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iduous Tree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8초

온대낙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계절과 고도에 따른 먹이활동 양상 연구 (Seasonal and Elevational Pattern of Herbivore's Feeding Activity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

  • 김낭희;최세웅
    • 생태와환경
    • /
    • 제47권1호
    • /
    • pp.24-31
    • /
    • 2014
  • 본 연구는 온대활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먹이 활동이 계절 및 고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지난 3년간(2011~2013) 지리산국립공원의 고도가 다른 세 지역(피아골, 시암재, 노고단)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각 지역에 서식하는 수종(3종)을 선정하여 4월부터 6월까지 1~2주마다 초식곤충의 식흔 활동을 식흔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고도가 가장 낮은 피아골(${\approx}300m$)에서 가장 먼저 식흔이 나타났고, 중간고도인 시암재(${\approx}900m$)에서는 가장 많은 식흔이 조사되었다. 고도가 가장 높은 노고단(${\approx}1300m$)에서는 식흔이 가장 늦게 나타났지만 짧은 시간에 급속히 식흔의 총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에 발표된 연구를 토대로 한 결과 초식곤충의 활동시기는 조류(곤줄박이)의 첫 산란일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곤충-2차 소비자(조류)와 밀접한 관련을 보여준다. 기후 환경이 변함에 따라 초식곤충 활동의 기간이 바뀌게 될 것이며 이러한 먹이사슬의 변동을 감시할 수 있는 지속적인 장기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도시 낙엽성 조경수종의 탄소저장 및 흡수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Deciduous Tree Species for Urban Landscape)

  • 조현길;안태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60-168
    • /
    • 2012
  • 본 연구는 직접수확법을 통해 도시 낙엽성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감 계량화에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도시조경수로 흔히 식재되는 단풍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및 은행나무이었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한 수목을 구입하여,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산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4개 수종별 생장에 따른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4~0.99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단목의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은 모두 직경생장과 더불어 증가하였고, 직경급간 그 차이도 대개 직경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동일 직경에서는 느티나무가 가장 높은 경향이었고, 다음으로 왕벚나무, 은행나무 등의 순이었다. 유도한 회귀식을 적용하면,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단목은 약 54kg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연간 7kg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는 정부나 지자체의 도시녹지 사업과 관련하여 조경수목의 탄소저감을 평가하는 공공기반기술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네종 작물에 대한 Juglans regia L.의 알레로패티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Walnut Plants (Juglans regia L.) on Four Crop Species)

  • Hussai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93-100
    • /
    • 1991
  • Juglans regia L. 나무밑에는 다른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그 임상토양, 수용추출액, 빗물 등을 써서 작물을 심어 본 결과 발아와 생장이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 억제물질을 찾기 위해서 Juglans regia L. 나무의 수용추출액과 빗물을 종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여 ferulic acid, p-coumar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chlorogenic acid, gallic acid를 분리확인했으며, 이 물질들이 억제작용에 관계한 것으로 추정한다.

  • PDF

Ethno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Mochrus (Bombax ceiba Linn.): An overview

  • Rani, Seema;Rahman, Khaleequr;Sultana, Arshiya
    • 셀메드
    • /
    • 제6권1호
    • /
    • pp.2.1-2.9
    • /
    • 2016
  • Traditional system of medicine mentioned the use of plants in treatment of various human ailments. Mochrus (Bombax ceiba Linn.) is one of the medicinal plants used in Unani medicine since time immemorial. It is a very tall tree with approximately 150 feet height. It is widely found in temperate Asia, tropical Asia, Africa and Australia. In India, it can be found at altitudes up to 1500 m. In peninsular India, the tree is very common in the dry as well as moist deciduous forests and near rivers. It is reported to possess qabiz (constipative); mujaffif (siccative); muqawwi rehm (uterine tonic); nafi sailan rehm (beneficial in leucorrhea); mumsik wa mughalliz mani (increase consistency of semen); muallide mani (production of semen); habise tams (amenorrhoic); dafi fasaad khoon wa safra (purifies blood and bile); taskeen hiddat aza (hotness of organs); muqawi asnan wa lissa (tonic to teeth and gums) etc. Ethnobotanical studies prove that it is used in diarrhoea, asthma, impotency, boils, wounds, leprosy, pimples and many other skin diseases. It is an anthelmintic remedy since ancient time. Pharmacological studies like hypotensive, antioxidant, analgesic, anti-inflammatory, antipyretic, antiangiogenic, anti- bacterial, cytotoxic, hepatoprotective, diuretic, anthelmintic, anticancer, spermatogenic and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ies have been evaluated for various parts of this plant that confirms to its use in classical medicine.

