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aded document image binariz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Stroke Width-Based Contrast Feature for Document Image Binarization

  • Van, Le Thi Khue;Lee, Guees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0권1호
    • /
    • pp.55-68
    • /
    • 2014
  • Automatic segmentation of foreground text from the background in degraded document images is very much essential for the smooth reading of the document content and recognition tasks by machine.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approach to the binarization of degraded document images. The proposed method uses a new local contrast feature extracted based on the stroke width of text. First, a pre-processing method is carried out for noise removal. Text boundary detection is then performed on the image constructed from the contrast feature. Then local estimation follows to extract text from the background. Finally, a refinement procedure is applied to the binarized image as a post-processing step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nal results. Experiments and comparisons of extracting text from degraded handwriting and machine-printed document image against some well-known binarization algorithm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저화질 문서영상들을 위한 적응적 이진화 알고리즘 (An Adaptive Binarization Algorithm for Degraded Document Images)

  • 주재현;오정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A호
    • /
    • pp.581-585
    • /
    • 2012
  • 본 논문은 인쇄체 한글과 한자를 포함하는 저화질 문서영상에 효과적인 이진화 알고리즘을 제안하다. 가는 가로획과 굵은 세로획으로 구성된 문자 속성 때문에 기존 알고리즘은 저화질 문서영상에서 세로획보다 약한 성분을 갖는 가로획을 쉽게 검출할 수 없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전방향 참조 적응적 알고리즘에 수직 방향 참조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기존 알고리즘이 갖는 문제를 해결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다양한 저화질 문서영상들에서 문자를 잘 추출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DP-LinkNet: A convolutional network for historical document image binarization

  • Xiong, Wei;Jia, Xiuhong;Yang, Dichun;Ai, Meihui;Li, Lirong;Wang, S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5호
    • /
    • pp.1778-1797
    • /
    • 2021
  • Document image binarization is an important pre-processing step in document analysis and archiving. The state-of-the-art models for document image binarization are variants of encoder-decoder architectures, such as FCN (fully convolutional network) and U-Net. Despite their success, they still suffer from three limitations: (1) reduced feature map resolution due to consecutive strided pooling or convolutions, (2) multiple scales of target objects, and (3) reduced localization accuracy due to the built-in invariance of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DCNNs). To overcome these three challenges, we propose an improved semantic segmentation model, referred to as DP-LinkNet, which adopts the D-LinkNet architecture as its backbone, with the proposed hybrid dilated convolution (HDC) and spatial pyramid pooling (SPP) modules between the encoder and the decoder. Extensive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recent document image binarization competition (DIBCO) and handwritten document image binarization competition (H-DIBCO) benchmark datasets.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DP-LinkNet outperforms other state-of-the-art techniques by a large margin. Our implementation and the pre-trained models are available at https://github.com/beargolden/DP-LinkNet.

카메라 기반 문서 인식을 위한 적응적 이진화 (Adaptive Binarization for Camera-based Document Recognition)

  • 김인중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32-140
    • /
    • 2007
  • 카메라 영상은 명도의 변화와 부정확한 초점으로 인해 스캐너 영상에 비하여 화질이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 영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화질 저하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하여 카메라기반 문서 인식에 적합한 이진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평가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이진화 방법을 기반으로 하되, 낮은 조도와 부정확한 초점으로 인해 명도 대비가 낮은 영상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하였다. 또한 이진화 시 국소 윈도우를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에서 뭉개지기 쉬운 문자의 세부 구조를 섬세하게 추출하도록 개선하였다. 실험에서는 기존에 우수하다고 평가된 이진화 방법들과 제안하는 방법을 문서 인식에 적용하여 다양한 카메라 문서 영상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카메라로 입력받은 문서 영상의 인식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