰으나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수확기 배추, 무, 콩의 식물체 칼리, 석회, 고토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황 함량은 증가되었고,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시험후 토양의 화학성은 인공산성비 처리로 토양 pH, 석회, 고토, 칼리 함량은 감소시켰으나 황 함량은 증가하였고, 유기물, 전질소, 인산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 토양의 화학성은 차이가 없었다.

  • PDF

인공산성(人工酸性)비 후(後) 일반(一般)비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작물생육(作物生育)과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 (Crop Performanc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ffected by Amounts of Normal Water after Simulated Acid Rain)

  • 김복진;박선도;이석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1-347
    • /
    • 1996
  • 인공산성비 다음에 처리된 일반비가 배추, 무, 콩의 생육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공산성비(pH 2.7)를 5mm, 10mm를 살포한 후 일반비를 각각 0, 5, 10mm 씩 살포하는 처리를 3일 간격으로 배추와 무는 20회, 콩은 42회 실시하여 작물의 가시적 피해증상, 엽록소 함량, 수량 및 수량과 관련된 특성, 식물체 및 토양의 무기 양분 함량 등을 분석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무, 콩의 가시적 피해정도는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심한 편이었고, 일반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감소되었다. 피해증상은 잎이 담갈색, 연록색으로 변하고, 황백색의 괴사 반점이 생기면서 잎 가장자리가 위축되었다. 2. 엽록소 함량은 배추, 무, 콩 모두 인공산성비 5mm보다 10mm 처리에서 높았고, 인공산성비 처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3. 배추, 무, 콩 등의 수량은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또 인공산성비 살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4. 식물체중 무기양분 함량은 일반비 처리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무와 콩의 황 함량은 인공산성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5.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배추, 무, 콩 모두 토양 pH는 다소 감소하였고, 질소와 황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유기물, 인산, 치환성 칼슘, 마그네슘 및 칼리 함량 등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부분층 화상에 적용한 건조소양막과 동종배양표피세포의 치료효과 비교 (Comparison of Treatment Effect of the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 and the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 in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 여현정;김준형;정영진;손대구;한기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385-392
    • /
    • 2009
  • Purpose: In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despite of several advantages, the use of human amniotic membrane has been limited. The authors applied dried bovine amniotic membrane(DBAM) to overcome disadvantages of amniotic membrane for partial thickness burn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with cultured allogenic keratinocytes(CAK) that have been recently used for the management of burn. Methods: 16 patients with partial thickness burn, the mean age of 38 ranging 12 to 59 years, between August 2007 and May 2008 were assigned to this study. Either DBAM or CAK was applied, and the secondary dressing was removed on the following day. To compare treatment effect, time for epithelization, Vancouver scar scale and chromameteric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time for epithelization of DBAM was 10.1 days, that of CAK was 9.1 days, and they were shorter than the previous 2 - 3 weeks. At the follow up Vancouver scar scale was 2.8 for DBAM and 3.0 points for CAK and showed good results. The result of chromameter showed that the $L^*$, $a^*$, and $b^*$ values of the area applied DBAM were 60.1, 13.6, and 13.3, respectively, and the values of the area applied CAK were 60.1, 12.4, and 12.4,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skin color of the healed area after burn was darker, the redness was higher, and the yellowness was lower. After dressing, significant side effects were not observed, and in the cases of applying CAK, it was inconvenient as the moving area had to be fixed. Conclusion: With CAK, DBAM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the shortening of the epithelization period, reduction of scar and pigmentation, and convenient application, etc. Thus it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partial thickness burn management.