도시녹지의 생태학적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안산 도시자연공원을 중심으로- (Studies on Urban Green Open Spac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Ecological Approach -A case study of Ansan urban nature park in Seoul-)

  • 오충현;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5-137
    • /
    • 1993
  • Ansan urban nature park is 197.8ha and located in Seodeamun-Gu of Seoul. Flora of Ansan consisted of 141 species, 76 genera, 40 families in woody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stablish the park management plan with ecological approa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hort term plan shall be performed in six vegetation management zones;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zone, Sorbus alnifolia community zone,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zone, Populus ${\times}$albagrandulosa community zone, Pinus densiflora community zone, and landscape planting zone. Pinus densiflora and landscape planting zones shall be managed artificially, the others managed with ecological approach. 2. The long term plan shall be performed in four vegetation management zones;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zone, Quercus spp. community zone, Pinus densiflora community zone, and landscape planting zone. Pinus densiflora and landscape planting zones shall be managed artificially, the others managed with ecological approach. 3. Because soil of Ansan is acidified and the soil disturbed growth of plants, the improvement of soil is necessary. The fertilization shall be performed in three zones; evergreen confierous tree zone(ex. P. densiflora), Quercus spp. zone, and the other deciduous tree zone(ex. R. pseudoacacia).

  • PDF

Two Types of Forest Vegetation in Kyungpook Area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3권1_2호
    • /
    • pp.17-20
    • /
    • 1980
  •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btained by ecological investigation of ilora in Muie Island of Incheon Harbor in the xestern coast in Korea. 14 varieties, 1-27 species, 57 families and 142 genera of Tracheophyta were recorded by field investigations conducted over three times in May and July, 1976 and August, 1980. The flora of this island showed a plant community predominated by Pinus densiflol-a grown in miggle with Carpinus laxiflora, Quel-cus serrata and Rhododendron muucronulatum. Generall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was scarce, but it was an unexpected result that such remote mountainous plants as Lysinzachia clethrozdes, Sy7zeilesis palnzata and Lilzunz disttcum etc. were encountered in a wood surrounding Seohwang-dang, the shrine of a tutelary deity, on 126-Meter Hill at the northern end of the island. There also countered in Hoyong mountain valley we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without pine tree which mainly consisted of Prunus leveillea7za, Fraxinus rhynchophylla, Platycarya strofilada,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znza and Acer mono. In addition, herbaceous plants, such as Syneilesis palmata, Codonopsis lanceolata and Lysi\ulcornerna barystnchy were grown as the undergrowth of these forests. Drosera rotundifolio, an unlooked-for plant, .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eastern coast of the island. Camellia japo7tica was grown spontaneously in Deogjeog Island 261cm southwest from the island, while no evergreen broa-leaved tree could be located except 2 species of Vztex rotztndifolia and Euo~zymus japonrca. It may be considered that such simple flora of this island compared with that of land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formation of the former took place in the period far latter than that of the latter.

  • PDF

해남 달마산 상록활엽수림 식생과 생태적 특성 (The Veget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rm Temperate Forest in Dalma Mountain, Haenam)

  • 조지웅;이계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1-193
    • /
    • 202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able forest management according to climate change by identify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t. Dalma warm temperate forest. 30 survey plots were established for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communities which classified by applying TWINSPAN analysis and DCA analysis techniques. Four plant communities were subdivided into Quercus acuta-Eurya japonica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Quercus salicina-Camellia japonica community, and 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e tree layers were dominated by Quercus acuta and Quercus salicina, and the subtree layers were dominated by Camellia japonica and Eurya japonica, and the Sasa boreali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in the range of 0.849 to 0.969, and the degree of Evenness index were 0.514 to 0.569, and the similarity index were 59.57 to 75.47%.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mmunity indicated that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ous trees have already been eliminated in competition with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ree species with good cold resistance such as Quercus acuta and Quercus salicina were dominant species under current climatic conditions, but the dominant species might be changed to more shade-tolerance evergreen broad-leaved through the succession.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dge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 강현미;박석곤;김지석;이상철;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85
    • /
    • 2019
  • 본 연구는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경수산~선운산~개이빨산)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도립공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m^2$ 크기의 조사구 6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총7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선운산도립공원의 식생은 곰솔과 소나무 등의 침엽수는 점점 세력을 잃어가고 있는 반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와 서어나무의 세력이 왕성해지고 있어 낙엽활엽수군락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다. 또한 서해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으로 소사나무, 예덕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임령은 30~6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추정연령이 가장 오래된 나무는 소나무로 약 63년생으로 조사되었다. 종다양도지수($100m^2$)는 0.7942(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rightarrow}$ 0.8406(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rightarrow}$ 0.8543(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rightarrow}$ 0.9434(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rightarrow}$ 0.9520(낙엽활엽수혼효군락-I) 0.9633(소나무군락) ${\rightarrow}$ 1.0340(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순으로 높았다.

조경수목(造景樹木)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방어기능(防禦機能) (I) - SOD 활성(活性)을 중심으로 - (Resistance Functions of Woody Landscape Plants to Air Pollutants (I) - SOD Activity -)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64-176
    • /
    • 1992
  • 조경수목(造景樹木)들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들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및 저항성(抵抗性)을 규명하기 위해서 야외조사(野外調査)와 실내실험(室內實驗)을 통하여 엽내(棄內) 유황함량(硫黃含量)과 superoxide dismutase(SOD)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전(全) 수종(樹種)에서 엽내(棄內) 유황함량(硫黃含量)과 SOD 활성간(活性間)에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식물체(植物體)가 오염물질(汚染物質)에 대하여 자체방어(自體防禦)를 위하여 초기(初期)에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증대(增大)시키지만, 식물체(植物體)의 수용한계(收容限界)를 넘을 때는 오히려 효소(酵素)의 실활(失活)과 함께 식물체(植物體)가 피해(被害)를 받았다. 활엽수(闊葉樹)는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의 정화능력(淨化能力)이 큰 반면 침엽수(針葉樹)는 오염물질(汚染物質)에 대한 방어기능(防禦機能)이 크게 나타났다. 엽내(葉內) SOD 활성(活性)은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과 오염지역간(汚染地域間)에 차이(差異)가 뚜렷하였는데, SOD 활성(活性)은 활엽수(闊葉樹)에 비하여 침엽수(針葉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묘목(苗木)보다는 성목(盛木)에서 높았고, 소나무보다는 잣나무에서 활성(活性)이 높았으며, 튜립나무는 은행나무와 양버듬나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SOD 활성(活性)이 높은 것이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强)함을 알 수 있었다. 고유(固有)의 SOD 활성(活性)이 높은 소나무 2년생(年生)잎과 잣나무 1, 2년생(年生)잎에서는 $SO_2$ 처리농도(處理濃度)가 강(强)해질수록 SOD 활성(活性)이 증가(增加)하였으나, 고유(固有)의 SOD 활성(活性)이 나은 수종(樹種)은 저농도(低濃度(0.5ppm)처리(處理)에서는 증가(增加)하고 고농도(高濃度) 처리(處理)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월별 드론 영상을 이용한 밴드 조합에 따른 수목 개체 및 수관폭 추출 실험 (Experiments of Individual Tree and Crown Width Extraction by Band Combination Using Monthly Drone Images)

  • 임예슬;어양담;전민철;이미희;편무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7-74
    • /
    • 2016
  • 공간해상도가 높은 드론 영상은 수목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추출 한계를 갖는 기존 연구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영상으로부터 수목이 우거진 산림 지역 내 수목 개체를 추출하였다. 영상 분할 과정을 거쳐서 추출되는 수목 개체 인식을 위해, DSM(digital surface model), 그리고 R, G, B 밴드 모두를 조합한 경우와 각각을 분리 조합한 경우의 영상 분할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낙엽수림의 수목 우거짐의 변화를 시기별 영상별로 실험하였다. 3, 4, 5월 영상 중 숲이 울창한 5월의 경우 현지 측량한 나무를 기준으로 한 수목 개체 추출율은 50%로 나타났고, 수관폭 정확도 분석 결과 RMSE(root mean square error)가 1.5미터 이하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실험지역의 추출은 중간 나무, 작은 나무 2가지 크기로 추출하였으며 작은 크기의 나무가 추출 정확도가 더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고 추출을 하고, 수관폭과 흉고직경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흉고직경을 추정한다면, 임목재적 추정 및 산림바이오매스 추정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