봄 출현 나방의 지역별 종 다양성 양상과 출현에 미치는 기후영향 연구 (Regional Diversity Pattern of Spring Moths and Climatic Effects on Moth Catches)

  • 노동호;김성수;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30-36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 중부지방 용인과 남부지방 무안에서 봄 출현 나방의 다양성 양상과 나방 종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나방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4월 한 달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자외선등 트랩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기후요인은 $8^{\circ}C$를 기본으로 한 적산온도 (GDD8), 평균온도, 강우량, 일조시간, 풍속, 신적설 등이다.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기후요인은 단기 (채집주부터 3주전까지)와 장기 (채집 4~12주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봄 출현 나방은 과 구성에서 유사한 양상을 띠었지만 지역별로 우점한 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나방과는 중부지방에서 우점한 반면 밤나방과는 남부지방에서 우점하였다. 밤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초에 나타난 반면 자나방과의 우점종은 4월 말에 나타나 시간적인 차이도 나타내었다. GDD8, 일조시간, 채집 일주일 전 강우량 등 3개의 단기 기후요인은 나방 종 수 및 개체수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채집 4주전 평균기온만 장기 기후요인으로 나방 종 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봄 출현 나방으로 자나방과와 밤나방과 종이 우점하며 이들은 4월 중 우점도와 비행시기에 차이가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봄 출현 나방은 따뜻함과 강우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는 봄 출현 나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남성 사무직 관리자의 생활습관, 스트레스 수준과 과민성 대장증후군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the Level of Stress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on 1498 Male White Collars)

  • 김종렬;엄상화;전진호;정수진;이창희;정귀원;최순석;배기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791-804
    • /
    • 1997
  • Irritable bowel syndrome(IBS) is one of the common health problem that has been considered as stress-induc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and the level of stress and IBS by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questions on life style, the self-esteemed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PWI). Subjects were 1,498 male white collars who get the regular health check and participated in survey at Inje University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January to ,December, 1996. The overall prevalence of IBS was 37.5%(561 cases), and the level of stress by PWI score was higher in IBS group$(41.8{\pm}14.2)$ than symptom-free group$(34.6{\pm}12.6)$. As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heavier smoking (adjusted O.R=2.48, 95% C.I 1.81-3.41), longer daily working time (adjusted O.R=5.19, 95% C.I 3.59-7.56), stimulatory food materials-mainly hot or salty (adjusted O.R=1.87, 95% C.I 1.44-2.45), higher body mass index (adjusted O.R=1.80, 95% C.I 1.27-2.57), and higher level of stress (adjusted O.R=2.81, 95% C.I 1.80-4.43) were estimated as risk factors of IBS. On the contrary, 6-8 hours sleeping per day (adjusted O.R=0.38 95% C.I 0.21-0.70), 3-4 times exercise per week (adjusted O.R=0.57 95% C.I 0.39-0.83), and tenure more than 20 years (adjusted O.R=0.25 95% C.I 0.16-0.35) were considered as protective factors to IBS. In summary, the assessment of the stress level might be placed in the first priority to control IBS, at least by some degree, which suggested that IBS could be controlled by avoiding such risk factors and by encouraging such protective factors.

  • PDF

PEG의 함량에 따른 알모트립탄 PVA 하이드로겔의 성질비교와 경피흡수형 제제로서의 가능성 확인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Almotriptan PVA Hydrogel Depending on the Ratio of PEG and Confirmation of Potential as Transdermal Formulation)

  • 강세미;정영진;이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7-446
    • /
    • 2014
  • 트립탄 계열의 약물을 경구 복용 시에 트립탄은 소화 시스템에 의하여 생물학적 이용도가 감소되며, 혈중 약물 농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고, 위장 장애의 가능성 등이 있다는 문제들을 나타낸다. 일반 겔 패치의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하여 패치는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 패치의 주가 되는 메트릭스의 고분자는 PVA를 사용하였고, PEG는 PVA의 분자 간/분자 내 수소결합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물로서 사용되었고 알모트립탄 약물이 부가되었다. 또한 PVA 체인간의 미세 상분리를 가속하기 위해 매우 낮은 온도에서 액체질소가 사용되었다. FT-IR 분석에서 PVA, PEG 그리고 알모트립탄의 흡수 밴드를 확인하였다. PEG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화도, 수분흡수력과 인장강도들은 증가하였다. 약물방출 실험에서 약물 방출량은 PEG의 함량이 높은 하이드로겔이 약물 방출 시에 팽윤이 더 잘 이루어져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10 wt%의 PEG를 첨가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약물 방출량이 가장 좋았다. 또한 10 wt%의 PEG가 함유된 하이드로겔은 2시간째까지 전체 약물의 약 60%가 방출됨을 확인하였고, 24시간째까지도 방출이 계속되었다. 따라서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triptan의 1차 투여 이후 24시간 이내에 재발하는 편두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트립탄의 2차 투여를 위한 경피흡수형 패치로서 적합하다.

제지슬러지 퇴비화를 위한 요소 첨가효과 (Composting of Paper Mill Sludge by the Addition of Urea)

  • 이인복;장기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53-462
    • /
    • 2000
  • 판지슬러지는 유기물 함량이 높은 반면 중금속 함량은 낮아 농업적 재활용이 유망한 것으로 판단되나 농업적으로 이용하기 전에 농업환경에 대한 위해성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퇴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지슬러지를 효율적으로 퇴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요소의 첨가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제지슬러지에 대하여 0~6% 범위의 요소를 첨가한 다음 정체식 시설에서 약 80일 동안 퇴비화를 실시하였고, 정체식 시설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명된 처리구는 공장규모의 교반식 시설을 이용하여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체식 시설을 이용한 제지슬러지 퇴비화 동안 부숙온도, 탄질율, 양이온치환용량, 식물독성 등을 조사한 결과 요소 3% 이하 처리구가 퇴비화하기에 적절하였다. 이들 처리구중 요소 0%와 3% 처리구들을 대상으로 교반식 시설에서 퇴비화한 결과 부숙과정중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의 변화는 정체식 시설과 유사하였다. 비록 교반식의 경우 80일 이후에도 $50^{\circ}C$ 부근의 고온이 유지되었으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고려해 볼 때 정체식 시설에서는 약 50~60일, 그리고 교반식시설에서는 약 30~40일 사이에 안정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안정화된 제지슬러지 퇴비의 색깔이 전반적으로 밝아서 퇴비제조시 암색화를 촉진하기 위한 부재료의 첨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Immature Development, Longevity and Fecundity of the Larval Parasitoid, Meteorus pulchricornis (Wesmael) (Hymenoptera: Braconidae), on Tobacco Cutworm

  • Hwang, Seok-Jo;Byeon, Young-Woong;Lee, Seol-Mae;Kim, Jeong-Hwan;Choi, Man-Young;Kim, Sung-Hyun;Kim, Nam-Jeong;Park, Hae-Chul;Lee, Young-Bo;Lee, Sang-Beom;Lee, Jo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1권2호
    • /
    • pp.180-183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longevity and oviposition of an indigenous larval parasitoid, Meteorus pulchricornis, on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M. pulchricornis were reared at nine constant temperatures between 15 and $35^{\circ}C$. The developmental times of each three developmental stage decreased from 38.7 to 16.3 d between 15 and $30^{\circ}C$. However, M. pulchricornis showed longer developmental time at $32.5^{\circ}C$ (9.5, 7.7 and 17.2 days for each three developmental stage) than at $30^{\circ}C$ (8.9, 7.3 and 16.3 days for each three developmental stage). Immature M. pulchricornis could not develop any more at $35^{\circ}C$. The lower developmental threshold estimated by 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the egg to cocoon, cocoon to adult emergence and egg to adult emergence were 5.1, 4.6 and $4.5^{\circ}C$. The thermal constant for each of the three stages were 217.2, 176.2 and 403.8 degree-days, respectively. When no food or 50% honey solution as a food source is provided for M. pulchricornis, the parasitoid survived for 8.3 and 55.9 days at $25^{\circ}C$, respectively. M. pulchricornis females laid 5.2 eggs daily and total of 131.6 eggs at $25^{\circ}C$ until it died. Peak age-specific fecundity was observed on $14^{th}$ day (9.6 cocoons) after parasitoid emergence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Dimethylsulfoxide로 분화시킨 HL-60 세포의 yoxoplasma 파괴 효과 (Toxoplasmacidal Effect of HL-60 Cells Differentiated by Dimethylsulfoxide)

  • 최원영;남호우;유재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29-238
    • /
    • 1988
  • HL-60세포에서 Toxoplasma gondii의 in vitro배양과 HL-60세포를 DMSO로 처리하여 과립세포로 분화시킨 세포에서 Toxoplasma에 대한 세포매개성 면역 기능을 검토하였다. 먼저, HL-60 세포를 여러 농도의 DMSO로 처리하였는데, 1.3%(V/V)로 3일간 처리하였을 때, HL-60 세포 의 적정 분화가 이루어졌다. 분화의 정도는 형태적, 생리적, 및 기능적 관점에서 검사되었는데, DMSO를 처리한 경우, 3H-thymidine의 흡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DNA 합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으며, 기능적으로는 주화성 물질인 FMLP에 대해 이동하는 성질을 보였으며, 형태적으로는 핵1세포질의 비가 큰 promyelocyte에서 작은 비를 갖는 과립 세포로 변화하여 분화를 입증하였다. 이후, HL-60 세포나 DMSO로 분화를 유도한 HL-60 세포와 Toxoplasma를 같이 배양하면서 이들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Lysosome에 선택적으로 흡입되는 형광 물질(acridine orange)로 전처리한 표본은 형광현미경하에 서 관찰하였으며, 다른 표본은 Giemsa로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HL-60 세포에서는 72시간의 배양으로 Toxoplasma가 세포질내에서 증식하여 rosette를 형성하였으며, DMSO로 분화시킨 HL-60 세 포에서는 배양 초기 1시간째에 phagocytosis가 일어났으며 이후 세포내 소화가 이루어져 72시간째에는 lysosome이 원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Toxoplnsma의 숙주 세포내에서의 기생 혹은 면역 세포에 의한 감수성에 phagosome 과 Iysosome의 융합이 결정적인 인자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HL-60 세포에서의 Toxoplasma의 증식 가능성과 DMSO로 분화시킨 HL-60 세포의 Toxoplasma 파괴 효과가 원충 기생충과 숙주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는 좋은 모델임을 제시하였다.

  • PDF

관동맥질환에서 디피리다몰부하 $^{99m}Tc$-MIBI 심근 SPECT 극성지도와 관동맥 조영소견의 비교 (Comparison of Polar Maps of Dipyridamole Stress/Rest MIBI Myocardial SPECT and Coronary Angiography in Coronary Artery Disease)

  • 이명철;이동수;이명용;최창운;손대원;정준기;이명묵;박영배;서정돈;이영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58
    • /
    • 1993
  • We have anlayzed the polar maps of dipyridamole stress/rest $^{99m}Tc$-MIBI SPECT and compared the quantitated perfusion defects of dipyridamole stress polar map and the findings of coronary angiography in 56 patei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We performed the same day dipyridamole stress-rest myocardial SPECT, reconstructed the polar maps according to Cedars-Sinai method and quantitated perfusion detects of total myocardium and the territory of each artery, comparing the polar maps of patients with normal files. Stenosis more than 50 percent was considered significant and myocardial ischemic score was calculated as summed score of percents of main coronary arteries. Positive concordance of myocardial SPECT with coronary angiography were 82.6% with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 85.7% with left circumflex artery (LCx) and 78.6% with right coronary artery (RCA). Perfusion defect of SPECT polar map and the stenosis of coronary artery showed the contingency phi of 0.55 (p<0.0001) with total atreries, 0.38 (p = 0.016) with LAD, 0.50 (p<0.0001) with LCx and 0.40 (p = 0.007) with RCA. Dipyridamole stress percent defect of polar map was correlated with myocardial ischemic score with Spearman's rho of 0.47 (p = 0.001) in total arteries, 0.48 (p=0.001) in LAD, 0.56 (p < 0.001) in LCx and 0.38 (p=0.002) in RCA.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defect of the dipyridamole stress myocardial $^{99m}Tc$-MIBI SPECT and the percent extent of this defect were related with significant artery stenosis of individual arteries and the degree of stenosis. We thought that we could use the defects in the polar map of dipyridamole stress $^{99m}Tc$-MIBI SPECT for the quantification of myocardiasl perfusion decr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